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대한원격탐사학회 AND 간행물명 : 대한원격탐사학회지160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Comparison of SAR Backscatter Coefficient and Water Indices for Flooding Detection
( Yunjee Kim ) , ( Moung-jin Lee )  대한원격탐사학회,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020] 제36권 제4호, 627~635페이지(총9페이지)
TAG Flood, Sentinel-1, Landsat-8, Normalized Difference Water Index, NDWI, Modified Normalized Difference Water Index, MNDWI
Construction of Spatiotemporal Big Data Using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formation
( Namwook Cho ) , ( Yunjee Kim ) , ( Moung-jin Lee )  대한원격탐사학회,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020] 제36권 제4호, 637~643페이지(총7페이지)
TAG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patial Information, Big Data, Data Science
Functional and Performance Verification of the Space Weather Sensor on GEO-KOMPSAT-2A Satellite
( Kyoungwook Jin )  대한원격탐사학회,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020] 제36권 제4호, 645~652페이지(총8페이지)
TAG GK2A, IOT, KSEM, LEOP, Space weather
고해상도 위성자료를 활용한 마른 잎 탐지
심수영 ( Suyoung Sim ) , 진동현 ( Donghyun Jin ) , 성노훈 ( Noh-hun Seong ) , 이경상 ( Kyeong-sang Lee ) , 서민지 ( Minji Seo ) , 최성원 ( Sungwon Choi ) , 정대성 ( Daeseong Jung ) , 한경수 ( Kyung-soo Han )  대한원격탐사학회,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020] 제36권 제3호, 401~410페이지(총10페이지)
최근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변화하는 한반도 식물계절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지리적인 특성상 봄철 식물계절에 비해 실측이 어려운 가을철 식물계절의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가을철 식물계절인 단풍과 낙엽 등을 ‘마른 잎’으로 정의하고 Landsat-8 위성영상을 기반으로 마른 잎 탐지를 수행하였다. NDVI를 이용하여 마른 잎의 1차 경계 값을 산출하고, 건강한 잎과의 분광특성차이 및 NDWI를 이용하여 마른 잎의 2차 경계 값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마른 잎 탐지 알고리즘의 정확도 검증을 위해 POD, FAR 값을 이용하였으며, 검증 결과 POD는 98.619, FAR은 1.203으로 높은 정확성을 보였다.
TAG Phenology, Landsat-8, NDVI, Climate change
지상 및 고도별 대기측정 자료 융합을 이용한 반도형 해안지역의 직달일사량 계절 변화 연구
최지녕 ( Ji Nyeong Choi ) , 이상희 ( Sanghee Lee ) , 성세현 ( Sehyun Seong ) , 안기범 ( Ki-beom Ahn ) , 김석환 ( Sug-whan Kim ) , 김진호 ( Jinho Kim ) , 박상현 ( Sanghyun Park ) , 장석원 ( Sukwon Jang )  대한원격탐사학회,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020] 제36권 제3호, 411~423페이지(총13페이지)
태양 일사량은 관측 지역의 대기 조성 및 기상에 따른 대기 투과율의 영향을 고려하여 계산된다. 특히, 태안 지역과 같은 복잡한 해안 특성을 가진 지역에서의 일사량 계산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 국소 지역에 대한 연직 기상 환경 자료를 통해 대기의 지역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대기투과율을 계산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태안반도에 위치한 3개 지상관측소 및 라디오존데의 2018년도 기상 자료를 이용하여 청명일에 대한 대기투과율 및 직달일사량을 MODTRAN (MODerate-resolution atmospheric TRANsmission) 6를 이용하여 수치모사하였다. MODTRAN 6로 계산된 직달일사량 추정 값은 일사계의 실제관측 값과의 비교 연구를 수행한 결과, 일사량의 규격화 잔차 평균(Normalized Residual...
TAG atmospheric transmission, direct solar irradiance, customization, MODTRAN
태양광도계 자료를 이용한 한반도 내 Himawari-8 관측 AOD 특성 분석
이기택 ( Gi-taek Lee ) , 유선우 ( Seon-woo Ryu ) , 이태영 ( Tae-young Lee ) , 서명석 ( Myoung-seok Suh )  대한원격탐사학회,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020] 제36권 제3호, 425~439페이지(총15페이지)
최근 성능이 크게 개선된 정지궤도 기상위성 Himawari-8, GK2A등이 운용됨에 따라 시공간적으로 보다 고해상도 AOD(Aerosol Optical Depth) 자료의 사용이 가능해졌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4년간 한반도내 AERONET(Aerosol Robotic Network) 참여 5개 지점(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광주과학기술원(GIST), 안면도 기후변화감시센터)의 에어로졸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Himawari-8/AHI (Advanced Himawari Imager) 에어로졸 산출물의 특징과 두 AOD 자료 간에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위성과 지상관측 AOD는 하늘이 맑을 경우(운량 < 3)에는 지리적 위치에 관계없이 매우 유사하게 나타...
TAG Himawari-8, Himawari-8 AHI, AERONET, Sunphotometer, AOD, Geostationary satellite, Cloud
GMTI 표적의 위치 보정 방법
김소연 ( So-yeon Kim )  대한원격탐사학회,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020] 제36권 제3호, 441~448페이지(총8페이지)
GMTI (Ground Moving Target Indication) 레이다 시스템은 항공기와 위성과 같이 이동하는 플랫폼에 탑재되어 지상에서 이동하는 표적을 탐지하고, 그 표적의 위치와 속도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결과에 해당하는 표적의 위치 정확도가 중요하다. 그러나 안테나 혹은 김발 자체의 지향 정확도, EGI 자이로 센서와 하우징 간의 정렬 오차, EGI 정렬치구의 공차 등의 기계적 오차와 측정 센서 등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오차로 인해 표적의 위치 결과에서 방위각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경우, 모노펄스 기울기(Monopulse ratio) 정보가 아무리 정확하더라도 표적의 방위각 정확도가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발생한 표적의 위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모노펄스 레이...
TAG GMTI, Radar, Target Detection, Monopulse
원격 탐사 영상을 활용한 CNN 기반의 초해상화 기법 연구
최연주 ( Yeonju Choi ) , 김민식 ( Minsik Kim ) , 김용우 ( Yongwoo Kim ) , 한상혁 ( Sanghyuck Han )  대한원격탐사학회,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020] 제36권 제3호, 449~460페이지(총12페이지)
초해상화 기법은 저해상도 영상을 고해상도 영상으로 변환하는 기법이다. 최근에는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초해상화 방법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원격 탐사 분야에서도 이를 응용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성 영상의 4배 해상도 향상을 위하여 deep back-projection network (DBPN) 네트워크에 기반한 초해상화 기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복원된 영상의 디테일 및 윤곽선 부분에서의 고품질 영상 획득을 위해 윤곽선 손실 함수를 제안하고, 효과적이고 안정적인 학습을 위하여 Wasserstein distance 손실 함수를 사용한 GAN 기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자연스러운 저해상도 훈련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detail preserving image down-scaling (DPID) 기법을 적용하였다....
TAG SISR, remote sensing image, super resolution, edge loss, DPID
지상 Pandora와 위성 OMI와 OMPS 오존관측 자료의 상호검증 방법에 대한 분석 연구
백강현 ( Kanghyun Baek ) , 김재환 ( Jae-hwan Kim ) , 김준 ( Jhoon Kim )  대한원격탐사학회,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020] 제36권 제3호, 461~474페이지(총14페이지)
한국은 세계 최초로 정지궤도 환경위성탑재체 Geostationary Environment Monitoring Spectrometer(GEMS)를 발사하여, 동북아시아 지역 대기오염물질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계획 중이다. 위성을 이용한 대기오염물질 관측은 불량조건문제(ill-posed problem)에서 역문제의 해를 찾는 과정이기 때문에, 위성 관측 값은 오차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GEMS 산출물이 신뢰성을 갖기 위해서는 지상관측 또는 다른 위성과의 상호 비교 검증 연구가 반드시 요구된다. 본 연구는 향후 GEMS의 오존 관측자료의 검증에 사용될 위성인 OMI, OMPS 그리고 서울과 부산에 설치된 지상 관측기기인 Pandora에서 측정된 total column ozone (TCO)를 상호 비교분석함으...
TAG Pandora, validation, OMI, OMPS, GEMS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활용한 공간정보 기반 극단적 기후사상 분석 도구(EEAT) 개발
한국진 ( Kuk-jin Han ) , 이명진 ( Moung-jin Lee )  대한원격탐사학회,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020] 제36권 제3호, 475~486페이지(총12페이지)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기후변화 대응 연구의 기반이 되는 사항으로, 대용량 시공간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데이터의 관점에서는 1종의 시나리오가 약 83 기가바이트(Giga bytes) 이상의 대용량이며, 데이터 형식은 반정형으로 검색, 추출, 저장 및 분석 등 활용상 제약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용량, 다중시기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활용을 편리하게 개선하기 위하여 공간정보 기반의 극단적 기후사상 분석 도구를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도구를 RCP8.5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적용하여 과거 발생한 집중호우 임계치가 미래 발생 가능한 시기와 공간에 대한 시범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3일 누적 강우량 587.6 mm 이상인 날이 2080년대 약 76회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집중호우는 국지적으로 발생하였다. 개발된 분석도구는 초기 설...
TAG Climate Change Scenario, Extreme Event, Spatial Information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