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전통조경학회지125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중건 경복궁 후원 오운각(五雲閣) 권역으로 조명한 조선시대 궁궐 별원(別苑)의 특성
정우진 ( Jung Woo-ji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6] 제34권 제3호, 1~17페이지(총17페이지)
본 연구는 고종 연간 경복궁 후원의 북쪽에 조성된 오운각 권역의 특성과 창덕궁 후원 옥류천에 구비되어 있던 기능적 요소가경복궁 후원으로 치환되었던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오운각 권역은 샘과 천하제일복지 각자가 있던 기존의 공간을 활용하여 왕의사적인 공간으로 정비된 공간이었다. 고종은 오랫동안 창덕궁 옥류천이 담당했던 왕실의 휴식과 위락기능을 중건 경복궁에 그대로 옮기려 하였다. 그 결과, 옥류천과 유사한 기능을 하도록 조성된 오운각 권역이 후원의 별원으로 개발되었다. 양자 간에는 후원의 최북단에 조성된 입지 외에도, 건물의 구성 및 유배거의 기능을 했던 것으로 추정되는 관상용 수경설계 등에서 공통점이 발견되었다. 오운각권역은 옥련정, 오운각, 벽화실과 천하제일복지천의 수경시설로 구성되었다. 이중에서 벽화실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옥류천과 직간접적인 관련성을...
TAG 경복궁, 창덕궁, 후원, 경무대, 북궐도형, Gyeongbokgung Palace, Changdeokgung Palace, Ocryuchon, Rear Garden, Bukgwoldohyeong
전통민가와 사찰에 나타난 꽃담의 형태와 상징성 연구 - 전라북도 문화재를 중심으로 -
고유라 ( Go Yu-ra ) , 신상섭 ( Sin Sang-sup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6] 제34권 제3호, 18~27페이지(총10페이지)
건물의 벽이나 담에 여러 가지 문양을 넣은 담장을 ‘꽃담’ 또는 ‘화초장(花草墻), 화문장(花紋牆)’이라고 한다. 꽃담을 통해서 외적으로는 소유자의 권위, 가치관 등을 짐작할 수 있고, 내적으로는 집안의 안녕과 평화를 기원하는 상징적 의미를 추적할 수 있기도 하다. 그동안 꽃담 관련 연구의 경우 궁궐은 건축, 원예, 미술 디자인 분야 등에서 다양하게 진행된 반면 지역성과 관련한 전통민가와 사찰 관련 연구는 조경분야에서 전무한 상태이다. 이러한 관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국가 및 도지정 문화재인 전라북도 소재 전통민가와 사찰의 꽃담 사례를 조경적 관점에서 조사, 분석하였다. 전수 조사한 결과 꽃담이 도입된 전통민가 9개소와 사찰 7개소를 중심으로 연구분석하였다. 즉, 전라북도에 산재하는 문화재 16개소를 중심으로 전통민가와 사찰에 나타나는 꽃담의 형...
TAG 꽃담, 상징성, 행태와 기능, 향토 조경문화, Flowered-Wall, Symbolism, Shape and Function, Local Landscape Culture
정원 연못내 가시연꽃(Euryale ferox Salisbury) 도입을 위한 기초연구 Ⅱ - 토양과 수환경을 중심으로 -
이석우 ( Lee Suk-woo ) , 노재현 ( Rho Jae-hyun ) , 박재철 ( Park Jae-cheol ) , 김화옥 ( Kim Hwa-ok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6] 제34권 제3호, 28~37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연못내 가시연꽃 도입을 위한 일련의 연구로, ‘식물상과 식생환경’에 이어 ‘토양과 수환경’ 기초자료 획득을 목적으로 한 후속연구이다. 전라북도 내의 가시연꽃 자생지 14곳에 대한 문헌 및 현장조사를 통해 자생지의 토양환경과 수문환경에 대한 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최소한 저토와 수환경의 부영양화는 가시연꽃 생육의 장애가 되지는 않다고 판단되며 약 70년 이상의 지령(池齡)을 갖는 서식지에서 가시연꽃 생육이 왕성한 것으로 파악된다. 가시연꽃 생육지의 토성은 점토 80.2%, 미사 16.7%, 모래 3.1%로 ‘중식토(重埴土)’로 분류된다. 토양(저니)의 유기물 함량은 평균 36g/kg으로 가시연꽃 생육지와 비생육지 사이에 주목할 만한 차이는 없었다. 한편 가시연꽃 자생지의수질 환경은 pH 6.5∼7.9, 용존산소 농도 1.8∼8....
TAG 가시연꽃, 서식처, 수 환경, 영양염류, Euryale ferox, Habitats, Hydrological Environment, Nutritive Salts
만취정(晩翠亭)의 장소 전승과 원형경관향유 양상
이승연 ( Lee Seung-yeon ) , 신상섭 ( Shin Sang-sup ) , 강병선 ( Kahng Byung-seo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6] 제34권 제3호, 38~49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는 기문과 시문이 장소성의 함의와 원형경관의 유추 및 향유양상을 탐색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다는 전제로 임실만취정의 원래 위치 및 이건된 위치에서 입지 및 원형경관을 탐색하고 그 의미를 추론하였다. 임실 만취정의 이건 전ㆍ후의 장소적가치와 원형경관 보존을 위해 시도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자의 당호 만취(晩翠)는 작정자 김위가 자신의 호로 삼았으며, 소나무를 마주보게 심고 만취라 편액하였는데, 시문에 근거하면 푸른 소나무와 같은 꿋꿋한 기개를 상징하고 있다. 특히 정자에 내재된 의미와 도입된 상징식물 등을 살펴보았을 때 당호는 절개, 가문의 장생, 생명력 등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만취정은 풍수적으로 강 건너 제비형국과 마주한 사두형에 자리잡아 팽팽한균형을 갖고 있어 절개와 가문 번영을 염원하는 장소성을 지니고 있다....
TAG 만취정, 원형경관, 의미경관, 장소전승, 제영시 분석, Manchwi Pavilion, Original Landscape, Location Transmission, Analysis on Themed Poetic Composition
주의집중 피로회복이론의 장으로 본 경주 옥산서원 강학 및 유식공간의 일원적 공간성
탁영란 ( Tak Young-ran ) , 성종상 ( Sung Jeong-sang ) , 최종희 ( Choi Jong-hee ) , 김순애 ( Kim Soon-ae ) , 노재현 ( Rho Jae-hyu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6] 제34권 제3호, 50~66페이지(총17페이지)
조선 중기 대표적 서원중의 하나인 옥산서원을 사례대상으로, Kaplan의 「주의집중회복이론 틀」을 적용시켜, 서원의 기호학적 의미체계로서의 강학과 유식공간 상호 간의 보완적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전통조경의 함축적 의미 도출과 경관해석의 지평을 넓히고, 현대적학교 공간계획과 조경설계에 일조할 수 있는 논거를 구축하고자 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옥산서원의 강학과 유식공간의 공간과 경관의 일원성을 통해 주의집중과 회복, 자연과의 합일 그리고 심성론과 수양론을 관통하는 성리미학적 속성이 확인되었다. 이는 정보처리과정을 위한 주의집중을 효과적으로 재개하는 회복적 공간특질로 설명할 수 있다. 옥산서원과 그 주변 환경은 입지와 공간구성, 공간포치 그리고 당호 등을 통한 기호체계의 일부로서, 강학과 유식공간의 일원성을 설명하는 유기체적 환경이며 이는 주의집중으로...
TAG 회재 이언적, 옥산서원, 서비스스케이프, 사산오대, 옥산구곡, Hoe-Jae (晦齋) Lee Eon-Jeok (李彦迪), Oksan Seowon Confucian Academy, Servicescape, Four Mountains and Five Platforms (四山五臺), Oksan Gugok (玉山九曲)
월지 조성 목적의 중의성(重意性) 고찰
홍광표 ( Hong Kwang-pyo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6] 제34권 제3호, 67~77페이지(총11페이지)
본 연구는 월지의 조성목적이 단순히 정원을 조성하기 위해서라는 기존의 이론에 대한 문제제기로부터 시작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월지조성에 대한 기존의 이론에 대하여 논의한 후, 월지조성의 또 다른 목적을 저류지로 상정하고 이것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월지조성에 대하여 제기한 두 가지 의문에 대하여 논의한 결과 월지가 처음부터 정원으로 만들어졌을 가능성 보다는 저류지로서 조성하였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진단하였다. 둘째, 위치와 지형적 측면으로 볼 때, 월지는 북천으로부터 유입된 물이나, 범람한 물, 또는 용출수가 형성하는 지천이나 수로가 자연스럽게 월지 쪽으로 흐르도록 지형적 조건이 형성되어 있으며, 월지는 이렇게 형성된 물이 남천으로 유입되는 유로의 종점에위치하고 있어 물을 저류한 후 유출하기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는 것을 확...
TAG 북천, 저류지, 홍수범람, 습지조절, 월성해자, Bukcheon, Detention Pond, Flooding Damage, Adjusting Wetland, Wolsung Moat
양평 벽계리에 설정된 곡중경(曲中景)의 지향성과 화서(華西) 이항로(李恒老)의 벽원(蘗園) 경영
정우진 ( Jung Woo-jin ) , 노재현 ( Rho Jae-hyu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6] 제34권 제3호, 78~97페이지(총20페이지)
본 연구는 문헌 및 현장조사를 바탕으로 양평군 서종면 벽계천에 형성된 수회구곡과 벽계구곡 그리고 노산팔경의 설정 경위를 검토하고, 화서 당대에 향유되고 경영된 명승 벽계의 경관실체를 구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화서 이항로 이후에 설정된 벽계구곡과 노산팔경은 화서의 행적과 관련된 주요 경처를 모은 ‘현대기(現代期)’의 집경으로 판명되었다. 벽계구곡이 수회구곡의 집경요소와 많은 부분 중복되는 점이나, 수회구곡의 종점부터 노산팔경의 영역이 시작되는 작위적구성은 수입리 벽계와 노문리 벽계 사이의 장소대립 및 장소패권의 양상을 엿보게 한다. 이는 화서 이전 벽계 향유집단의 오랜 역사성과화서의 이미지로 밀착된 영역성이 상충되어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둘째, 벽계구곡은 노산팔경의 영역을 확대함과 동시에 수입리의 경승을 선별해 재...
TAG 벽계구곡(黃蘗九曲), 노산팔경(蘆山八景), 수회구곡(水回九曲), 바위글씨, 명승, Byeokgye Gugok Vally, Nosan Palkyung, Suhoe Gugok, Letters Carved on the Rock, Scenic Site
공공재를 활용한 도시유산의 경관 보전 및 관리개선방안 - 서울시 사적을 중심으로 -
문영숙 ( Moon Young-suk ) , 정기호 ( Jung Ki-ho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6] 제34권 제3호, 98~114페이지(총17페이지)
본 연구는 급변하는 도시 환경에 노출된 도시유산의 경관 보전 및 관리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공공재를 활용한 도시유산의 확대와 도시유산과 도시공간과의 연계방안을 제시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도시공간에서 유산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고시도면인 지형도면과 현상변경허용기준, 문화재청 홈페이지의 문화재보존관리지도를 이용하여 1:1,000지도에 도시유산을 작성하고 주변에 위치한 모든 공공시설을 파악하여 기본도를 작성하였다. 둘째, 도시유산의 현황도 작성을 위해 도시유산과 유산 주변의 현황 및 변화상을 2005년부터 2014년까지 10년간의 사적분과 문화재위원회 회의록을 분석하여 도시유산 주변의 개발행위를 파악하였으며, 도시유산 주변의 보전 가능 지역 및 도시 내 도시유산의 잠재력을 상살 시킬수 있는 지역을 찾아 활용할 수 있도록 도시유산 주변의 토지...
TAG 역사도시경관, 도시유산 기록화, 공공재의 역할, 지역 활성화, 도시공간의 특성화, Historic Urban Landscape, Archives of Urban Heritage, Roles of Public Goods, Regional Revitalization, Characterization of Urban Spaces
농업유산으로서 남원시 신기리 당산숲의 경관 특성 및 관리방안 고찰
최재웅 ( Choi Jai-ung ) , 김동엽 ( Kim Dong-yeob ) , 윤순덕 ( Yoon Soon-duck ) , 곽민정 ( Kwak Min-jeong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6] 제34권 제3호, 115~123페이지(총9페이지)
이 연구는 농업유산으로서 남원시 신기리 당산숲의 경관 특성을 조사한 것으로서, 관리 개선방안 고찰을 통해 농촌마을 신기리의 활력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는 각 나라의 농지, 독특한 농업경관, 문화다양성 보호 등을 위해 ‘세계중요농업유산’ 개념을 정립하였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촌발전을 위한 새로운 목표와 수단을 만들어 나가는 데 있어서, 농업유산이 핵심전략 자원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수 백년 이상의 당산제 역사를 갖고 있으며 농지와 연결되어 있는 농어촌 전통마을숲, 당산숲은 한국을 대표하는 ‘농업유산``이라고 할 수 있다. 신기리 당산숲은 두 개의 당산숲과 하나의 비보숲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395m 길이에 15m 폭을 가진 두 번째 당산숲은 조산 위에 조성되어 있다. 대부분의 당산숲은 조성 내력에 대한 기록이 없으나, 신기리 당산숲은 두 ...
TAG 전통마을숲, 당산제, 한국 농촌경관, 지리산 둘레길, 농촌마을 활력 제고, Traditional Village Forest, Dangsan Ritual, Rural Landscape of Korea, Jirisan Trail, Revitalization of Rural Village
최근 국내외에서 육성된 무궁화 127 품종 중 조경적 활용가치가 높은 유망품종 선발
김광호 ( Kim Kwang-ho ) , 이춘석 ( Lee Chun-suk ) , 강호철 ( Kang Ho-chul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6] 제34권 제3호, 124~139페이지(총16페이지)
본 연구는 조경수용 무궁화 우수품종 보급을 위한 유전자원 수집과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최근 국내외에서 육성된 127품종의 1년생 접목묘를 이용하여 2014년부터 2015년까지 2년 동안 생육 및 형태적 특성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품종 중 화색 및 꽃이특이한 품종을 조사하여 무궁화를 조경수로 활용도를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최근 국내외에서 육성된 품종들의 화색별 분류로는 크게 분홍색 단심(pink color with red eye spot), 흰색 단심(white color withred eye spot), 붉은 자주색 단심(purplish red color with red eye spot), 분홍보라색 단심(violet pink color with red eye spot), 심홍색단심(crimson color ...
TAG 종간교잡종 ‘대왕천’, ‘대망’, ‘진아’, 무궁화 ‘훈장’, ‘하이리레드’, ‘꼬마’, ‘미백’, ‘안동’, ‘릴킴’, ‘은하수’, Hibiscus hybrid ‘Daewangchun’, Hibiscus hybrid ‘Daemang’, Hibiscus hybrid ‘Jina’, H. syriacus ‘Hunjang’, H. syriacus ‘Hi Lea Red’, H. syriacus ‘Ggoma’, H. syriacus ‘Mibeak’, H. syr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