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화성의 실학적 가치

 1  수원화성의 실학적 가치-1
 2  수원화성의 실학적 가치-2
 3  수원화성의 실학적 가치-3
 4  수원화성의 실학적 가치-4
 5  수원화성의 실학적 가치-5
 6  수원화성의 실학적 가치-6
 7  수원화성의 실학적 가치-7
 8  수원화성의 실학적 가치-8
 9  수원화성의 실학적 가치-9
 10  수원화성의 실학적 가치-10
 11  수원화성의 실학적 가치-11
 12  수원화성의 실학적 가치-12
 13  수원화성의 실학적 가치-13
 14  수원화성의 실학적 가치-14
 15  수원화성의 실학적 가치-15
 16  수원화성의 실학적 가치-16
 17  수원화성의 실학적 가치-17
 18  수원화성의 실학적 가치-18
 19  수원화성의 실학적 가치-19
 20  수원화성의 실학적 가치-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레포트 > 독후감
  • 2015.03.29
  • 24페이지 / hwp
  • 2,400원
  • 72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수원화성의 실학적 가치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수원화성의 실학적 가치
목 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몸 말
1. 답사를 위한 준비 : 화성의 축조 배경
1) 사도세자의 무덤 현륭원 천봉(薦奉)
2) 왕권 강화를 위한 배후 도시
3) 갑자년(甲子年) 구상
4) 농촌 경제의 변화
5) 인구의 이동과 그에 따른 상업의 발달
6) 개방적 상업관으로의 변화
7) 경제적 요충지 수원
8) 조선 후기 실학파의 읍성 강화론
9) 정조대의 서학 열기
2. 수원화성 답사 : 18세기 실학 건축의 정수, 수원화성
1) 수원화성의 축성과 가치
2) 수원화성의 공법과 제작기술
① 수원 화성의 특성
② 과학적이고 철저한 공사 관리
③ 철저한 공사기록 - 화성성역의궤
④ 화성의 과학적·실용적 구조
3) 수원화성의 미학적 요소
① 새롭게 창출된 조형미
② 실학적 미학
4) 정조의 애민정신
Ⅲ. 나가는 말
수원화성의 실학적 가치
Ⅰ. 들어가는 말
18세기 말에 만들어진 대표적인 성곽 도시이자 계획 신도시였던 수원 화성. 이 성곽을 쌓은 배경에는 18세기의 새로운 학문 경향이었던 실학이 큰 힘을 발휘하였다. 학계에서 “조선 후기 정신사의 큰 획을 그은 실학은 화성에서 집대성되었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 김동욱,『실학정신으로 세운 조선의 신도시, 수원 화성』, 돌베개, 2002, p.17.
이러한 수원화성의 가치는 성곽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성곽에 감싸여 있는 도시 자체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우리의 답사 준비는 중간고사가 끝난 바로 다음 주부터 시작하였고 답사 당일 날까지 계속되었는데 이는 우리 조원들이 “아는 만큼 보인다.”는 생각에 동의를 했기 때문이다. 우리는 수원화성이 축조된 배경에 집중하여 사전 조사를 했고, 실제 답사에서 찾을 수 있는 실학적인 모습에 초점을 맞추어 답사 경로를 구상했다. 그리고 이러한 자료들과 답사당시 촬영했던 사진이나 실제 우리가 찾을 수 있던 모습들을 엮어 답사 보고서를 집필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논의가 다른 조와 중복되는 부분이 많을 것이라 생각하지만, 그 중심에 실학적 가치와 화성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서술해 가도록 노력하였다.
Ⅱ. 몸 말
1. 답사를 위한 준비 : 화성의 축조 배경
답사에 앞서서 수원화성의 개략적인 탄생 배경과 그 시대의 정치, 경제적 시대 상황에 대해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는 조원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간단한 사전조사를 실시했다. 수원화성의 역사와 지리에 대해 관련 서적 등을 통한 사전이해가 있어야만 직접 수원화성을 답사했을 때, 수원화성의 외향이 아닌 역사적·실학적 의미를 밝힐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1) 사도세자의 무덤 현륭원 천봉(薦奉)
수원 화성의 축조는 정조가 양주 배봉산에 자리 잡고 있는 사도세자의 묘인 영우원을 수원으로 이전하는데서 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영우원은 그 묘역이 몹시 작고 초라하였기 때문에 정조가 오랫동안 묘소를 이장하는 문제를 생각해왔는데, 여러 후보지들 중 수원부 읍치가 위치하고 있는 용복면 화산이 최길지의 명당으로 꼽혀 이곳에 사도세자의 묘를 옮기도록 한 것이다. 이곳을 바로 현륭원이라 하는데 현륭원은 구 수원읍의 관청 바로 뒤에 자리 잡았다. 무덤 앞에는 재실이나 전사청 등 제사와 관련한 여러 건물이 들어서게 되었는데 현륭원의 경우 구 수원읍의 관청 건물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결국 고을 중심부에 무덤이 들어서면서 수원은 다른 곳으로 장소를 옮기지 않으면 안 되었다. 김동욱, 같은 책, p.23.
이에 따라 정조는 사도세자의 묘소인 현륭원을 보호한다는 명분으로 수원부를 화성유수부로 승격시켰다. 또한 2년 7개월간에 걸쳐 화성 성역을 추진하였으며, 조선 최대의 행궁을 건립하고 왕의 친위부대인 장용영의 일부를 화성에 주둔시키기도 하였다. 최홍규,『정조의 화성 건설』, 일지사, 2001, p.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