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전통조경학회지125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편액에 함의된 경관 및 상징요소의 출현특성 - 한국의 담양원림과 중국의 소주원림을 중심으로 -
함광민 ( Ham Kwang-min ) , 이수화 ( Li Shu-hua ) , 장아평 ( Zhang Ya-ping ) , 미타니토루 ( Mitani Toru ) , 장준화 ( Zhang Jun-hua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6] 제34권 제4호, 78~88페이지(총11페이지)
16세기 한국의 담양원림과 중국 소주원림의 편액에 함의된 경관 및 상징요소의 출현특성을 비교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편액에 함의된 경관요소 중, 식물요소의 출현율이 양국 원림에서 높게 나타났다. 담양원림의 경우 원림 주변에 조성된 죽림과 자연림이, 소주 원림의 경우 인공적으로 조성한 가산(假山)과 수변 주변의 연, 대나무, 소나무를 포함한 다양한 식물이 편액의 의미에 반영 된 것이 특징이다. 반면, 풍경의 정취를 고조시키는 비, 바람, 달 등을 포함한 기후 및 천체요소는 담양원림의 편액과, 건물과 다리, 책 등을 포함한 인공요소는 소주원림의 편액과 관련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산수가 수려한 곳에 찾아 들어가 인공을 최소화하고 자연과의 합일을 미적 이상으로 삼는 한국원림의 특징과, 평탄한 곳에 원림의 경계와 경물을 인공적으로 조성하...
TAG 경관요소, 담양원림, 소주원림, 상징요소, 편액, Landscape Elements, Damyang Garden, Suzhou Garden, Symbolic Elements, Tablets
정조(正祖)의 화훼(花卉) 애호 태도와 의미
홍형순 ( Hong Hyoung-soo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6] 제34권 제4호, 14~25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정조가 애호한 화훼는 무엇이며 그 태도와 그 이유, 여기에 반영된 의미를 밝히는데 있다. 연구의 범위는 완호(玩好)의 대상물로서의 특정 `화훼`에 한정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사료에 담긴 내용과 의미를 고찰하고 해석하는 기술(description)적 연구로 진행하였다. 정조의 일생은 매우 절제된 생활태도로 일관했다. 그의 의식주는 소박했으며 음악, 잡기, 여색 등에도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정조는 기화요초(琪花瑤草)에도 관심을 두지 않았다. 이러한 정조의 태도로 인해 특정 화훼에 대한 자신의 취향을 드러낸 일이 많지 않다. 정조는 여러 종류 꽃들을 잘 알고 있었으며 꽃을 소재로 문학 혹은 회화 등 예술적 표현에 있어서도 막힘이 없었다. 정조 스스로 자신이 애호하는 꽃으로 밝힌 것은 석류가 유일하다. 그러나 정조에게 있어서 석...
TAG 석류(石榴), 지표식물(指標植物), 팔진도(八陣圖), 방호물(防護物), Pomegranate(Punica granatum), Indicator Plant, Bazhentu, Barricade
창옥병(蒼玉屛)의 위치 비정(比定) 및 사암(思菴) 박순(朴淳)의 정원유적 연구
노재현 ( Rho Jae-hyun ) , 박주성 ( Park Joo-sung ) , 최종희 ( Choi Jong-hee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6] 제34권 제4호, 37~50페이지(총14페이지)
창옥병의 지명 오류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고지도, 옛시문, 옛그림 등의 문헌자료조사와 암각 및 조망특성에 대한 현장조사 그리고 인터뷰를 통해 창옥병의 위치를 비정하고, 이곳의 향유주체인 사암 박순과 그가 경영한 배견와 및 별업 이양정의 공간 구조와 정원적 면모를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창옥병은 옥병서원과 일체감을 갖는 공간역으로 옛그림과 고지도 그리고 암각문의 존재로 볼 때 옥병서원 바로 앞의 석벽임을 추정할 수 있다. 이 지역과 현재 창옥병으로 알려진 오가리석벽과는 직선거리로 불과 약 460m거리에 위치하고 있어 광의의 창옥병 경관영향권으로 볼 수 있다. 시문에 등장하는 “창옥병급산금(蒼玉屛及散襟)”이란 표현에서도 산금대라 암각된 병풍바위가 바로 협의의 창옥병임이 유추된다. 또한 오가리석벽에서는 단 1점의 암각도 확인되지 않는 반면 옥병서원...
TAG 옥병동(玉屛洞), 바위글씨(巖刻), 영평팔경(永平八景), 옥병서원, 이양정(二養亭), 명승, Okpyo ng-dong, Rock Inscriptions, Yeongpyeong-Palkyung, Okpyo ng Seowon, Iyangjung, Scenic Site
제사공간으로서 장백산의 문화경관적 해석
허종화 ( Xu Zhong-hua ) , 성종상 ( Sung Jong-sang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6] 제34권 제4호, 89~97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는 특정한 시대에 장백산 지역에 조성된 제사공간을 문화경관의 관점으로 바라보면서 장백산의 신성성이 역사 속에서 의 변화과정과 정권의 교체와 민족의 변화 속에서도 신성성이 유지된 이유에 대하여 해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나라에서 중화민국시기로 과도하면서 겪은 정권의 교체와 민족의 다양성, 그리고 문화의 수용성으로 인하여 장백산의 제사성격과 신적대상이 변화했다. 둘째, 청나라의 황가 제사공간인 망제전(望祭殿)은 권위적인 공간으로 만족만의 유일한 제사공간과 문화를 형성했고 중화민국 시기에는 한족의 이주와 정착과정을 겪으면서 방산인 사이에서 새로운 민간신앙이 탄생했으며 따라서 제사공간인 여래사(如來寺), 산신노파두묘(山神老把頭廟)가 조성되었다. 셋째, 제사공간과 장백산을 공간적으로 보면 망제전은 수직적인 공간으로 권력적인 공...
TAG 문화경관, 신성한 공간, 망제전, 여래사, 산신노파두묘, Culture Landscape, Scared Space, Wangji Temple, Rulai Temlpe, Shanshenlaobatou Temple
노거수의 가치 평가 연구 - 경주 계림숲 느티나무를 대상으로 -
손희준 ( Son Hee-jun ) , 하첨첨 ( Xia Tian-tian ) , 김영훈 ( Kim Young-hun ) , 강태호 ( Kang Tai-ho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6] 제34권 제4호, 51~56페이지(총6페이지)
노거수는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는 재생불능자원이므로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가치 평가는 노거수의 보존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 노거수의 가치 평가에 관한 연구와 권위 있는 평가 지표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노거수의 특수성을 감안한 가치 요인을 분석하여 합리적인 평가 지표를 선정하고 현실 적용 가능한 가치 평가 모형을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노거수의 평가 지표는 경제가치, 과학연구가치, 생태가치, 경관가치, 사회공익가치로 구분된다. 노거수의 가치에 대한 중요 인자는 인문역사, 성장장소, 수목상태, 수형, 수세, 수종, 수관, 보호등급, 성장환경 등 이다. 계층분석법(AHP)을 이용하여 가치 평가 산식을 작성하고 경주의 세계문화유산인 계림숲 내에 위치한 느티나무의 가치 평가를 실시하였다. 느티나무의 가치는 평가결과 491,503,30...
TAG 노거수 평가 지표, 가중치, AHP기법, 쌍대비교행렬, Evaluation Indicators, Value weight, Analytic Hierarchy Process, Relatively Ranks
조선왕릉의 조영의도, 이념, 사상, 미의식에 관한 연구
최종희 ( Choi Jong-hee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6] 제34권 제4호, 66~77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는 세계유산으로서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 진정성, 완전성을 지닌 조선 왕릉의 입지, 배치 및 공간구성, 구성요소(건축, 조경, 석물, 조각) 등에 내재되어 있는 조영의도, 이념, 사상, 미의식 등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세계유산 조선왕릉 40기를 연구대상으로 문헌조사와 현장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영의도, 이념, 사상의 기원을 살피기 위해 조선왕릉 뿐만 아니라 고려시대의 왕릉과 통일신라시대의 왕릉도 살펴보았다. 조선왕릉은 고려왕릉, 특히 공민왕과 노국공주의 현정릉 능제를 많은 부분 계승하였으나, 불교국가였던 고려와 달리 조선시대에는 유교적 예법에 따라 조영되었으므로, 공간구성이나 구성요소에서 특색이 나타난다. 조선왕릉의 선지와 입지에서는 풍수사상의 길지 즉, 배산임수의 지형을 잘 갖춘 곳을 택하였으며, 배치 및 공간구성은 유교사상에 따라...
TAG 세계유산, 역사경관, 능제, 석물, 풍수, World Heritage, Historical Landscape, Tomb`s System, Stone Object, Fengshui Theory
한국 농어업유산의 가치평가 기준에 관한 연구
백승석 ( Beak Seung-seok ) , 문영숙 ( Moon Young-suk ) , 정기호 ( Jung Ki-ho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6] 제34권 제4호, 110~118페이지(총9페이지)
2002년 유엔 식량농업기구(FAO)는 농촌공간이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자원 보전을 위해 세계중요농업유산제도를 만들고 세계적으로 가치가 있는 농어업유산을 지정하여 보전·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발맞추어 한국에서도 2012년 농어촌에 가치 있는 자원을 보전·관리하고자 농어업유산제도를 도입하였다. 그러나 농어업유산에 대한 관심은 증대되었으나 한국 농어업유산만의 독특한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이 정립되어 있지 않아 유산 발굴과 지정은 답보 상태에 놓여있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개념적 측면의 연구와 유산 발굴을 위한 자원조사, 지표개발, 관광화를 통한 보전·관리 위주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한국 농어업유산에 대한 가치 평가 기준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한국 농어업유산의 가치를 분석하고, 그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TAG 농어업유산, 전통경관, 보전, 관리, 지정기준, Agriculture Heritage, Traditional Landscapes, Conservation, Management, Designation Standards
익산 왕궁리유적에서 후원의 위상과 의미에 대한 연구
전용호 ( Jeon Yong-ho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6] 제34권 제4호, 1~13페이지(총13페이지)
익산 왕궁리유적의 후원은 구릉상에 복잡한 수로체계를 통하여 정원과 연결된 구조로 동아시아 조경사에서 상당히 독특한 면모를 한 백제 조원기술(造苑技術)의 일면을 잘 보여준다. 후원은 구릉상에 입지하여 최소한의 물로 조경 효과를 높이면서도 집중 호우시 침수 피해를 줄이고, 궁성 중심 공간에 필요한 용수를 확보하기 위하여 역U자형 대형수로와 이에 연결된 수로, 곡수로 및 집수시설로 이루어진 복잡한 수로 체계를 갖추고 있다. 특히 역U자형 대형수로의 내부에서 물이 고이는 지점이나 그 가장자리에 크기나 형태가 다양한 괴석으로 장식한 조경시설도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후원의 중심부인 구릉의 상면에는 원형 초석 시설로 둘러싼 내부에 방형 초석을 사용한 정면 4칸, 측면 4칸의 건물지가 자리하고 있다. 또한 구릉의 좌·우 사면에는 말각장방형의 석축시설로 일부분이 감싸져...
TAG 익산 왕궁리유적, 후원(後苑), 정원, 역U자형 대형수로, 곡수로(曲水路), 건물지, 말각장방형 석축시설, 방지(方池), 곡지(曲池), 궁원(宮苑), 금원(禁苑), Wanggung-ri Site, Back Garden, Main Garden, Large Inverted U-Shaped Waterway, Sinuous Waterway, Building Site, Rectangular Stonework, Rectangular Pond, Winding Pon
한국 마을숲 생태계 취약요소 발굴 및 취약성 평가
임정철 ( Lim Jeong-cheol ) , 류태복 ( Ryu Tae-bok ) , 안경환 ( Ahn Kyeong-hwan ) , 최병기 ( Choi Byoung-ki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6] 제34권 제4호, 57~65페이지(총9페이지)
마을숲은 역사적, 문화적으로 한국 전통 마을경관의 핵심요소이다. 그러나 근대 이후 다양한 영향으로 많은 수의 마을숲이 소실되었거나 쇠퇴되고 있는 실정이다. 역사적, 문화적, 생태적 다양한 보전가치를 가진 마을숲의 체계적 보전 및 복원을 위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한국 전역에 분포하고 있는 499개의 마을숲에 대하여 구성 식물종 및 서식처, 입지 특성 등을 바탕으로 국내 마을숲에 대한 생태학적 복원 및 지속가능한 이용과 관리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마을숲 생태계를 위협하는 대표적인 6가지 범주의 위협요인을 발굴하고 각 요인별 영향력을 평가하였다. 마을숲 생태계 취약성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에 대해 위협요인별 가중치 평가를 AHP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보다 입체적으로 분석하였다. AHP 분석기법을 이용한 평가결과 6가지 범주 ...
TAG 가중치, 서식처, 저감, 교란, 관리, Weight, Habitat, Mitigation, Disturbance, Management
중국 강남 수향진의 수변공간 특성 연구 - 절강성 오진과 남심을 사례로 -
최정권 ( Choi Jung-kwon ) , 최정민 ( Choi Jung-mea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6] 제34권 제4호, 98~109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는 물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형성되고 발전해 온 중국 강남 수향진 외부공간의 특성을 분석하고 정리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중국 절강성에 위치한 수향진인 오진과 남심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결과로서 수변공간의 구조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향진의 입지와 도시적 골격, 필지 구획과 건축은 수로에 의해서 결정된다. 수로는 십자형(十字形) 또는 정자형(丁字形)과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수로의 교차점과 중심 수로변은 규모와 세력이 큰 상업지가 형성되어 고밀화된다. 둘째, 중심 수로변으로 공적 공간이 형성되고, 이와 시각적, 기능적으로 교호하는 사적인 건축물들이 수로변에 자리 잡아 강남 수향 특유의 경관을 창출하고 있다. 셋째, 주거지는 남향 배치가 유리한 동서 방향의 수로변으로 형성되고, 수변 주택은 중정을 가진 내향적인 공간 구조이지만, 외...
TAG 공간 구성, 고유성, 긴밀성, 수로, 수변공간, 용도 복합, Mixed Use, Proximity, Space Component, Uniqueness, Water Channel, Waterfront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