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개혁주의생명신학회21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개혁주의생명신학"과 기독교의 중심 진리
정흥호 ( Hung Ho Chong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생명과 말씀 [2010] 제1권 189~217페이지(총29페이지)
신학은 신앙이다. 올바론 신학을 갖지 못하면 그 신앙은 잘못될 수밖에 없으며 잘못된 신앙은 잘못된 신학으로부터 오게 된다. 신학과 신앙을 서로 분리된 것이라고 한다면 그것은 궤변에 불과하다. 신학이든 신앙이든 기독교의 진리는 근본적으로 생명을 살리는 것이 되어야하기 때문이며 이 들은 불가분리(不可分離)의 관계이다. 그러나 서구의 지유주의 신학의 방법론은 신학과 신앙이 분려된 채 이성주의로부터 출발하여 하나님에 대한 바른 신앙에서 떠나 기독교를 단지 "신학적 종교"로 전락시켜버렸다. 이런 점에서 본다면 장종현 박사의 "신학은 학문이 아니다"라는 전제도 이런 맥락에서 시작하는 것이며 신학 자체가 체험적 신앙이 되어야 한 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성경은 복음을 기록한 목적에 대하여 분명히 하고 있다: "오직 이것을 기록함은 너희로 예수께서 하나님...
TAG 개혁주의생명신학, 중심 진리, 성화, 상대주의, 종교다원주의, 신학공관, Reformed Life Theology, central truth, sanctification, relativism, religious pluralism, Theological Synopsis
「생명과 말씀」발간에 붙여
최갑종  개혁주의생명신학회, 생명과 말씀 [2010] 제1권 5~6페이지(총2페이지)
신학은 신앙이다. 올바론 신학을 갖지 못하면 그 신앙은 잘못될 수밖에 없으며 잘못된 신앙은 잘못된 신학으로부터 오게 된다. 신학과 신앙을 서로 분리된 것이라고 한다면 그것은 궤변에 불과하다. 신학이든 신앙이든 기독교의 진리는 근본적으로 생명을 살리는 것이 되어야하기 때문이며 이 들은 불가분리(不可分離)의 관계이다. 그러나 서구의 지유주의 신학의 방법론은 신학과 신앙이 분려된 채 이성주의로부터 출발하여 하나님에 대한 바른 신앙에서 떠나 기독교를 단지 "신학적 종교"로 전락시켜버렸다. 이런 점에서 본다면 장종현 박사의 "신학은 학문이 아니다"라는 전제도 이런 맥락에서 시작하는 것이며 신학 자체가 체험적 신앙이 되어야 한 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성경은 복음을 기록한 목적에 대하여 분명히 하고 있다: "오직 이것을 기록함은 너희로 예수께서 하나님...
격려사
장종현  개혁주의생명신학회, 생명과 말씀 [2010] 제1권 7~8페이지(총2페이지)
신학은 신앙이다. 올바론 신학을 갖지 못하면 그 신앙은 잘못될 수밖에 없으며 잘못된 신앙은 잘못된 신학으로부터 오게 된다. 신학과 신앙을 서로 분리된 것이라고 한다면 그것은 궤변에 불과하다. 신학이든 신앙이든 기독교의 진리는 근본적으로 생명을 살리는 것이 되어야하기 때문이며 이 들은 불가분리(不可分離)의 관계이다. 그러나 서구의 지유주의 신학의 방법론은 신학과 신앙이 분려된 채 이성주의로부터 출발하여 하나님에 대한 바른 신앙에서 떠나 기독교를 단지 "신학적 종교"로 전락시켜버렸다. 이런 점에서 본다면 장종현 박사의 "신학은 학문이 아니다"라는 전제도 이런 맥락에서 시작하는 것이며 신학 자체가 체험적 신앙이 되어야 한 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성경은 복음을 기록한 목적에 대하여 분명히 하고 있다: "오직 이것을 기록함은 너희로 예수께서 하나님...
개혁주의생명신학과 한국교회 -신학은 학문인가 삶의 체계인가-
이상규 ( Sang Gyoo Lee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생명과 말씀 [2010] 제1권 9~38페이지(총30페이지)
이 글은 한국에서 개혁주의생명신학을 논의하기 위한 시론적 논의로서 다음의 몇 가지 점에 유의하였다. 첫째, 16세기 이후 개신교 신학에 나타난 스콜라주의적 영향을 지적하고 이런 영향이 신학을 사변화 하였고 결과적으로 개신교정통주의라고 불리는 신학적 화석화를 초래한 점을 지적하였다. 둘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혁교회 전통에서 신학을 삶에 대한 가르침으로 이해하려는 시도가 있었음을 지적하였다. 이것은 아리스토텔레스적 방법론으로부터의 이탈과 청교도적 환경에서 전개되었는데. 이런 점이 잘 드러나지 못한 것은 교리 지향적 환경 때문이었다. 셋째, 이런 서구 기독교적 유산을 배경으로 하여 한국의 개혁주의 신학, 특히 박형룡과 박윤선의 신학에서 삶과 실천의 문제가 어떻게 논의되었는가를 검토하였다. 넷째, 이런 역사적 고찰을 통해 한국 개혁주의생명신학적 논의의 필요성을 ...
TAG 개혁주의, 생명신학, 개신교정통주의, 학문, 한국교회, Reformed, Life Theology, Protestant Scholasticism, Wissenschaft, Korean Church
개혁주의생명신학과 신학 교육 -학문만으로서의 신학의 문제
박찬호 ( Chan Ho Park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생명과 말씀 [2010] 제1권 39~86페이지(총48페이지)
개혁주의생명신학은 학문만으로서의 신학에 대하여 반대하고 경건과 송영, 그리고 기도 등의 본래적인 신학의 의미를 회복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첫 11세기에 기독교 신학은 학문이 아니었다. 하지만 중세의 대학의 설립과 계몽주의 이후에 신학은 학문이기를 강요받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 자체는 나쁜 것이 아니며 긍정적인 측면 또한 없지 않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을 통해 신학과 경건이 비극적으로 분리되었으며 신학은 전문화되고 여러 분과로 세분화되게 되었다. 이러한 신학의 학문화는 20세기에 논리 실증주의의 출현에 의해 가속화되었다. 신학의 전문화는 교회와 신학의 분리를 가져왔다. 이러한 학문만으로서의 신학의 폐단은 특별히 신학 교육의 현장에서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신학 교육의 문제는 새로운 것이 아니다. 다양한 방면에서 불만의 소리가 들려온다. 신학 교육은 학문으...
TAG 개혁주의생명신학, 신학 교육, 계몽주의, 논리 실증주의, 학문으로서의 신학, 영성, Reformed Life Theology, theological education, Enlightenment, Logical Positivism, theology as science, spirituality
 2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