[중국역사] 신해혁명(辛亥革命)

 1  [중국역사] 신해혁명(辛亥革命)-1
 2  [중국역사] 신해혁명(辛亥革命)-2
 3  [중국역사] 신해혁명(辛亥革命)-3
 4  [중국역사] 신해혁명(辛亥革命)-4
 5  [중국역사] 신해혁명(辛亥革命)-5
 6  [중국역사] 신해혁명(辛亥革命)-6
 7  [중국역사] 신해혁명(辛亥革命)-7
 8  [중국역사] 신해혁명(辛亥革命)-8
 9  [중국역사] 신해혁명(辛亥革命)-9
 10  [중국역사] 신해혁명(辛亥革命)-10
 11  [중국역사] 신해혁명(辛亥革命)-11
 12  [중국역사] 신해혁명(辛亥革命)-12
 13  [중국역사] 신해혁명(辛亥革命)-13
 14  [중국역사] 신해혁명(辛亥革命)-14
 15  [중국역사] 신해혁명(辛亥革命)-15
 16  [중국역사] 신해혁명(辛亥革命)-16
 17  [중국역사] 신해혁명(辛亥革命)-17
 18  [중국역사] 신해혁명(辛亥革命)-18
 19  [중국역사] 신해혁명(辛亥革命)-19
 20  [중국역사] 신해혁명(辛亥革命)-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국역사] 신해혁명(辛亥革命)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신해혁명이란 무엇인가
1) 신해혁명 개설
2) 공화국의 아버지, 쑨원
2. 왕조가 기울어지다 - 신해혁명의 배경
1) 중화(中華)의 콧대가 꺾이니 - 정치적 배경
2) 서양과 일본은 저리 흥하는데 - 사상적 배경
3) 신상(紳商)의 팔뚝이 굵어지다 - 경제적 배경
3. 분위기가 만들어지다 - 무창(武昌) 봉기 이전
1) 혁명을 막으려다 도리어 혁명으로 - 청 왕조의 입헌운동과 입헌파
2) 오랑캐를 몰아내고 중화를 회복하자 - 혁명파의 등장과 쑨원(孫文)
3) 암살과 봉기 - 혁명파의 행동과 좌절
4) 쑨원 대 반(反) 쑨원 - 동맹회의 분열
5. 불길이 천하를 휩쓸다 - 무창봉기 이후
1) 무창에서 피어난 불꽃 - 혁명의 시작과 확대
2) 스트롱 맨(Strong man)의 승부수 - 위안스카이의 개입
3) 불길을 갖고 노는 소방관 - 쑨원의 귀국과 위안스카이와의 타협
4) 자금성(紫禁城)에 황혼이 내리다 - 청 왕조의 최후
6. 잃은 것과 얻은 것 - 신해혁명의 한계와 의의
7. 신해혁명 100년, 현대 중국 - 신해혁명의 유산과 교훈
본문내용
한편 1905년 11월 ‘유학생단속규칙’ 당시 청 정부는 쑨원을 비롯한 혁명당파와 일본 유학생들의 혁명의식에 위기감을 느끼고 일본 정부에 중국 출신 유학생의 집회 결사와 언론 자유를 막아줄 것을 요청했고, 이에 따라 일본 정부는 ‘불법 유학생 단속 규칙’을 발표한다. 이에 반발한 많은 유학생들이 퇴학하여 귀국하게 된다.
을 계기로 많은 유학생들이 국내로 돌아오게 되어 이들을 중심으로 각지에서 봉기가 일어났고, 쑨원을 위시한 혁명파는 광둥을 중심으로 연달아 봉기를 일으켰다. 1907년 광둥 후저우의 황강 봉기, 6월 훼이저우 봉기, 9월 광둥 팡청 봉기, 12월 광시 남부 전난귀안 봉기, 1907년 광둥 친저우 봉기, 롄저우 봉기, 4월 윈난 허커우 봉기, 1910년 2월 광둥 신군新軍의 봉기, 1911년 4월 광저우 봉기 등.
이 중 1911년 10월 10일에 호북성 무창에서 일어난 봉기, ‘무창 봉기’의 성공은 곧 삽시간에 청조로부터 각 성들이 독립하는 결과를 불러일으켰다. 청조로부터 독립한 각 성은 군軍정부를 수립하였고, 각 성의 대표는 우창에 모여 대통령제를 채택하고 ‘임시정부조직대강’을 기초하였다. 같은 해 12월 29일 난징에서 투표를 통해 쑨원이 임시대총통으로 추대되었고, 1912년 1월 1일 아시아 최초의 공화국인 중화민국이 성립되었다. 같은 해 2월 13일 ‘마지막 황제’, 선통제(宣統帝) 푸이(溥儀)가 정식으로 퇴위하면서 267년에 걸쳐 중국을 지배했던 중국 최후의 봉건왕조인 청 왕조는 막을 내렸다. 이로써 신해혁명은 2천 년 이상 지속되었던 중국의 전제체제에 종지부를 찍은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중화민국이 건국되고 임시대총통으로 추대된 쑨원은 선통제의 퇴위 이후 곧 위안스카이에게 정권을 넘겨주고, 위안스카이는 1913년 10월 10일, 정식 대총통이 된다. 쑨원은 임시정부약법을 준수할 것을 조건으로 그에게 권력을 양도하였으나 위안스카이는 이를 배반하여 임시약법을 폐기하고 권력을 독단적으로 휘둘렀다. 그는 당시 많은 지지를 받고 있던 국민당 대표 쑹쟈오런(宋敎仁)을 암살하고 국회를 해산시켰고, 대총통 선거법을 수정하여 임기를 10년으로 연장해 독재체제를 확립하였으며, 말년에는 황제를 선포하기까지 했으나 지지를 얻지 못하고 쓸쓸히 죽었다. 위안스카이가 이렇게 사망한 뒤 이제 중국에는 전국을 통제할 만한 권력이 없었기 때문에 이후 10년간 중국은 무정부 상태의 혼란으로 빠져들었고, 바야흐로 각지에서 할거하는 군벌(軍閥)의 시대가 도래하게 된다. 이로 인해 신해혁명은 오래도록 미완으로 남게 되었다.
참고문헌


김학관, 『손중산과 근대중국』, 집문당, 2004
김희영, 『이야기 중국사』3, 청아, 2006
민두기, 『辛亥革命史』, 민음사, 1994
서중석,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한국 현대사』, 웅진지식하우스, 2006
이윤섭, 『객관적 20세기 전반기史』, 필맥, 2010

장밍, 허유영 역, 『신해혁명』, 한얼미디어, 2011
小島晉治 외, 박원호 역, 『中國近現代史』, 지식산업사, 1994
井上裕正 외, 하세봉 역, 『아시아 역사와 문화 5』, 신서원, 1996
레지널드 플레밍 존스턴, 김성배 역, 『자금성의 황혼』, 돌베게, 2009



김태승, 「신해혁명사상의 재검토」. 『亞細亞硏究』, Vol.40 No.1,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1997
김수영, 「두 중국의 기원-현대 중국의 토대가 된 삼민주의와 국민혁명」, Vol.41, 『中國史硏究』, 2006, 중국사학회
오수열, 「신해혁명의 성격과 중국정치에 미친 영향,」 『서석사회과학논총』, Vol.1 No.2, 조선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8
이영란 · 고재휘, 「변법과 캉유웨이와 혁명파 쑨원의 사상비교연구,」 Vol.63, 『한국동북아학회』, 한국동북아학회, 2012
장옥법, 「청말 혁명파의 혁명이론에 대한 견해 차이와 그 영향」, Vol.52, 『중국근현대사연구』, 중국근현대사학회, 2011
주진영, 「신해혁명의 경제적 배경에 대한 고찰」, Vol.5 No.1, 『論文集(Daebul Univerity bulletin)』, 대불대학교, 1999

Oh Young-in, Struggles over immigrants' language : literacy tests in the United States, 1917-1966, Lfb Scholarly Pub Llc



박현숙, 「누가 신해혁명을 망쳤는가」,『한겨레21』제 882호, 2011년 가을

“신해혁명 100주년…복잡한 시선”, SBS 뉴스, 2011. 10. 10.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