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366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소나무와 굴참나무 임분의 시비에 따른 토양 CO2 방출 동태
백경원 ( Gyeongwon Baek ) , 김춘식 ( Choonsig Kim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20] 제109권 제3호, 271~280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유사한 입지에서 생육한 소나무와 굴참나무 임분을 대상으로 시비에 따른 토양 CO2 방출량을 비교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성숙한 소나무와 굴참나무 임분을 대상으로 시비처리 전 캘리브레이션 기간(2015년 3월~2016년 2월)을 가진 후, 2016년 3월에 복합비료를 표면 시비하였다. 토양 CO2 방출량은 2015년 3월부터 2017년 2월까지 2년 동안 매월측정하였다. 토양 CO2 방출량의 월별 변동은 굴참나무와 소나무 임분 모두 시비 전(2015~2016년)과 시비 후(2016~2017년) 유사하였다. 연평균 토양 CO2 방출량의 경우 소나무 임분의 시비구는 2015~2016년 1.620 μmol m-2 s
TAG carbon dioxide, fertilization, forest soil, greenhouse gas, soil property, soil respiration
식재밀도가 느티나무 조림목의 초기 생육에 미치는 영향
노남진 ( Nam Jin Noh ) , 권보람 ( Boram Kwon ) , 양아람 ( A-ram Yang ) , 조민석 ( Min Seok Cho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20] 제109권 제3호, 281~290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식재밀도가 느티나무 조림목의 초기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지는 경북 경산과 전북 순창이며, 2015년 3월 말 느티나무 노지묘(1-0)를 4처리 밀도(3천, 5천, 7천, 10천본 ha-1)로 식재하였다. 2019년까지 매년 9월에 조림목의 근원경과 수고를 측정하였고, H/D율과 수간 재적을 계산하였다. 모든 조사지에서 식재밀도가 증가할수록 근원경 및 수고 생장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수간 재적은 10천본 ha-1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생존율과 H/D율은 식재밀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식재후 5년차에, 경산 지역에서의 근원경, 수고, 수간 재적은 순창 지역에서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입지 환경이 다른 두 조사지 모...
TAG early growth, planting density, planting practice, stem volume, Zelkova serrata
비용 효율적 표준지 조사를 위한 표본추출방법 비교 사례연구: 임의추출법, 계통추출법, 선상추출법을 중심으로
박주원 ( Joowon Park ) , 조승완 ( Seungwan Cho ) , 김동근 ( Dong-geun Kim ) , 정건휘 ( Geonhwi Jung ) , 김보미 ( Bomi Kim ) , 우희성 ( Heesung Woo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20] 제109권 제3호, 291~299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는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애당리 수확 벌채 지역을 대상으로 다양한 표본추출방법을 적용하여 재적을 산출한 후 실제 벌채량 및 설계서상의 재적 값과의 비교를 통해 보다 정확하고 비용 효율적인 표본추출방법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표본추출방법으로는 1) 임의추출법, 2) 계통추출법, 3) 선상추출법을 적용하였으며, 각 표본추출방법별로 이동시간, 추정된 재적평균의 표본 오차율, 조사시간, 조사원 규모, 시간당 임금, 표본점 개수 등을 이용하여 표본추출방법에 대한 산림조사의 비용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각 표본추출방법별로 10개의 표본점을 추출하였으며, Bootstrap 기법을 이용하여 표본 강도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선상추출법이 임의 및 계통추출법보다 실측된 재적 값과의 재적 편차가 상대적으로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고, 산림...
TAG random sampling, line sampling, systematic sampling, forest measurement, forest inventory sampling
우리나라 입목의 초기 생장 특성에 따른 유령림의 임목축적 산출방안 고찰
문가현 ( Ga Hyun Moon ) , 문나현 ( Na Hyun Moon ) , 임종수 ( Jong Su Yim ) , 강진택 ( Jin Taek Kang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20] 제109권 제3호, 300~312페이지(총13페이지)
우리나라의 산림자원 중 유령림에 포함되는 I 영급(10년생 이하)은 입목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임목축적을 ‘0’으로 가정하여 국가통계를 산출하고 있으며, 온실가스 배출 및 흡수량 산정을 위한 탄소흡수량에서도 누락되고 있다.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의 이행 및 산림부문 탄소저장량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유령림의 산림자원에 대한 정확한 통계정보의 수집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유령림의 초기 생장 특성을 파악하고 국가산림자원조사에서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유령림의 임목축적을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유령림의 초기 생장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유령림의 초기 생장에 관한 문헌조사, 수종별 수간석해 분석 및 현실림 임분수확표에 의한 지위지수별 유령림의 생장 특성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유령림에서 대부분의 입목은 흉고직경 6 cm 미만으로 나타났...
TAG growing stock, seedling trees, ingrowth, nfi data, stem analysis
설악산 상록침엽수림의 고도별 종조성 및 치수 밀도 변화
김지동 ( Ji-dong Kim ) , 변성엽 ( Seong Yeob Byeon ) , 송주현 ( Ju Hyeon Song ) , 채승범 ( Seung Beom Chae ) , 김호진 ( Ho Jin Kim ) , 이정은 ( Jeong Eun Lee ) , 윤이슬 ( I Seul Yun ) , 윤충원 ( Chung Weon Yun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20] 제109권 제2호, 115~123페이지(총9페이지)
식생의 수직적 분포는 고도구배에 따라 구분할 수 있으며, 수종의 분포패턴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는 상록침엽수림의 고도별 분포 변화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식생구조, 고도에 따른 종조성, 치수 밀도와 고도에 따른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중요치 분석 결과, 식생구조는 분비나무(12.2), 잣나무(10.86), 시닥나무(8.11) 등의 혼효림구조로 나타났다. 고도에 따른 종조성 결과로, 분비나무와 두루미꽃은 해발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중요치가 함께 증가하였다. 1,400 m에서 1,600 m 구간 사이에서 미역줄나무의 출현은 숲 틈의 발생이 빈번함을 알 수 있었다. 종다양성지수는 1,400-1,500m 구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위에 숲 틈 발생의 당위성을 반영해주는 결과로 적절하였다. 상록침엽수의 치수밀도 변화는 2년 동안 분비...
TAG altitudinal gradient, ecological monitoring, seedling dynamics, subalpine zone
우리나라 오리나무림의 군락생태학적 연구
조준희 ( Joon-hee Cho ) , 배관호 ( Kwan-ho Bae ) , 오승환 ( Seung-hwan Oh ) , 김준수 ( Jun-soo Kim ) , 조현제 ( Hyun-je Cho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20] 제109권 제2호, 124~135페이지(총12페이지)
오리나무림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의 습지림을 구성하는 대표적인 임분으로 예전에는 산지, 하변, 배후습지, 그리고 충적 저지 등 다양한 서식환경에서 비교적 흔하게 분포하고 있었으나, 다양한 토지이용과 서식지의 건조화 등의 영향으로 최근에는 보기 드문 식물군락 중의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산지습지에 자연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오리나무림의 군락생태학적 특성을 파악하여 향후 그 체계적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국 66개 지소의 오리나무림을 대상으로 ZM학파의 식물사회학적 방법과 이원지표종분석(TWINSPAN)을 병용하여 군락 유형을 분류한 결과, 모두 8개 단위 유형 (쪽동백나무형, 들메나무-병꽃나무형, 참조팝나무형, 콩제비꽃형, 꼬리조팝나무-물봉선형, 왕미꾸리광이형, 진퍼리새형, 그리고 상수리나무-생강나무형)...
TAG alder forests, wetland forests, vegetation unit hierarchy, Zürich-Montpellier, ZM, School of Phytosociology, ecological characteristics
남산 소나무군락의 토양호흡과 환경요인인 기온과 강수량과의 상호관계 및 도시림 관리의 의미
이응필 ( Eungpill Lee ) , 이수인 ( Sooin Lee ) , 박재훈 ( Jaehoon Park ) , 김의주 ( Euijoo Kim ) , 홍용식 ( Youngsik Hong ) , 이승연 ( Seungyeon Lee ) , 유영한 ( Younghan You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20] 제109권 제2호, 136~144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대도시공원 내 소나무군락의 토양권의 유기탄소 배출량을 정량화하여 기후요인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토양호흡량 배출을 감축하기 위한 관리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남산에 위치하고 있는 소나무 군락의 토양호흡량의 유기탄소량을 조사하고 환경요인과 연결시켜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남산 소나무군락의 토양호흡량의 평균 유기탄소량은 7.978 ton C ha-1 yr-1로 2011년에 6.893 ton C ha-1 yr-1에서 2018년에 8.660 ton C ha-1 yr-1로 약 0.682 ton C ha-1 yr-1 만큼 증가하였다. 또한, 봄철(3월-5월)의 강수량은 토...
TAG metropolitan forests, urban forest management, soil respiration, environmental factors, drainage management
염포산 산림식생의 군락 구조 및 공간 분포의 경시적 변화
오정학 ( Jeong-hak Oh ) , 김준수 ( Jun-soo Kim ) , 조현제 ( Hyun-je Cho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20] 제109권 제2호, 145~156페이지(총12페이지)
울산광역시의 대표적인 고립된 도시숲인 염포산을 대상으로 2000년과 2018년에 산림식생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식생조사를 수행하여 그 구조, 조성 및 공간 분포 변화 경향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총피도(/100㎡)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자연식생에서는 약 9%의 증가율을 보였다. 구성종의 중요치는 그 순위에 있어서는 다소간의 변화가 있었으며 난대성 수종인 비목나무와 오염내성이 강한 때죽나무가 각각 835%, 269%의 매우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종풍부도(S)와 종다양도(H’)는 각각 약 22%, 약 8%의 감소율을 보였는데 주로 하층 식생 발달에 따라 임상 식생 구성종이 자연 감소한 결과로 판단되며 모두 인공식생이 자연식생에 비해 다소 높은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생활형 조성 체계는 2000년과 2018년 모두 ‘MM-R5-D4-e’로 동일하...
TAG isolated urban forest, forest vegetation, phytosociological survey, vegetation community type, spatial distribution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산성화 민감도평가와 그에 따른 토양 이화학적 특성 비교분석
이아림 ( Ah Lim Lee ) , 구남인 ( Namin Koo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20] 제109권 제2호, 157~168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는 국내 산림토양을 대상으로 새로운 민감도 평가기법을 활용하여 산림토양 산성화 민감도를 평가하여 3가지 등급으로 구분하고, 각 민감도 그룹별 산성화 정도 및 토양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ㆍ분석하여 산림토양의 질적 현황을 파악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공시토양은 국립산림과학원에서 설치한 산성화 모니터링 고정조사지에서 채취하여 이화학적 특성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산림토양 산성화 민감도는 토양 pHH2O, 양이온치환용량(Cation exchange capacity, CEC), 염기포화도(Base saturation, BS)를 활용하여 평가하였다: ‘양호’(pH≧4.2, CEC≧15cmol/kg, BS≧15%), ‘주의’(1~2개 지표 ‘양호’등급 기준미달), ‘심각’(3가지 지표 모두 미달). 전체 공시토양의 약 19%가 '양호'등급으로 ...
TAG acid rain, N and S deposition, aluminum buffering capacity, organic matter and aluminum complexation, aluminium hydroxide
삼나무와 편백 임분의 임목, 임상, 토양의 탄소량 비교
김춘식 ( Choonsig Kim ) , 백경원 ( Gyeongwon Baek ) , 최병길 ( Byeonggil Choi ) , 하지석 ( Jiseok Ha ) , 배은지 ( Eun Ji Bae ) , 이광수 ( Kwang-soo Lee ) , 손영모 ( Yeong Mo Son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20] 제109권 제2호, 169~178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우리나라 남부지역의 주요 조림 수종으로 유사한 입지환경에 조성되는 삼나무와 편백 임분의 유기 탄소량을 비교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삼나무와 편백이 서로 인접한 지역에 조성된 대표적 조림지 13개 지역을 선정하고, 임목, 임상, 토양 10 cm 깊이의 탄소량을 조사하였다. 조사지의 평균 임분 연령은 삼나무 45년, 편백 43년이었으며, 임분밀도는 삼나무가 989본 ha-1으로 편백 1,223본 ha-1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평균 흉고직경과 우세목의 평균 수고는 삼나무가 27.4 cm와 20.4 m, 편백은 23.9 cm와 17.9 m로 삼나무가 유의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두 임분의 임목 바이오매스 탄소량은 흉고단면적과 유의적인 선형회귀 관계(삼나무: r2 = 0.82; 편...
TAG allometric equations, carbon dioxide, carbon sequestration, Japanese cypress, Japanese cedar, forest soil, site index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