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어류학회145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어미 크기 및 복부팽만도에 따른 능성어, Epinephelus septemfasciatus의 배란유도 효과
조재권 ( Jae Kwon Cho ) , 홍창기 ( Chang Gi Hong ) , 박종연 ( Jong Youn Park ) , 손맹현 ( Maeng Hyun Son ) , 박재민 ( Jae Min Park ) , 한경호 ( Kyeong Ho Han ) , 김경민 ( Kyong Min Kim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6] 제28권 제4호, 260~266페이지(총7페이지)
능성어, Epinephelus septemfasciatus의 우량 수정란을 생산 할 수 있는 어미 선별기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해상가두리에서 6년간 키운 시험어의 현태적 특징을 관찰하고 호르몬 처리하여 난질을 관찰 분석하였다. 시험어는 4개의 체중 범위 (3.0~4.0, 4.0~5.0, 5.0~6.0, 6.0~7.0 kg)와 뒷지느러미를 기준으로 복부팽만한 정도를 I~IV 단계로 나눈 후 산란빈도, 채란량, 부상률, 수정률, 난발생 생존율 및 부화율을 조사하고, 수정란과 유구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또한 생식소 발달을 확인하기 위하여 복부팽만도 단계별 생식소 중량지수 (GSI)를 구하고, 조직학적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어체중이 5.0kg 이상일 때 모든 개체에서 배란이 유도되었다. 또한 복부팽만도 I, I...
TAG Sevenband grouper, egg quality, hormone (LHRHa), GSI, ovulation induction
한국산 거북복과 (Ostraciidae) 어류 1미기록종, Lactoria diaphana
김병엽 ( Byeong Yeob Kim ) , 한송헌 ( Song Hun Han ) , 송춘복 ( Choon Bok Song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6] 제28권 제4호, 279~282페이지(총4페이지)
복어목, 거복복과에 속하는 Lactoria diaphana (표준체장 208.0 mm) 1개체가 2011년 11월 14일에 제주도 성산읍 연안에서 채집되었다. 이 종은 눈의 앞부분에 전방으로 1쌍의 가시가 돌출되었으며, 등의 융기부 중앙에는 약간 휘어진 가시가 있고, 꼬리지느러미 아래쪽의 배쪽 융기선으로부터 후방으로 1쌍의 가시를 가지며 몸통에는 검은 반점들이 분포하고 있다. 이 미기록종의 한국명을 “소뿔복”으로 명명하였다.
TAG 거북복과, 소뿔복, 미기록종, 제주도, Lactoria diaphana, Ostraciidae, new record, Jejudo Island, Korea
사육조건에 따른 능성어, Epinephelus septemfasciatus, 수정란의 난질 및 아미노산 조성
김경민 ( Kyong Min Kim ) , 조재권 ( Jae Kwon Cho ) , 박종연 ( Jong Youn Park ) , 손맹현 ( Maeng Hyun Son ) , 박재민 ( Jae Min Park ) , 한경호 ( Kyeong Ho Han ) , 홍창기 ( Chang Gi Hong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6] 제28권 제4호, 229~238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능성어 부상란과 침강란의 아미노산 분석을 통하여 난의 생존에 필요한 요소를 구명하고, 사육환경 및 먹이에 따른 난질의 변화를 난의 생화학적 분석을 통하여 난질에 영향을 미칠수 있는 요소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 육상수조에서 사육하는 것보다 해상가두리에서 사육할 때 난질이 우수하였고, 서로 다른 먹이를 공급한 후 배란을 유도하여 난의 특징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배합사료만 공급하거나 배합사료와 생사료를 혼합급이한 것보다는 생사료만을 급이한 어미에게서 우수한 수정란을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부상란과 침강란의 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 부상란에서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이 높았으며, 배합사료만 급이하거나 배합사료와 생사료를 혼합 급이한 경우 보다는 생사료만을 공급한 경우 수정란의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이 높았다. 즉, 난질이 우수할수록 유리아미노산의...
TAG Sevenband grouper, egg quality, amino acid, free amino acid
통영 연안 조간대의 조수웅덩이에 출현하는 점망둑 (Chaenogobius annularis)의 식성
조갑자 ( Gab Ja Cho ) , 김현지 ( Hyeon Ji Kim ) , 박종혁 ( Jong Hyeok Park ) , 최희찬 ( Hee Chan Choi ) , 백근욱 ( Gun Wook Baeck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6] 제28권 제4호, 267~272페이지(총6페이지)
채집기간 동안 총 315개체의 점망둑 (Chaenogobius annularis)이 채집되었으며, 8.6%의 공복률을 보였다. 점망둑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상대중요성지수비 50.5%를 차지한 요각류 (Copepoda)였다. 요각류 다음으로 해조류 (Seaweed)가 우점하였으며, 그 외 곤쟁이류 (Mysidacea), 만각류 (Cirripedia), 단각류 (Amphipoda) 등도 섭식하였으나 그 양은 많지 않았다. 점망둑은 성장함에 따라 요각류의 섭식은 감소하였고 해조류의 섭식이 증가하였다.
TAG Chaenogobius annularis, feeding habits, tidepool
한국산 대륙송사리 Oryzias sinensis (Pisces: Adrianichthyidae) 후각기관의 해부 및 조직화학적 연구
김현태 ( Hyun Tae Kim ) , 이용주 ( Yong Joo Lee ) , 박종영 ( Jong Young Park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6] 제28권 제4호, 223~228페이지(총6페이지)
한국산 대륙송사리 Oryzias sinensis의 후각기관을 실체현미경과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해부 및 조직 화학적 특징들을 조사하였다. 전체적 구조에서 후각기관은 두부의 주둥이 위에 한 쌍으로 존재하였으며 다소 떨어져있는 전비공과 후비공, 한 개의 비강, 한 개의 비낭으로 구성되었다. 비강내 상피는 감각상피와 비감각상피층으로 구분되었다. 감각상피는 후감각세포, 지지세포, 기저세포 그리고 공포들로 구성되었다. 비감각상피는 층상상피세포, 산성과 중성 점액세포들로 구성되었다. 비낭의 상피층은 층상상피세포와 배상세포들로 구성되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대륙송사리의 후각기관의 해부 및 조직화학적 특징들은 농경지에서의 정체되고 오염되어있는 수환경을 반영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TAG 비공, 비강, 비낭, 점액세포, Two nostrils, single olfactory chamber, single accessory nasal sac, mucous cell
남해 앵강만 잘피밭 어류의 월별 종조성 변화
이승환 ( Seung Hwan Lee ) , 이용득 ( Yong Deuk Lee ) , 신민규 ( Min Gyu Shin ) , 곽우석 ( Woo Seok Gwak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6] 제28권 제4호, 249~259페이지(총11페이지)
경남 남해 앵강만 잘피밭에서 2013년 10월부터 2014년 9월까지 소형 지인망을 이용하여 월별 어류군집의 특징 및 종조성을 조사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총 6목 22과 35종 3,174개체, 3,137 g이 채집되었다. 우점종은 살망둑이었으며, 다음으로 베도라치, 그물코쥐치, 날개망둑, 미역치 순으로 채집되었다. 앵강만 잘피밭을 이용하는 어류들은 시기를 달리하여 출현하였으며, 채집된 대부분의 어류는 크기가 작은 유어였다. 우점종의 출현 양상을 고려할 때 유어는 수심이 얕은 잘피밭을 성육장으로 이용하고 성장함에 따라 보다 깊은 수심의 잘피밭으로 서식지를 이동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앵강만 잘피밭에서는 남해안 잘피밭에서 수행된 선행연구들에서는 보고되지 않은 날매퉁이, 쑤기미, 꼬치고기 그리고 흰점꺼끌복이 채집되었다.
TAG Seagrass, species composition, fish community, Aenggang Bay
해산송사리, Oryzias dancena 유도 3배체의 세포유전학적 연구
박인석 ( By In-seok Park ) , 길현우 ( Hyun Woo Gil ) , 이태호 ( Tae Ho Lee ) , 남윤권 ( Yoon Kwon Nam ) , 고민균 ( Min Gyun Ko ) , 김동수 ( Dong Soo Kim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6] 제28권 제4호, 215~222페이지(총8페이지)
본 연구는 3배체 해산송사리, Oryzias dancena를 생산하기 위해서 다양한 조건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저온처리 (0°C)에서 30, 45, 60분간 처리하여 3배체를 유도 생산하였다. 여러 유도조건 결과, 45분간 처리하였을 때 가장 높은 3배체 생산율이 나타났다. 3배체 판별은 Chromosome 관찰, flow cytometer 분석 및 적혈구 측정을 통해서 판별하였다. 3배체 해산송사리의 적혈구 표면적과 부피는 2배체 해산송사리보다 크게 나타났고, 3배체 Chromosome number는 72개, 2배체는 48개가 관찰되었다. Flow cytometer 분석에서도 3배체가 2.40 pg/cell 그리고 2배체가 1.61 pg/cell 측정되어 DNA contents도 3배체가 2배체보다...
TAG 저온처리, DNA 함량, 유세포분석기, 해산송사리, 3배체, Cold shock, DNA contents, flowcytometry, marine medaka, triploid
넙치 (Paralichtys olivaceus) 유래 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 (VHSV, genotype IVa)의 무지개송어 (Oncorhynchus mykiss) 감염 실험
김위식 ( Wi-sik Kim ) , 정하나 ( Ha-na Jeong ) , 공경희 ( Kyoung-hui Kong ) , 김아라 ( Ah-ra Kim ) , 전영호 ( Young-ho Jeon ) , 오명주 ( Myung-joo Oh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6] 제28권 제3호, 141~146페이지(총6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넙치 유래 VHSV (genotype IVa)에 의한 무지개송어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다양한 조건에서 감염 실험을 실시하였다. 3개의 다른 로트의 담수 무지개송어 치어에 VHSV (106.3-7.3 TCID50/fish)를 복강 주사한 결과, 15% 이하의 누적 폐사율이 관찰되었다. 무지개송어 (in vivo)를 사용하여 VHSV를 계대 배양한 후 감염 실험을 실시한 결과, VHSV를 5회 계대 배양하여도 독력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해수에 사육 중인 송어 (성어)에 넙치 유래 VHSV(105.3 TCID50/fish와 106.3 TCID50/fish)...
TAG VHSV, olive flounder, rainbow trout, infection trials, in vivo passage
뚝지, Aptocyclus ventricosus 피부의 미세구조
전미애 ( Mi Ae Jeon ) , 김혜진 ( Hyejin Kim ) , 박정준 ( Jung Jun Park ) , 김재원 ( Jea Won Kim ) , 이정식 ( Jung Sick Lee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6] 제28권 제3호, 147~155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넙치 유래 VHSV (genotype IVa)에 의한 무지개송어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다양한 조건에서 감염 실험을 실시하였다. 3개의 다른 로트의 담수 무지개송어 치어에 VHSV (106.3-7.3 TCID50/fish)를 복강 주사한 결과, 15% 이하의 누적 폐사율이 관찰되었다. 무지개송어 (in vivo)를 사용하여 VHSV를 계대 배양한 후 감염 실험을 실시한 결과, VHSV를 5회 계대 배양하여도 독력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해수에 사육 중인 송어 (성어)에 넙치 유래 VHSV(105.3 TCID50/fish와 106.3 TCID50/fish)...
TAG Aptocyclus ventricosus, integument, ultrastructure
한국고유종 남방종개 Iksookimia hugowolfeldi (미꾸리과)의 난발생 및 초기생활사
고명훈 ( Myeong-hun Ko ) , 방인철 ( In-chul Bang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6] 제28권 제3호, 156~163페이지(총8페이지)
한국 고유종 남방종개 Iksookimia hugowolfeldi의 난발생 및 초기생활사를 밝히기 위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성숙한 개체 복강에 Ovaprim (0.5 mL/kg)을 주사하여 12시간 경과 후 복부 압박법으로 채란하여 건식법으로 인공수정 시켰다. 산란된 난은 평균 1,933±530개로, 약한 점착성을 띤 밝은 노란색의 분리침성난이었으며, 난경은 1.35±0.03mm였다. 수온 25℃에서 수정 후 56시간 (50%)에 부화하였으며, 크기는 전장 5.6±0.18mm였다. 부화 후 5일에는 전장 7.8±0.31 mm로 난황을 모두 흡수하여 후기자어기로 넘어갔으며, 부화 후 15일에는 전장 13.2±0.87 mm로 지느러미 기조가 모두 정수가 되어 치어기로 이행하였다. 부화 후 100일에는 전장 49.2±...
TAG Iksookimia hugowolfeldi, spine loach, egg development, early life history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