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희곡에 관한 남한연구자의 논문 비교

 1  북한 희곡에 관한 남한연구자의 논문 비교-1
 2  북한 희곡에 관한 남한연구자의 논문 비교-2
 3  북한 희곡에 관한 남한연구자의 논문 비교-3
 4  북한 희곡에 관한 남한연구자의 논문 비교-4
 5  북한 희곡에 관한 남한연구자의 논문 비교-5
 6  북한 희곡에 관한 남한연구자의 논문 비교-6
 7  북한 희곡에 관한 남한연구자의 논문 비교-7
 8  북한 희곡에 관한 남한연구자의 논문 비교-8
 9  북한 희곡에 관한 남한연구자의 논문 비교-9
 10  북한 희곡에 관한 남한연구자의 논문 비교-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북한 희곡에 관한 남한연구자의 논문 비교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북한 희곡에 관한 남한연구자의 논문 비교
목차
1. 여는 글
2. 연구주제/목차의 미리보기
3. 희곡/연극에 대한 기본 개념의 오해: ‘행동’과 ‘구조’
4. 작품의 주제에 대한 정치변동의 적용 미흡
5. 희곡의 구조, 장치분석, 인물분석의 혼선
6. 맺는 글: 역사주의 비평의 6가지 항목에 비추어
1. 여는 글
본 글은 북한희곡에 관한 남한 연구자의 논문 비교(比較)와 비판(批判)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북한희곡에 관한 최근의 학위논문인 정낙현의 북한 희곡의 특성과 구조 연구 - 1945∽1960년대 중반의 작품을 중심으로-(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과 박사논문, 2004)과 배상숙의 북한 희곡의 특성 연구 -195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수원대학교 국어교육과, 2008)이다. 정낙현과 배상숙의 연구는 ‘북한 희곡’이라는, ‘1950년대’라는 공통분모를 갖기에 북한에서 격동의 시기의 문학/연극계를 다른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게 해줄 것이다. 일면 박사논문인 정낙현의 연구와 석사논문인 배상숙의 논문을 비교/비판하는 것은, 학문의 폭과 깊이에 있어서 형평성에 어긋나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본 글은 두 연구물의 ‘우월성’에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본 글은 각 논문의 내적논리에 따라 개별적 비판을 전개하고, 그 특성을 교차하여, 북한 희곡에 관한 보다 적합한 연구 방식을 도출해보고자 한다.
먼저 정낙현은 “북한 사회의 변화상을 연구하여 작품에 적용시키는 역사주의적 객관주의식 연구 방법을 채택”함을 서론에 명시하였는바(정낙현, 9쪽), 그의 논리를 따라 역사주의적 관점에서 논문을 분석할 것이다. 이에 비해 배상숙은 어떠한 틀을 서론에서 제시한 바는 없으나 그 역시 ‘역사주의적 접근’을 시도함이 읽혀지는바, 배상숙의 연구 역시 역사주의적 관점에서 논해볼 것이다. 정낙현에 의하면 역사주의란 ‘북한 사회의 변화상을 연구하여 작품에 적용시키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문학비평에서 역사주의 비평의 사전적 의미는 “작품이 생산된 시기의 역사적 상황을 비롯해 작품과 연관된 시대의 사회적문화적 맥락을 통해 작품의 의미를 파악하려는 비평방법”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편, 『100년의 문학용어 사전』, 아시아, 2008, 542쪽.
을 말한다. 역사주의 비평은 현대비평이기보다는 근대비평에 가까운 것이다. 그렇지만 그 속성상 과거는 물론 현재까지도 가장 많이 통용되고 있는 전통적인 문학비평 방법이다. 모든 문학 연구의 기초 작업과 직결되는 원전비평이나 실증적인 전기비평도 역사주의 비평의 일부인 것이다. 따라서 본 글은 두 논문의 특성을 논하면서, 역사주의적 관점으로 비판하고자 하며, 참고문헌은 각주로 대신함을 밝혀둔다.
2. 연구주제/목차의 미리보기
정낙현
북한 희곡의 특성과 구조 연구
-1945∽1960년대 중반의 작품을 중심으로-
배상숙
북한 희곡의 특성 연구
-195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