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광물학회164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Na-, K-버네사이트 층간 구조에 대한 분자동역학 시뮬레이션 연구
박수정 ( Sujeong Park ) , 권기덕 ( Kideok D. Kwon )  한국광물학회, 광물과 암석 [2020] 제33권 제3호, 143~152페이지(총10페이지)
버네사이트(birnessite)는 약 7Å의 d-spacing을 가지는 대표적인 층상형 산화망간광물로 높은 양이온 교환능력을 가지기 때문에 지하수나 퇴적물 공극 유체의 화학조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버네사이트의 양이온 교환 반응 기작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층간 내 양이온의 배위 환경과 결정구조에 대한 원자 수준의 이해가 매우 중요하다. 이번 연구에서는 원자 수준의 계산광물학 방법인 고전 분자동역학(classical molecular dynamics; MD)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기존 실험에서 보고된 화학조성을 가지는 삼사정계 N a-와 K-버네사이트의 결정구조, 층간 양이온의 배위 환경 및 적층 구조를 계산하였다. 계산 결과는 기존 X-선 실험에서 보고된 격자 상수와 층간 배위 환경을 잘 재현하여 시뮬레이션 방법의 신뢰성을 보여주었으...
TAG 삼사정계 버네사이트, 양이온 교환, 적층 구조, MnFn, 분자동역학 시뮬레이션, Triclinic birnessite, Cation exchanges, Polytype,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s
경기도 수원시에서 산출되는 적갈색 점토-실트 퇴적물의 광물 및 지화학 특성과 기원
정기영 ( Gi Young Jeong )  한국광물학회, 광물과 암석 [2020] 제33권 제3호, 153~163페이지(총11페이지)
우리나라 제4기 고환경 변화 특성 규명을 위하여 수원시의 편마암 및 화강암 풍화대를 피복하는 적갈색 점토-실트 퇴적물 2개 단면(~3.5 m)에 대하여 광물 및 지화학 분석을 실시하였다. 퇴적층은 광물조성과 화학조성의 수직 변화를 기준으로 4개의 퇴적층(Unit 1-4)으로 구분되었다. 최하부 Unit 1은 K-장석 함량이 높은 사질 퇴적물로서 기반암 풍화물의 기여도가 높다. Unit 2는 전이층이며, Unit 3은 적갈색 점토-실트질퇴적물로서 총점토 함량이 평균 58%이며, 주요 점토광물은 일라이트-스멕타이트 혼합층 광물과 수산기삽입질석/스멕타이트이다. Unit 3에는 사장석이 거의 함유되어 있지 않은 반면에, 그 풍화물인 고령토 광물의 함량이 다른 층들보다 높다. Unit 4는 전반적 광물조성과 화학적 특성이 Unit 3과 유사하...
TAG 점토-실트층, 점토광물, 풍화, 풍성, 광물, 지화학, Clay-silt sediment, Clay minerals, Weathering, Eolian, Mineralogy, Geochemistry
주사전자현미경 분석을 활용한 자연환경 퇴적시료의 생물기원구조 관찰
박한범 ( Hanbeom Park ) , 김진욱 ( Jinwook Kim )  한국광물학회, 광물과 암석 [2020] 제33권 제3호, 165~173페이지(총9페이지)
생물체의 활동 특히 미생물의 활동은 직·간접적으로 전 지구적으로 분포하는 퇴적물 및 암석 내부 광물의 형성 및 변형에 영향을 주고, 일부는 특징적인 생물기원구조를 형성한다. 특히, 특징적인 생물기원구조에 분포하는 광물은 기존에 알려진 무기적 과정을 통하여 형성되기 어려운 환경에서 형성되기도 하고, 무기적 과정을 통하여 형성된 광물과는 다른 물성 및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생물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생물기원구조에 대해 연구·분석하는 것은 새로운 광물 형성 메커니즘을 규명하는데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심해저 망간각 및 해저열수분출공 지역 미생물 매트 시료를 예로 들어, 주사전자현미경 분석을 통한 자연환경에 분포하는 생물기원구조 관찰에 대해 소개하고 분석방법, 장점 및 활용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TAG 주사전자현미경, 생물기원구조, 미생물-광물간의 반응작용, SEM, biotic structure, microbe-mineral interaction
강릉-동해 연안 퇴적물의 점토광물에 관한 연구
구효진 ( Hyo Jin Koo ) , 최헌수 ( Hunsoo Choi ) , 조현구 ( Hyen Goo Cho )  한국광물학회, 광물과 암석 [2020] 제33권 제3호, 175~183페이지(총9페이지)
한반도 3개 해역 중 동해 퇴적물의 점토광물에 관한 연구는 고환경 변화 측면에서의 일부 연구 외에는 거의 이루어진 바가 없다. 이번 연구에서는 2017년부터 2019년까지 강릉-동해 해역에서 상자형 시료채취기를 이용하여 채취한 120개 퇴적물 시료에 대한 점토광물 특성과 분포 상태를 바탕으로 기원지를 추정하였다. 점토광물 함량은 일라이트, 녹니석, 카올리나이트, 스멕타이트 순으로 풍부하다. 수심 150 m 이하의 대륙붕 퇴적물은 대륙사면 퇴적물에 비하여 녹니석과 카올리나이트 함량은 많고 일라이트 결정도는 좋은데 반하여 일라이트와 스멕타이트 함량과 S/I 지수는 작다. 대륙붕 퇴적물의 경우 강릉 쪽은 녹니석 함량이 많고, 동해 쪽은 카올리나이트 함량이 많은데 이것은 육상 지질을 반영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와 같은 점토광물의 여러 특징은 대륙붕 퇴...
TAG 동해, 퇴적물, 점토광물, 대륙붕, 대륙사면, 기원지, East Sea, sediment, clay mineral, continental shelf, continental slope, provenance
소성된 굴패각의 액상소석회로의 전환 특성
하수현 ( Su Hyeon Ha ) , 김영규 ( Yeongkyoo Kim )  한국광물학회, 광물과 암석 [2020] 제33권 제3호, 185~193페이지(총9페이지)
자원의 재활용 관점에서 굴패각의 소성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굴패각을 소성시켜 만들어진 생석회는 건식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물과 반응을 시켜 액상소석회로 변환시킨 뒤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굴패각은 석회석과는 약간 다른 소성 및 액상소석회 변화의 특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굴패각과 이를 비교하기 위한 석회석을 소성시켜 생석회를 만든 후 이를 다양한 온도의 물과 반응시켜 액상소석회로 변환 실험을 실시하였다. 액상소석회로 변환 후 150 μm의 체를 이용하여 거르고 액상소석회로의 전환률을 계산하였다. 소성된 석회석은 모든 온도에서 액상소석회로 전환되었다. 그러나 굴패각의 경우 본 연구의 실험조건 중 30℃와 50℃에서 액상소석회로 변환되지 않고 오히려 물과의 반응을 통하여 만들어진 Ca(OH)2의 존재로 질량이 증가하였으...
TAG 굴패각, 소성, 액상소석회, 석회암, Oyster shell, calcination, liquid lime, limestone
삼광 금-은 광상에서 산출되는 함 티타늄 광물들의 산상 및 화학조성
유봉철 ( Bong Chul Yoo )  한국광물학회, 광물과 암석 [2020] 제33권 제3호, 195~214페이지(총20페이지)
삼광 금-은 광상은 과거 한국에서 가장 큰 금-은 광상들 중의 하나였다. 이 광상은 선캠브리아기의 변성퇴적암류내에 발달된 열극대를 충진한 8개조의 석영맥으로 구성된 조산형 금-은 광상이다. 이 광상에서 함 티타늄 광물로는 설석, 티탄철석 및 금홍석이며 설석과 티탄철석은 모암에서만 산출되나 금홍석은 모암과 엽리상 석영맥에서 산출된다. 이들 광물들은 모암에선 흑운모, 백운모, 녹니석, 백색운모, 모나자이트, 저어콘 및 인회석과 엽리상 석영맥에선 백색운모, 녹니석 및 유비철석 등과 함께 산출된다. 설석은 최대 3.94wt.% (Al2O3), 0.49 wt.% (FeO), 0.52 wt.% (Nb2O5), 0.46 wt.% (Y2O3) 및 0.4...
TAG 삼광 금-은 광상, 설석, 티탄철석, 금홍석, 산상, 화학조성, Samgwang Au-Ag deposit, Titanite, Ilmenite, Rutile, Occurrence, Chemical composition
영월 녹전리 일대 이목화강암과 관련된 스카른 광화작용
정준영 ( Jun-yeong Jeong ) , 신동복 ( Dongbok Shin ) , 임헌경 ( Heonkyung Im )  한국광물학회, 광물과 암석 [2020] 제33권 제3호, 215~232페이지(총18페이지)
태백산광화대에 속하는 영월군 녹전리 일대에는 이목화강암과의 경계부를 따라 탄산염암을 모암으로 하는 Ca 및 Mg 스카른과 광화작용이 발달하였다. Ca 스카른은 석회암을 모암으로 석류석과 휘석이 산출되며, Mg 스카른은 백운암이 모암이며, 감람석 및 사문석이 발달한다. 광석광물은 초기 자철석-적철석 그리고 후기 자류철석(±회중석)-황철석-방연석-섬아연석이 정출된다. 석류석은 근거리에 안드라다이트 조성 그리고 원거리에 그로슐라 조성이 각각 우세하며, 휘석은 투휘석이 주로 산출된다. 이러한 조성변화는 유체가 이목화강암에서 원거리로 이동함에 따라 모암과의 반응이 증가하여 산화환경에서 환원환경으로 변화하였음을 나타낸다. Mg 스카른의 자철석이 Ca 스카른보다 Fe2O3는 높고 FeO는 낮은 특징을 보이며, Mg 스카른에서...
TAG Ca 스카른, Mg 스카른, 자철석, 섬아연석, 이목화강암, Ca skarn, Mg skarn, magnetite, sphalerite, Imog granite
경북 지역 먹는 물의 은 검출 특성
이해근 ( Hea Geun Lee ) , 김정진 ( Jeong Jin Kim ) , 김영훈 ( Young Hun Kim )  한국광물학회, 광물과 암석 [2020] 제33권 제3호, 233~242페이지(총10페이지)
나노물질에 대한 연구와 산업화가 급격히 진행되면서 수환경으로 유출되는 나노물질의 양도 점차 많아지고 있다. 특히 은나노물질의 경우 은의 항균성으로 인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환경으로 유출되어 입자상태와 용해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은나노물질과 은이온은 생태환경에 악영향을 줄 수 있으며 미국에서는 2차 먹는물 규제 항목(secondary drinking water standards)으로 정하고 있으며 규제농도는 0.1 mg/L로 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북지역의 지하수와 소규모 먹는 물 공급시설을 대상으로 은의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오염 정도를 미국 EPA 기준과 비교하고 시료를 채취한 지역의 특성, 물의 사용목적 등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총 293개의 시료 중 EPA의 secondary drinking water standards...
TAG , 먹는 물, 지하수, 마을 상수도, 소규모 급수시설, silver, drinking water, community drinking water, simplified water service
열수광물내 Au의 선상회수를 위한 마이크로웨이브-차아염소산 용출 적용성
김현수 ( Hyun Soo Kim ) , 명은지 ( Eun Ji Myung ) , 김민성 ( Min Sung Kim ) , 이성재 ( Sung-jae Lee ) , 박천영 ( Cheon-young Park )  한국광물학회, 광물과 암석 [2020] 제33권 제3호, 243~250페이지(총8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선상에서 열수광물 내 Au를 효과적으로 용출하기 위한 마이크로웨이브-차아염소산 용출의 적용 가능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비교용출실험은 마이크로웨이브 질산용출의 유(T1)/무(T2)에 따른 Au 용출율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계적 교반에 의한 전통적인 용출(T3)과 마이크로웨이브 용출에 따른 Au 용출율을 비교하였다. 마이크로웨이브 질산용출결과(고액비; 10%, 용출온도; 90oC, 용출시간; 20분), 금속의 용출율은 As>Pb>Cu>Fe>Zn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용출잔사 내 Au의 함량은 33.77 g/ton에서 60.02 g/ton으로 증가하였다. 염화물 용매제를 이용한 비교용출실험 결과, Au의 용출율은 T1(61.10%)>T3(53.30%)>T2(17.30%)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해수를 이용하여 제...
TAG 열수광물, 마이크로웨이브, 차아염소산 용출, 선상회수, Hydrothermal mineral, Microwave, HClO leaching, On-board recovery
완전히 탈수되고 부분적으로 칼슘 이온으로 교환된 제올라이트 A의 셀레늄 수착 화합물의 구조 연구
김후식 ( Hu Sik Kim ) , 박종삼 ( Jong Sam Park ) , 임우택 ( Woo Taik Lim )  한국광물학회, 광물과 암석 [2020] 제33권 제3호, 251~258페이지(총8페이지)
Ca2+ 이온으로 부분적으로 치환된 제올라이트 A (|Ca4Na4|[Si12Al12O48]-LTA) 단결정과 Se을 가는 모세관에 넣은 후 523 K 에서 5일동안 반응을 시켜 Se이 흡착된 제올라이트 A 단결정을 합성 하였다. 이 결정의 구조는 294 K 에서 단결정 X-선 회절 기술을 이용하여 Pm□m (a = 12.2787(13) Å) 입방 공간군에 속함을 확인 하였고, Fo> 4s(Fo)를 사용하여 최종 오차 인자를 R1/wR2= 0.0960/0.3483로 정밀화...
TAG 제올라이트 A, 셀레늄, 구조, 칼슘, Zeolite A, Selenium, Structure, Calcium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