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6994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공간구성의 조형 요소를 응용한 도자 조명연구 -제임스 터렐 작품을 중심으로-
신은지 ( Shin Eun Ji ) , 정진원 ( Chung Jin Won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20] 제21권 제6호, 233~244페이지(총12페이지)
공간에 대한 인식은 인간이 의식할 수 있는 사물들의 상호관계에서 시작되고 다시 인간의 신체감각에 영향을 준다. 우리는 이것을 인식할 때 개별적 요소로 지각하지 않고 종합적인 관계들로 인지하며 그것은 크기, 방향, 영역이라는 틀로 구성되어있다. 본 논문은 이를 구성하는 요소들과 빛을 활용한 기존 작품들의 일반적 표현이 아닌 관람자에게 새로운 시각으로 다가갈 수 있는 표현방법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즉, 이 연구는 기본적인 실용성과 더불어 공간의 구조를 보여주는 빛과 그것을 감각적으로 표현한 도자조명을 고찰하였으며, 공간-관람자-조명의 관계를 통해 인간의 감성을 자극시키는 현상학적 표현을 보여주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 방법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공간구성에 관련된 서적을 참고하였으며 구성 방법에 적합한 제임스 터렐...
TAG 공간, , 조형 요소, 시지각적 현상, 조명, space, light, molding elements, visual perception, phenomena, lighting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 연구
신정민 ( Shin Jung Min ) , 김민 ( Kim Min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20] 제21권 제6호, 245~257페이지(총13페이지)
팬데믹(Pandemic)에 의한 급격한 온라인 생태계로의 전환과 4차 산업혁명에 의한 기술발전으로 디자인의 역할과 가치는 변화, 확대되고 있다. 특히 온라인 구매에 대한 급격한 수요 증가와 사용자 요구 조건의 질적 상승에 따라 전자상거래의 구조적 변화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전자상거래에서의 구매 결정 과정에 검색 적합도와 구매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상품추천을 중점으로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은 첫째,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비즈니스 모델 분야에 대한 리서치와 현재 파티용품 분야에서 검색 빈도수가 높은 키워드를 분석한다. 둘째, 제품 이름이나 카테고리 검색이 아닌 일상적인 산문 언어를 입력, 분석하여 텍스트의 의미를 찾고 구조화시키는 단계를 구상하고 제시한다. 연구결과 첫째, 파티용품 분야의 검색 ...
TAG 비대면, 빅데이터, 텍스트 마이닝, 플랫폼 디자인, 비즈니스 모델, untact, big Data, text mining, platform design, business model
동시대 조각에 나타난 건축적 이미지의 욕망에 관한 연구
신제헌 ( Shin Je Heon ) , 김석 ( Kim Suk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20] 제21권 제6호, 259~272페이지(총14페이지)
동시대의 조각에 나타난 건축 이미지의 차용은 현대인의 다양한 결핍이 내포된 ‘욕망’을 은유한다. 이는 건축의 생성 원인 및 작동 기제가 인간의 ‘욕망’ 및 ‘환상’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동시대 조각에 나타난 건축적 이미지가 현대인들의 ‘무의식적 욕망’을 어떻게 암시하고 있는지에 대해 연구의 필요성을 느꼈다. 따라서 표본작가들의 작품 분석을 통해 투영된 ‘무의식적 욕망’을 해석하는 것에 연구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논지에 관련된 전문 서적과 학술 논문이 주요했다. 구체적으로 2장에서 미술사를 바탕으로 조각과 건축의 시대별 발전 과정을 살펴보았고, 조각과 건축의 개념 및 ‘건축성’을 지닌 조각의 형식에 대해 고찰하였다. 3장에서는 조각에 나타난 건축적 이미지를 ‘욕망’으로 해석하기 위해 롤랑 바르트의 ‘신화 기호학’과 자크 라캉...
TAG 동시대 미술, 조각, 건축적 이미지, 욕망, 기호, contemporary art, sculpture, architectural image, desire, semiotics
기호학적 관점에서의 모바일 형태와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심소이 ( Shen Xiaoyi ) , 김진성 ( Kim Jin S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20] 제21권 제6호, 273~285페이지(총13페이지)
1973년 미국 모토로라 엔지니어인 마틴 쿠퍼(Martin Cooper)가 세계 최초의 상용화 모바일을 개발한 후부터 모바일은 단순한 기능만을 가진 통신기기에서 통신, SNS, 사진촬영, 오락, 학습 등 다양한 기능을 담은 멀티미디어 개인 단말기로 발전하였다. 인터넷 기술이 발전하면서 모바일 디자인은 간소화와 큰 사이즈의 스크린을 추구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모바일 디자인은 점점 단순화되고 있다. 그러나 소비자는 개성과 차별성에 대한 요구가 점차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기호학 이론을 바탕으로 우수한 제품의 기호 디자인 사례를 모바일 디자인에 접목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기호학 중에 디자인 기호학을 연구이론으로 삼아 연구를 진행하여 모바일 형태와 인터페이스 디자인에서 기호의 구성 방식, 전달 방식, 표현 방식, 기호...
TAG 기호학, 모바일 형태, 모바일 인터페이스, 모바일 소비, 기호 추출, semiotics, configuration of mobile phone, Interface of mobile phone, consumption of mobile phone, the extraction of symbol
현대미술의 새로운 장르로서의 도자판화 연구
심연보 ( Shim Yeon Bo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20] 제21권 제6호, 287~298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자는 도예와 판화가 융합된 도자판화 기법을 고안하여 다년간 작품 활동을 이어왔다. 이 연구는 스스로 ‘도자판화’로 명명한 회화적 도판복제 작업에 대한 학술적 정의가 필요하다는 판단에서 출발한다. 이 연구는 독창적 기법으로 창안된 도자판화가 현대판화의 다양성에 일조하며 현대미술의 새로운 장르로 인정받을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현대판화의 특성과 비교 분석하여 도자판화의 개념을 정의하고, 제작기법을 분석하여 도자판화의 판화적 특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도자재료와 제작기법 속에 내재되어 있는 판화적 성질을 논의한다. 또한, 시연을 통해 기술적인 특성들을 논함으로써 도자판화 제작기법이 구체적으로 제시된다. 도자의 기본재료인 점토가 갖는 유연성과 점성은 접촉한 면의 형상을 복제하는 성질을 지니고 있다. 도자판화에는 석...
TAG 도자판화, 캐스팅, 복제율, 현대판화, ceramic printmaking, casting, reproduction rate, contemporary print arts
야외 금속 조각 작품 표면 보존용 액상형 wax의 제조 및 적용성 연구
오승준 ( Oh Seung Jun ) , 위광철 ( Wi Koang Chul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20] 제21권 제6호, 299~310페이지(총12페이지)
야외 조각 공원 설치 작품 및 환경 조형물은 대기환경오염물과 자외선, 생물학적 피해 등으로 인해 손상되고 작품 본래의 형상이 변형되어 작가의 의도와 다른 전달력과 왜곡된 미적 정보를 전달하고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미술사적 과학적 보존처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중 금속 재질의 야외 조각 작품 보존 시 작품의 표면 보존을 위해 wax 코팅이 이루어지고 있다. wax는 코팅 후 작품이 왜곡되어 보이지 않으며 가역성이 있어 보존 재료로서 사용되어지고 있는 반면에 대기오염물질과 산성비, 염수, 먼지 등에 의해 노화가 진행되고 이는 코팅력, 내구성, 내열성, 차단성, 황변성 등이 저하되는 현상과 이로 인해 처리 후 지속적인 관리와 주기적인 재처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야외 금속조각 작품 표면 보존용 재료인 3종의 wax보다 성능이 개선된 ...
TAG 야외 조각 보존, 금속 조각 작품 보존, 보존용 재료, wax 코팅, 액상형 wax, preservation of outdoor sculptures, preservation of metal sculpture works, materials for preservation, wax coating, liquid wax
중국 국가의 이미지 확립과 관련된 용 형태 및 상징적 의미 변화 -1878년 이후에 발행한 용 문양 우표를 중심으로-
왕이 ( Wang Yi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20] 제21권 제6호, 311~322페이지(총12페이지)
중국에서 발행된 우표 중 오랫동안 존속되어 온 용 문양의 형태와 상징적 의미의 변천, 용 문양 우표 형상과 국가 이미지 사이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의 근현대 국가 시각적 상징물에 나타난 국가 이미지의 변화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가 시각적 상징물 중 하나인 우표를 대상으로 시기별로 나타난 문양 내용과 장식 테두리, 회화기법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정부가 전달하고자 한 국가 이미지를 추출하는 것이다. 또한, 청나라 말기와 중화인민공화국에 우표 주요 도안으로 용 문양을 사용했기 때문에 용 문양 우표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1878년부터 중국에서 발행된 총 43종의 용 문양 우표이다. 중국 국내 학자들은 중국 우표의 역사와 발행, 감상, 디자인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선행연...
TAG 용 문양, 형태, 상징적 의미, 우표, 국가 이미지, dragon pattern, form, symbolic meaning, stamps, national identity
신예독립패션디자이너 We Media 이용 동기 연구 -중국 상해 패션디자이너를 중심으로-
요가혜 ( Yao Jia Hui ) , 김세화 ( Kim Se Hwa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20] 제21권 제6호, 323~337페이지(총15페이지)
중국 패션관련 비즈니스에서 We Media를 새로운 마케팅 채널로서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미디어 이용 동기 측면에서 보면, 패션명품 브랜드나 일반 사용자의 이용 동기에 초점을 맞추고 있을 뿐, We Media의 미디어 활동이 활발한 신예독립패션 디자이너들에(emerging independent fashion designer, EIFD) 대해서는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예독립패션을 별도의 We Media 사용자 그룹으로 분류하여 We Media 이용 동기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We Media 사용 이유에 대한 질문지를 작성하고,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는 반구조화된 인터뷰 방법을 적용하였다. 참여자들은 17명의 패션디자이너들이었으며,...
TAG use motivation, emerging independent, fashion Designer, We Media, 이용동기, 신예독립패션디자이너
콤팩트시티의 공유 업무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Wework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웨이이린 ( Wei Yi Lin ) , 홍관선 ( Hong Kwan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20] 제21권 제6호, 339~357페이지(총19페이지)
도시가 급속도로 발전함으로 인해 도시에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자원 환경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자원의 과도한 사용 및 환경오염 등이 도시환경 문제의 주요 원인이라는 사실을 연구 배경으로 삼아 자원 절약과 환경개선을 위해 기존 도시의 공유 공간 구축과 도시 재생 실현을 제안한다.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콤팩트 시티의 공유 공간 조성을 통해 원도시의 자연환경 문제를 완화하는데 있다. Wework프로젝트의 대표적 사례를 선택해 공유 업무 공간의 서로 다른 특성의 수량 분석하고 중요도를 구분하였다. 또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조사 결과와 사례분석 결과를 중요도 추세 도표로 요악하였고, 그 도표를 근거로 미래의 콤팩트 시티 공유 공간 조성에 디자인적 영감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콤팩트 시티 개념을 근거로 이론적 고찰과 관련 특성을 추출해...
TAG 콤팩트시티, 공유 공간, 공간 특성, 업무 공간, compact city, shared space, space characteristics, office space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움직임(movement) 연구
유연재 ( Yoo Yeon Jae ) , 최정화 ( Choi Jung Hwa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20] 제21권 제6호, 359~377페이지(총19페이지)
시각예술에서 움직임이라는 개념은 표현기법의 확장을 가져왔으나 이에 대한 이론 체계가 미미한 실정이며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서도 관련된 논의는 아직 초기 단계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움직임의 표현기법을 범주화하여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표현특징과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은 국내외 이론서, 학술지, 인터넷 자료 등을 통한 이론적 연구와 2000년대 이후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작품집과 GPHY 및 인터넷 사이트를 중심으로 패션디자인 전공 2인을 통해 검증된 231점의 자료를 사례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서 움직임의 표현으로 첫째, 이동궤적 잔상은 움직임 방향에 따른 역동적인 브러시 터치, 떨림선, 그러데이션, 블러, 번지기, 은유적 형상을 특징으로 하며, 움직임 상상, 의복 이미지 강화와 몰입 유도, 장식 ...
TAG 움직임, 시간, 위치 이동,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movement, time, movement position, fashion illustration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