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6 장 국어와 민족 문화 15

 1  제 6 장 국어와 민족 문화 15-1
 2  제 6 장 국어와 민족 문화 15-2
 3  제 6 장 국어와 민족 문화 15-3
 4  제 6 장 국어와 민족 문화 15-4
 5  제 6 장 국어와 민족 문화 15-5
 6  제 6 장 국어와 민족 문화 15-6
 7  제 6 장 국어와 민족 문화 15-7
 8  제 6 장 국어와 민족 문화 15-8
 9  제 6 장 국어와 민족 문화 15-9
 10  제 6 장 국어와 민족 문화 15-10
 11  제 6 장 국어와 민족 문화 15-11
 12  제 6 장 국어와 민족 문화 15-12
 13  제 6 장 국어와 민족 문화 15-13
 14  제 6 장 국어와 민족 문화 15-14
 15  제 6 장 국어와 민족 문화 15-15
 16  제 6 장 국어와 민족 문화 15-16
 17  제 6 장 국어와 민족 문화 15-17
 18  제 6 장 국어와 민족 문화 15-18
 19  제 6 장 국어와 민족 문화 15-19
 20  제 6 장 국어와 민족 문화 15-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제 6 장 국어와 민족 문화 15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제 6 장 국어와 민족 문화
※한국고대사와 한국어, 한민족의 계통에 대하여
한국고대사에서의 한국어는 어떠한 모습을 지니는가?
이 때의 한국어는 선사시대는 차치하고 고조선시대에서 광활한 만주땅과 현 한국 본토 전역과 도서 등에 존재했던 부여어.한족조선어.예어.옥저어.마한어.진한어.변한어.고구려어.백제어.신라어.가야어를 포함한 시대를 지나 7세기 후반 통일신라 및 발해시대를 거쳐 10세기 초엽 고려왕조가 탄생된 직후 통일신라가 망할때까지이다. 고대국어의 연구는 이렇다 할만한 자료가 그리 많지 않아 어려운 점이 많으나, 한자의 음과 새김을 이용한 이두와 구결 문자 표기가 나타났고, 특히 우리말 표기에 있어서 주체적인 향찰표기 체계라는 한자의 이용방법이 어는 정도 확립된 시기이다.
고대국어 연구 자료로서 국내자료로는 금석문인 의 비문을 비롯하여 몇 사찰의 종기(鍾記). 탑기(塔記)와 석표(石標)등이 있고, 문헌으로는 등이 있다. 이들 자료를 통하여 어렴풋이 나마 향가 25수를 알 수 있다. 외국의 문헌으로는 중국의 와 등과 일본의 등이 있다.
한민족의 계통에 관해선 여러 학설이 있다.
과거 일본학자들의 연구에서는 우리 상고사의 무대인 지금의 중국 동북 3성일원에 거주하던 맥의 여러 집단과 한반도지역에 거주하던 한의 여러집단을 우리 민족의 형성과 연관시켜 파악한 견해도 있으나, 대부분은 한민족 형성의 주축을 퉁구스족이라 보고 있다.
일본학자들의 경우는 문헌기록에 보이는 부여.고구려.옥저.예맥.한 등에 주목하여 남만주와 한반도 북부지역을 그 분포지로 하는 예맥과 한반도 남부의 한족을 중심으로 우리 민족이 구성되었다거나, 퉁구스족 등 만주지역의 한 갈래인 부여족이 우리 민족구성 근간이라는 견해 등이 제시된 바 있다.
국내의 학자들은 우리민죽의 형성에 관하여 퉁구스족과 우리 민족을 연관시키는 견해를 내세우기도 하였다.
**생각해보기
1. 민족의 개념에 관하여
무엇을 ‘민족’이라고 할 것인가? 혈연에 집착아여 무한정 뿌리를 소급하거나 통일국가.시민국가의 출현을 민족형성의 전제조건으로 내세우면 될 것인가? 만약 통일.단일 국가의 출현에서 민족의 형성을 구한다면 그 이후 분열.분단의 시기를 맞을 경우 ‘형성’되었던 민족이 ‘해소’. ‘서멸’되어버리는 것으로 설명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2. 예.맥.한의 이동경로는?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