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대한지질공학회3636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고강도 격자지보재의 개발 및 그 성능 평가
이재원 ( Jae-won Lee ) , 민경남 ( Kyong-nam Min ) , 정지욱 ( Ji-wook Jeong ) , 노병국 ( Byoung-kuk Roh ) , 이상진 ( Sang-jin Lee ) , 안태봉 ( Tae-bong Ahn ) , 강성승 ( Seong-seung Kang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20] 제30권 제1호, 43~57페이지(총15페이지)
본 연구는 기존의 강지보재보다 우수한 고강도 격자지보재를 개발하여 그 성능을 평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수치해석을 이용한 지보재의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였고, 시작품에 대한 최대 굽힘하중시험과 용접이음부 인장강도시험을 실시하여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구조해석 결과에 따른 최적의 상하부부재와 플레이트의 규격은 50 mm × 31.8 mm × 25.4 mm로 시공성과 경제적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굽힘하중시험으로부터 확정된 규격 55 mm × 30 mm × 20 mm와 85 mm × 30 mm × 20 mm의 고강도 격자지보재는 기준값과 H형강 100과 125의 목표값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론 처짐량과 실제 처짐량의 비를 검토한 결과, 이 연구에서 개발된 고강도 격자지보재는 독일연방 철도국에서 제시하고 있는 격자지보재 처짐량의 평가기준 5 이하로 ...
TAG 강재지보, 고강도 격자지보, 구조해석, 굽힘하중시험, 처짐량, 인장시험, steel arch rib, high strength lattice girder, structural analysis, bending load test, deflection, tensile test
CPR 말뚝의 인발재하시험을 통한 주면마찰력 평가
고진석 ( Chin-surk Ko ) , 김정한 ( Jung-han Kim ) , 노정두 ( Jeongdu Noh ) , 강성승 ( Seong-seung Kang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20] 제30권 제1호, 59~69페이지(총11페이지)
CPR 시험말뚝에 대해 인발재하시험을 실시하고, 하중-변위 곡선과 하중-침하량 곡선을 분석한 후 항복하중과 허용지지력을 산정하여 주면마찰력을 평가하였다. 하중-변위 곡선으로부터 분석된 CPR 시험말뚝의 결과에 의하면, CPR 시험말뚝의 직경이 큰 경우의 항복하중과 허용지지력이 작은 경우보다 약 1.4배 이상 크게 나타났다. 하중-침하량 곡선으로 부터 분석된 결과에 의하면, CPR 시험말뚝의 직경 D500의 허용지지력이 D400보다 약 1.2~2.1배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Fuller 분석에 의해 산정된 허용지지력은 P-S 곡선과 log P - log S 곡선에 의해 산정된 허용지지력과 큰 차이를 보여, Fuller 분석에 의한 허용지지력 산정은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TAG CPR 시험말뚝, 인발재하시험, 항복하중, 허용지지력, 주면마찰력, CPR test pile, pull-out load test, yield load, allowable bearing capacity, skin friction
지질유산 가치를 고려한 위험비탈면 보존 방안 사례 연구
정준호 ( Jun-ho Jeong ) , 김승현 ( Seung-hyun Kim ) , 박병석 ( Byung-suk Park ) , 우용훈 ( Yong-hoon Woo ) , 강윤석 ( Yun-seok Kang ) , 구호본 ( Ho-bon Koo ) , 손문 ( Moon Son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20] 제30권 제1호, 71~84페이지(총14페이지)
강원도 평창 방림 지구 깎기 비탈면에 드러난 단면은 고생대 조선누층군 석회암층을 기반으로 다양한 지질구조가 발견된다. 비탈면에서 관찰되는 횡와습곡(recumbent fold)은 우리나라에서도 발견된바 거의 없는 매우 희귀한 지질구조로 강원도 지역 고생대 시대의 지질 구조의 형성과정을 규명함에 중요한 학술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비탈면에서 관찰되는 지질구조의 지질학적 가치에 대하여 논의하며, 위험비탈면의 관리방안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횡와습곡의 발달 상태는 지질학적 희소성, 특이성 등에서 보존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지질과학 교육적 중요한 가치를 지니는 지질유산으로써의 보호 및 낙석위험 저감대책을 통한 보존 관리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나아가 지질공원(geopark)으로 보전되고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AG 낙석, 횡와습곡, 지질유산적 가치, 지질공원, rockfall, recumbent fold, geoheritage value, geopark
암반사면 안정 해석을 위한 강도정수 산정 사례연구
김학준 ( Hak Joon Kim ) , 정준호 ( Jun-ho Jeong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20] 제30권 제1호, 85~101페이지(총17페이지)
강도정수의 산정은 암반사면의 안정성 해석에 매우 중요하다. 강도정수를 결정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여러 연구자들에 의하여 제안되었다. 암반사면의 안정성 해석을 위하여 강도정수 결정에 사용된 방법들의 빈도를 문헌조사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특히 파괴유형에 따른 강도정수 결정방법의 빈도수를 조사하였다. 사례연구를 통하여 암석과 불연속면의 점착력과 마찰각의 값을 조사하여 RMR값과 함께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점착력은 내부마찰각과 비교하여 상당히 큰 범위를 보였다. RMR은 점착력과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마찰각과는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파괴유형에 따라 강도정수 결정을 위하여 적절한 방법이 사용되어야 하며 문헌조사를 통하여 결과를 검증해야 한다. 향후 각 지역별로 역해석을 통하여 파괴가 발생한 사면에 대한 강도정수 자료가 축적된다면 강도정수 결정의 신뢰...
TAG 강도정수, 암반사면, 안정성 해석, 파괴유형, strength parameters, rock slopes, stability analyses, failure type
Comparison of Different Permeability Models for Production-induced Compaction in Sandstone Reservoirs
( Thanh To ) , ( Chandong Chang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19] 제29권 제4호, 367~381페이지(총15페이지)
강도정수의 산정은 암반사면의 안정성 해석에 매우 중요하다. 강도정수를 결정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여러 연구자들에 의하여 제안되었다. 암반사면의 안정성 해석을 위하여 강도정수 결정에 사용된 방법들의 빈도를 문헌조사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특히 파괴유형에 따른 강도정수 결정방법의 빈도수를 조사하였다. 사례연구를 통하여 암석과 불연속면의 점착력과 마찰각의 값을 조사하여 RMR값과 함께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점착력은 내부마찰각과 비교하여 상당히 큰 범위를 보였다. RMR은 점착력과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마찰각과는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파괴유형에 따라 강도정수 결정을 위하여 적절한 방법이 사용되어야 하며 문헌조사를 통하여 결과를 검증해야 한다. 향후 각 지역별로 역해석을 통하여 파괴가 발생한 사면에 대한 강도정수 자료가 축적된다면 강도정수 결정의 신뢰...
TAG permeability, reservoir compaction, pore pressure, production rate
Mechanical Behaviour of Bio-grouted Coarse-grained Soil: Discrete Element Modelling
( Chuangzhou Wu ) , ( Bo-an Jang ) , ( Hyun-sic Jang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19] 제29권 제4호, 383~391페이지(총9페이지)
강도정수의 산정은 암반사면의 안정성 해석에 매우 중요하다. 강도정수를 결정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여러 연구자들에 의하여 제안되었다. 암반사면의 안정성 해석을 위하여 강도정수 결정에 사용된 방법들의 빈도를 문헌조사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특히 파괴유형에 따른 강도정수 결정방법의 빈도수를 조사하였다. 사례연구를 통하여 암석과 불연속면의 점착력과 마찰각의 값을 조사하여 RMR값과 함께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점착력은 내부마찰각과 비교하여 상당히 큰 범위를 보였다. RMR은 점착력과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마찰각과는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파괴유형에 따라 강도정수 결정을 위하여 적절한 방법이 사용되어야 하며 문헌조사를 통하여 결과를 검증해야 한다. 향후 각 지역별로 역해석을 통하여 파괴가 발생한 사면에 대한 강도정수 자료가 축적된다면 강도정수 결정의 신뢰...
TAG bio-cementation, coarse aggregates, size effect, uni-axial test, discrete element method, 3D morphology digitization
인공함양 원수확보를 위한 돌망태 보의 저류 및 취수성능에 관한 연구
한일영 ( Il Yeong Han ) , 김규범 ( Gyoo Bum Kim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19] 제29권 제4호, 393~403페이지(총11페이지)
취수보의 저류성능은 유량과 수심의 관계로 평가될 수 있다. 돌망태 취수보의 유량과 수심의 관계는 채움재의 물리적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함양 원수확보를 위한 돌망태 취수보의 저류성능을 평가하는데 활용할 기존의 방류량 산출식들을 검토하였다. 채움재의 물리적 특성을 실험변수들과 관계식으로 표현한 기존의 방류량 산출식은 유량과 수심의 관계를 잘 표현하였다. 또한 채움재의 평균입경은 수심확보와 간접취수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저류성능 뿐 아니라 취수성능에도 중요한 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TAG gabion weir, artificial recharge, discharge flow formula, mean size of filling material, water storage and intake performance, 돌망태 취수보, 인공함양, 방류량 산출식, 채움재 평균입경, 저류 및 취수 성능
유도슬롯과 주입공 배열을 이용한 수압암반절개 현장 실험
박종오 ( Jong Oh Park ) , 우익 ( Ik Woo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19] 제29권 제4호, 405~415페이지(총11페이지)
수압암반절개에서 유도된 균열은 자유면에서 지반의 최소주응력에 수직인 방향인 자유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거나, 기존에 발달한 미세균열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흑운모화강암 사면에서 시추공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유도슬롯을 생성하여 이중패커의 압력 및 인터벌 구간에 수압을 주입하는 수압암반절개 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이중패커 압력 및 인터벌 구간 내의 주입으로 형성된 균열은 유도슬롯 방향을 따라 미세하게 나타났으며, 일부 균열은 시추공을 가로질러 연장되었다. 따라서 수압암반절개는 절개할 방향으로 유도슬롯을 생성하여 보다 많은 유량을 주입하면 효율적인 유도균열 조절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AG hydraulic rock splitting, induced crack, guide slot, hydraulic pressure, staddle packer pressurization, free surface, 수압암반절개, 유도균열, 유도슬롯, 수압, 이중패커 가압, 자유면
농업용(전작 및 답작용) 지하수 이용량 추정을 위한 회귀나무 모형의 적용
김규범 ( Gyoo-bum Kim ) , 황찬익 ( Chan-ik Hwang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19] 제29권 제4호, 417~425페이지(총9페이지)
농업용 지하수 이용은 국내 지하수 이용량의 51.8%를 차지하고 있어 정확한 이용량 산정은 지하수의 효율적 정책 추진을 위하여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370개 관정의 이용량 실측 자료를 토대로 회귀나무 모형을 적용한 농업용(전작 및 답작용) 관정의 지하수 이용량의 산정 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모델의 입력 변수는 우물의 심도, 토출관 구경, 양수능력 등 3개가 유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모델에서의 각 변수의 중요도는 우물의 심도가 75%, 토출관 구경이 17%, 양수능력이 8%로 나타났다. 회귀나무 모형에 의한 농업용(전작 및 답작용) 관정의 일 이용량은 실측 이용량과 매우 유사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기존의 국토교통부에서 제시한 추정식에 비하여 실측 이용량에 보다 근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추가적인 실측 표본 자료를 확보하여 본 방법을...
TAG agricultural groundwater use, regression tree, water demand, 농업용 지하수 이용량, 회귀나무, 용수수요량
연약지반 상 노상다짐 방법 개선에 대한 연구
최현석 ( Hyeonsuk Choi ) , 장호훈 ( Hohun Jang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19] 제29권 제4호, 427~437페이지(총11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대단위 연약지반 조성지역에서 도로를 건설할 때 노체층까지 다짐시공 후 압밀처리기간완료에 따른 여성토를 제거하고 노상층을 시공하므로 공사비용, 시간, 현장관리 등의 문제점을 개선 하고자 하였다. 노상층을 연약지반 개량 전에 선시공하여 여성고에 포함시키고 압밀침하 완료 후 선시공된 노상층의 다짐도 유지유무를 현장시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제 1노상층을 제외한 모든 노상층은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따라서 제 1노상층을 제외하고 시공한다면 도로건설에서 경제적 시공성을 확보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TAG compaction, sub-base layer, soft ground improvement, consolidation, 다짐, 노상층, 연약지반개량, 압밀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