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대한지질공학회3636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결정질 암반의 투수량계수 도출을 위한 펄스시험의 적용성 연구
박경우 ( Kyung-woo Park ) , 박병학 ( Byeong-hak Park ) , 고낙열 ( Nak-youl Ko ) , 지성훈 ( Sung-hoon Ji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20] 제30권 제3호, 223~235페이지(총13페이지)
본 논문에서는 결정질 암반에 건설된 지하연구시설에서 암반의 수리지질특성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할 수 있는 현장수리시험의 방법으로 펄스시험을 소개하였다. 아울러 지하연구시설에서 수행한 슬러그시험과 펄스시험의 결과를 비교하여 결정질 암반의 수리지질특성 도출에 대한 펄스시험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펄스시험과 슬러그시험의 결과를 비교해 볼 때, 매질의 투수성이 낮은 시험구간에서는 그 결과가 매우 유사하게 도출되었지만 투수량계수가 1 × 10-8 m2/s 이상인 구간에서는 약간의 차이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투수성의 차이는 수리시험 시 적용되는 수리 영향 반경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시험결과를 통하여 펄스시험을 투수량계수가 1 × 10-7 m2/s 이상인 시험구간에...
TAG crystalline rock, underground research facility, in-situ hydraulic test, pulse test, slug test, 결정질 암반, 지하연구시설, 현장수리시험, 펄스시험, 슬러그시험
구조해석과 현장계측에 의한 고강도 격자지보재의 성능 평가
이재원 ( Jeo-won Lee ) , 민경남 ( Kyong-nam Min ) , 정지욱 ( Ji-wook Jeong ) , 노병국 ( Byoung-kuk Roh ) , 이상진 ( Sang-jin Lee ) , 안태봉 ( Tae-bong Ahn ) , 강성승 ( Seong-seung Kang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20] 제30권 제3호, 238~252페이지(총15페이지)
본 연구는 H형강 대체 지보재로 개발된 고강도 격자지보재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터널에서의 지보재에 대한 구조해석과 계측에 의한 터널 변위와 지중응력 변화를 살펴보았다. 터널 지보재 3차원 비선형 구조해석 결과에 의하면, H형강과 고강도 격자지보재의 하중과 변위 관계는 거의 동일한 거동을 보였으며, 고강도 격자지보재의 최대하중은 H형강보다 1.0~1.2배 크게 나타났다. 터널 지보재 3차원 터널단면해석 결과에 의하면, 축력은 터널 좌측 및 우측 하단부에서 크게 발생했으며 현장시험 계측값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천단침하 및 내공변위 계측 결과에 의하면, 터널 내 강지보(H형강)와 고강도 격자지보 구간의 최종변위량은 1차 관리기준인 23.5 mm 이내의 큰 차이 없이 일정한 값으로 수렴되었다. 지중변위 계측 결과에 의하면, 두 지보재 구간의 최종변화량은...
TAG steel arch rib, H-profile, high-strength lattice girder, rod extension, shotcrete stress, 강지보재, H형강, 고강도 격자지보, 내공변위, 숏크리트응력
분포형 수문모형과 빈도해석을 이용한 강수량별 지하수 개발가능량 산정
김민수 ( Minsoo Kim ) , 정교철 ( Gyocheol Jeong ) , 이정은 ( Jeong Eun Lee ) , 김민규 ( Min-gyu Kim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20] 제30권 제3호, 253~268페이지(총16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분포형 수문모형 SWAT-K를 사용한 함양률을 산정하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유역 내에서 실제로 관측한 수문곡선 자료를 기반으로 기저유출 분리법을 이용하여 함양량 산정의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통상 지하수 개발가능량 산정 시 10년 빈도 갈수 시 강수량에 평균함양률을 곱하여 실무에 활용하고 있으나, 실제로 함양률은 강수량이 작을수록 작아지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평균 함양률을 사용하게 되면 개발가능량이 과다 산정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강수량 규모를 고려한 함양량으로 함양률을 재산정하여 개발가능량을 산정하였다. 이 방법을 의왕ㆍ과천ㆍ성남시에 적용한 결과 소유역별 개발가능량은 기존 방법 대비 55.5~77.6%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AG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frequency analysis, exploitable groundwater, groundwater recharge, SWAT-K, precipitation, 분포형 수문모형, 빈도해석, 지하수 개발가능량, 지하수 함양량, 강수량
수치모델을 이용한 소분지에서의 지하수 인공함양 효과 예비 평가
최명락 ( Myoung-rak Choi ) , 차장환 ( Jang-hwan Cha ) , 김규범 ( Gyoo-bum Kim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20] 제30권 제3호, 269~278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현장 주입 시험 및 3차원 수치모델을 이용하여 상류 소분지에서의 수직정을 이용한 지하수 인공함양 효과를 예비 평가하였다. 현장 주입 시험의 주입량, 지하수위 및 입도 분석 자료에 의한 수리 전도도 등을 이용하여 모델의 공당 주입량을 20, 37.5, 60, 75 m3/day로 설정하였으며, 주입 간격에 따른 총 28개의 경우에 대하여 MODFLOW를 활용한 수치모델을 실시하여 지하수위 및 물수지 변화를 분석하였다. 주입 후 주변 관측정에서의 지하수위 상승이 공당 주입량과 비례적인 선형 관계를 보이진 않았으며, 주입 간격이 길어지면 누적 효과가 감소하여 최대 수위상승 시기가 짧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4가지 경우의 공당 주입량을 매일 연속으로 주입하여 총량 1,200 m3...
TAG artificial recharge, numerical model, injection well, recharge effect, 인공함양, 수치모델, 주입정, 함양효과
안전과 저수량 증대 측면의 샌드댐 설계 개선 방안
서동건 ( Dong Gun Seo ) , 서종원 ( Jong Won Suh ) , 채정욱 ( Jeong Uk Chae ) , 김성준 ( Sung Jun Kim ) , 윤태섭 ( Tae Sup Yun ) , 정일문 ( Il-moon Chung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20] 제30권 제3호, 279~288페이지(총10페이지)
샌드댐이란 하천의 횡단에 보 등을 설치하고 확보된 공간에 모래와 같은 투수성 재료와 물을 함께 채운후, 공극내의 물을 저장하여 사용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주로 아프리카 케냐를 중심으로 많은 사례가 보고되고 있는 샌드댐에 관해 본 연구에서는 샌드댐의 구조적 안전과 취수량 증대를 위한 설계 방안을 제시 하였다. 첫째, 샌드댐의 콘크리트 벽체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철근을 가시철근으로 연결, 시공의 편리함을 제시했다. 둘째, 지오텍스타일을 이용하여 증발을 45%에서 8%로 감소시킬 수 있었고 수평방향 투수배출량도 크게 줄일 수 있어 취수량은 기존대비 약 2.4배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밖에도 수질개선을 위한 침사지 설계로 여과효율을 높였고, 토양수분장력계를 통한 모니터링 방법도 제시하였다.
TAG sand dam, geotextile, tensiometer, evaporation, 샌드댐, 지오텍스타일, 토양수분장력계, 증발
복합 지구물리탐사와 사면 안정해석 자료를 이용한 땅밀림 지역의 활동연약대 파악
이선중 ( Sun-joong Lee ) , 김지수 ( Ji-soo Kim ) , 김관수 ( Kwan-soo Kim ) , 권일룡 ( Il-ryong Kwon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20] 제30권 제3호, 289~302페이지(총14페이지)
2016년 경상남도 하동군 땅밀림 지역의 지하구조와 미끄럼사면을 파악하기 위해 지구물리탐사(전기비저항, 탄성파 굴절법, 시추공 영상촬영)와 사면안정해석을 실시하였다. 시추조사와 탄성파속도로 해석된 사면의 지층 및 지하구조는 20여 m의 두터운 퇴적층 밑에 구간에 따라 1 m보다 얇은 풍화암 및 연암이 각각 분포한다. 지표지질조사를 통하여 관찰된 인장균열의 지표흔적을 기준으로 시추공 BH-2에서 영상촬영을 수행하여 확인된 집중 파쇄대의 분포는 지하수면과 쌍극자배열 전기비저항 단면에서 해석된 활동연약대의 깊이와 잘 부합한다. 기반암 표면의 고비저항 돌출부는 연약대의 하부 진행을 막는 일종의 자연적인 받침대 역할을 하여 이것을 경계점으로 활동면이 미끄러지고 약간 위로 올라가는 휘어진 파괴면을 수반하는 땅밀림의 특성을 설명해준다. 활동연약대에 대한 사면안...
TAG land creeping, integrated geophysical survey, tension crack, slope stability analysis, slip weak zone, 땅밀림, 복합지구물리탐사, 인장균열, 사면안정해석, 활동연약대
샘물 취수정이 위치한 소유역의 지하수함양 특성에 관한 연구
손두기 ( Doo Gie Son ) , 정교철 ( Gyo-cheol Jeong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20] 제30권 제3호, 303~314페이지(총12페이지)
먹는샘물 제조업체의 경우 주기적인 환경영향조사, 일취수량 제한, 그리고 취수량 및 수위, 수질(pH, EC, 온도)을 1시간 간격으로 계측하여 매월 보고하고, 정기 수질검사 등을 통해 엄격히 관리하고 있어 과잉 취수로 인한 지하수위 강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사례가 적으나 제조업체 주변 지하수관련 민원의 원인 제공자로 각인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환경영향조사의 물수지 분석 시 수문분야 전문가들의 평가에 부합하고, 비전문가에게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기법의 제시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샘물 취수정이 위치한 소유역의 지표수 수위 및 유출량을 측정하고 상시하천의 월별 기저유출량을 분리하였다. 또한 동일 유역의 지하수(취수정), 지표수, 강수의 산소, 수소 동위원소를 분석하여 지하수와 지표수의 함양특성에 관하여 추정하였다.
TAG baseflow, oxygen and hydrogen isotopic composition, spring water, recharge, 기저유출, 산소ㆍ수소 동위원소, 샘물, 함양량
AutoML을 이용한 산사태 예측 및 변수 중요도 산정
남경훈 ( Kounghoon Nam ) , 김만일 ( Man-il Kim ) , 권오일 ( Oil Kwon ) , 왕파우 ( Fawu Wang ) , 정교철 ( Gyo-cheol Jeong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20] 제30권 제3호, 315~325페이지(총11페이지)
이 연구는 도로 비탈면에서 발생하는 산사태의 확률론적 예측에 기반된 산사태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의 중요도 산정 및 예측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산사태 예측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한반도 전 지역을 대상으로 2007년부터 2020년까지 조사된 30,615사면의 현장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전체 131개의 변수 인자 중 지형인자 17개, 지질인자 114개(기반암 89개를 포함), 도로와의 이격거리를 사용하였다. 산사태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자동화된 머신러닝인 AutoML을 실시하여 예측 성능이 뛰어난 XRT(extremely randomized trees)를 선정하였다. 변수 중요도 분석결과 지형적 요인 10개, 지질인자 9개, 사회적 영향성인 도로와의 이격 거리와 관련된 항목순으로 급경사지 불안정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
TAG AutoML, XRT, landslide prediction model, probabilistic prediction, variable importance, 산사태 예측 모델, 확률론적 예측, 변수 중요도
제주 거문오름 용암동굴계의 진동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송재용 ( Jae-yong Song ) , 이근춘 ( Geun-chun Lee ) , 안웅산 ( Ung-san Ahn ) , 임현묵 ( Hyun-muk Lim ) , 서용석 ( Yong-seok Seo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20] 제30권 제3호, 327~345페이지(총19페이지)
본 연구는 제주도에서 각종 개발과정 중 발생되는 지반진동이 용암동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 용암동굴의 효율적인 관리보존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제주도 거문오름동굴계 분포지역에서 암질별 RMR과 Q-system 암반분류를 통해 지반상태를 평가하였고, 시추공 내에서 발파를 수행하여 만장굴 및 용천동굴에서 진동속도를 측정하였다. 암반분류 결과와 진동속도를 분석한 결과 암질이 좋을수록 진동의 영향이 크고, 암질이 불량할수록 진동영향이 작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으나 지반 불균질성 등의 이유로 선형관계가 뚜렷하게 나타나진 않았다. 진동시험 결과를 토대로 진동속도(PPV)와 진동레벨(dB(V))의 상관관계식을 도출하였으며, 생활진동규제기준(진동레벨 주간 65 dB(V), 야간 60 dB(V))을 만족하려면 진동속도가 주간 0.371 ...
TAG geomunoreum lava tubes, vibration velocity, PPV, vibration level, blasting, manjanggul lava tube, yongcheondonggul lava tube, 거문오름 용암동굴계, 진동속도, 진동레벨, 발파, 만장굴, 용천동굴
Landsat-8 위성을 통한 토지피복 변화와 지하수 함양량 상관성 고찰
박승혁 ( Seunghyuk Park ) , 정교철 ( Gyo-cheol Jeong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20] 제30권 제3호, 347~378페이지(총32페이지)
SWAT-MODFLOW의 월평균 수문성분 자료를 바탕으로 지하수 함양관련 토양층의 측방유출, 침루량을 산정하는 기본자료인 수문응답단위(HRU)와 이를 구성하는 토지피복, 토지이용, 토양통에서 영향이 큰 지하수 함양량 인자를 분석하였다. 봄, 가을별 bare soil line(BSL)을 통해 PVI를 분석하고 기존의 NDVI, NDTI, NDRI와 함께 함양량 분포와 토양-식생관련 지수의 빈도분석과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비정규분포 양상을 보이는 NDVI와 NDTI에서 매우 유의한 양의 상관성이 확인되었다. 연구지역의 bare soil line 기울기는 약 1.092~1.343, 절편은 약 -0.004~-0.015이며 상대적으로 월평균강우량이 우세한 5월에는 Red밴드가 다른 시기에 비해 약 3~4배 증가하...
TAG SWAT-MODFLOW, groundwater recharge, hydrologic response unit, HRU, Landsat-8, bare soil line, BSL, 지하수함양량, 수문응답단위, bare soil line, BSL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