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366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산림소유역 토사유출량에 의한 사방댐 시공적지 예측기법 개발
이성재 ( Sung-jae Lee ) , 김선정 ( Seon-jeong Kim ) , 이은재 ( Eun-jai Lee ) , 마호섭 ( Ho-seop Ma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20] 제109권 제4호, 438~445페이지(총8페이지)
본 연구는 산림소유역에 시공되어 있는 사방댐내의 토사유출량에 영향을 미치는 산림환경 인자를 분석하고 수량 화이론(I)를 이용하여 예방적인 측면에서 사방댐 시공적지를 선정하고 예측하였다. 각 산림환경 인자의 범위를 추정한 결과, 준설경과년수(0.7495)가 가장 높게 나타나 산림소유역 토사유출량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다음으로는 경급(0.6000), 소밀도(0.5318), 유역면적(0.3416), 사면경사(0.3207), 강수량(0.3160), 고도(0.2990), 토양형(0.2192)순으로 나타났다. 각 인자의 범주별 상대점수를 74개 사방댐의 각종 인자에 반응시켜 사방댐의 시공적지를 예측할 수 있는 판정표를 개발하였고, 판정표를 이용하여 시공적지를 Ⅰ급지(Very suitable site) 2.2496 이상, Ⅱ급지(Suitable ...
TAG suitable site, development of prediction technique, erosion control dam, forest environment factors
사방댐 대상지 선정 기준마련을 위한 AHP 분석기법의 적용
배현석 ( Hyun-seok Bea ) , 이광연 ( Kwang-youn Lee ) , 최영진 ( Young-jin Choi ) , 이진호 ( Jin-ho Lee ) , 우충식 ( Choong-shik Woo ) , 전근우 ( Kun-woo Chun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20] 제109권 제4호, 446~453페이지(총8페이지)
이 연구는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사방댐 대상지 선정과 관련된 인자의 중요도를 정량적으로 산정하고, 이를 시범 적용함으로써 사방댐 대상지 선정과 관련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AHP 분석을 위해 평가항목 및 평가인자를 구분한 결과 평가항목은 3개(위험성, 취약성 및 시공성), 평가인자는 총 12개(위험성 10개, 취약성 및 시공성 각 1개), 평가기준은 평가인자별 2∼6개로 선정되었다. 선정된 평가항목, 평가인자 및 평가기준별 중요도를 활용하여 평가기준별 상대적 중요도를 산출한 결과, 취약성 항목인 의료시설, 노유자시설, 교육시설 및 민가 등이 타 항목보다 높게 나타났다. 사방댐 타당성평가 적격 판정지역의 중요도를 강원도 내 사방댐 미설치유역 24,431개소에 적용한 ...
TAG Gangwon-do, weight, susceptibility, vulnerability, constructability
국내 일본잎갈나무림의 자원량 및 목재생산 잠재량 분석
김영환 ( Young-hwan Kim ) , 유중원 ( Joung-won You ) , 임종수 ( Jong-su Yim ) , 이승현 ( Seung-hyun Lee ) , 박주원 ( Joo-won Park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20] 제109권 제4호, 454~460페이지(총7페이지)
본 연구는 국내 일본잎갈나무림에서 법적·물리적·환경적·기술적 제약조건을 적용하여 실제 목재생산이 가능한 면적을 산출하고, 이를 대상으로 향후 50년간의 자원량과 목재생산 잠재량을 최적화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일본잎갈나무 면적(259천ha) 가운데 목재생산이 가능한 면적은 124천ha(48%)로 분석되었다. 향후 일본잎갈나무림에 대한 자원조성 및 관리 노력이 뒷받침되지 않을 경우, 안정적 목재생산을 담보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잎갈나무림의 목재생산 잠재량을 확대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임도를 매년 705 km씩 신설하여 목재생산 가능지역을 확대하는 대안 1과 임도를 매년 1,000 km씩 신설하는 대안 2를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대안 1은 목재공급량이 현 수준을 유지하거나 5% 정도 증가할 경우 문제가 없으나, 10% 증가할 경우...
TAG Larix kaempferi, timber production, forest roads, optimization
삼나무의 수간곡선식 및 입목수간재적표 개발
고치웅 ( Chi-ung Ko ) , 이승현 ( Seung-hyun Lee ) , 이선정 ( Sun-jung Lee ) , 김동근 ( Dong-geun Kim ) , 강진택 ( Jin-taek Kang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20] 제109권 제4호, 461~467페이지(총7페이지)
본 연구는 정확도가 높은 Kozak 수간곡선모델을 이용하여 전국에 분포한 삼나무의 수간곡선식 및 입목수간재적표를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전국에 분포하는 총 1,000본의 삼나무 표본목을 벌채하여 수간고별 직경을 측정하고 수간 형상을 파악할 수 있는 수간곡선식을 추정하였다. 추정한 모델의 통계적 적합도지수는 98.7%로 나타났고 편차는 -0.0142, 평균절대편차는 1.1640로 높은 적합도를 보였다. 또한 현행재적표와 신규재적표의 재적은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새롭게 개발된 재적표는 현실림을 반영한 것으로, 국가 및 지자체의 산림통계 정확도 향상과 목재 자원량 평가 시 발생할 수 있는 경제적 손실 방지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TAG Criptomeria japonica, stem voulme table, Kozak’s stem taper equation, forest management, stem analysis
굴참나무 맹아갱신지의 벌기령 추정
박준형 ( Joon Hyung Park ) , 정상훈 ( Sang Hoon Chung ) , 김선희 ( Sun Hee Kim ) , 김형호 ( Hyungho Kim ) , 이상태 ( Sang Tae Lee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20] 제109권 제4호, 468~476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는 굴참나무 임분밀도관리도 개발을 통해 맹아갱신림의 경영목표별 벌기령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분석에 활용된 표준지 조사자료는 분석용 자료 603개소와 검증용 자료 113개소로 분류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임분밀도관리도의 개발과 적합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임분밀도관리도 구성 모델의 설명력(R2)은 등평균수고곡선식 0.732, 등평균직경곡선식 0.990으로 분석되었다. 재적 생산 최대 벌기령을 분석한 결과, ha당 900본의 맹아 잔존 시 42~44년으로 나타났고, ha당 1,800본을 잔존한 경우 38~42년으로 분석되었다. 3등급재 원목을 생산목표로 설정하였을 때의 벌기령은 지위지수 16일 때 25~28년이 소요되었고, 지위지수 14는 29~33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굴참나무 맹아갱신 임분의 경영...
TAG stand density management, final cutting age, sawtooth oak, site index
현실임분 생장특성에 의한 편백 임분수확표 개발
정수영 ( Su Young Jung ) , 이광수 ( Kwang Soo Lee ) , 이호상 ( Ho Sang Lee ) , 배은지 ( Eun Ji Bae ) , 박준형 ( Jun Hyung Park ) , 고치웅 ( Chi-ung Ko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20] 제109권 제4호, 477~483페이지(총7페이지)
본 연구는 남부지방 대표수종인 편백 현실림의 생장 특성을 반영한 수확표를 작성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0개소 이상의 편백의 표준지 생장조사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기존의 임분수확표 작성 절차인 직경분포의 추정, 적합, 예측의 단계를 거쳤으며, 직경분포모델은 Weibull 함수를 이용하였다. 임지생산력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인 지위지수(기준임령 30년)는 Chapman-Richards식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임분수확표 작성을 위한 평균직경 등 여러 추정식은 적합도를 고려하여 최적의 식을 선정하고 이용한 결과, 조사된 편백 현실임분의 지위지수는 10∼18 범위에 있음이 밝혀졌다. 추정된 임분재적 모델은 편백림의 임분재적에 대해 62%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재적과 추정재적 간의 잔차도분석 결과 ‘0’을 중심으로 모두 고른 잔차를 보...
TAG Chamaecyparis obtusa, estimation formula, real forest, stand yield table, site index
스마트폰 촬영 이미지를 활용한 나이테 검출 및 분석 프로그램 개발
김동현 ( Dong-hyeon Kim ) , 김태이 ( Tae-lee Kim ) , 조형주 ( Hyung-joo Cho ) , 김동근 ( Dong-geun Kim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20] 제109권 제4호, 484~491페이지(총8페이지)
본 연구는 고가의 나이테 분석 장비에서 탈피하고 손쉽게 나이테 분석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스마트폰 촬영 이미지를 활용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인 TRIO(Tree Ring Information)를 개발하였다. TRIO는 반 자동형 컴퓨터 프로그램이며, 스마트폰 촬영 이미지를 활용해 1년 단위별 나이테 반경을 측정하고, 결과를 엑셀로 저장한다. 카메라 성능에 따른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삼성 갤럭시 S10과 삼성 갤럭시 탭 S2로 기종을 달리하여 30개의 리기다소나무 원판의 4방위 이미지를 취득하고 WinDENDROTM와 1년 단위별 나이테 반경을 측정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삼성 갤럭시 S10과 S2 모두 WinDENDROTM와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S10의 R2 값이 0.976...
TAG application, Pinus rigida, smartphone, tree ring, WinDENDROTM
신갈나무와 굴참나무의 수간부후와 흉고직경 및 임령 관계
강진택 ( Jin-taek Kang ) , 고치웅 ( Chi-ung Ko ) , 문가현 ( Ga-hyun Moon ) , 이승현 ( Seung-hyun Lee ) , 이선정 ( Sun-jeoung Lee ) , 임종수 ( Jong-su Yim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20] 제109권 제4호, 492~503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고 있는 대표적 활엽수인 신갈나무와 굴참나무 5,005본을 벌채·수집하여 수간의 부후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국적으로 5개 대권역 27개 지역 소권역별로 분포면적 대비 표본수를 고르게 할당하여 신갈나무 2,504본, 굴참나무 2,501본을 공시목으로 선정하여 벌채 후, 그루터기의 부후조사를 상흔(상처흔적), 조직고사 및 탈색, 할렬, 동공의 4가지 형태로 조사하였다. 부후율은 신갈나무가 66.1%, 굴참나무가 31.5%로 신갈나무가 굴참나무에 비하여 두 배 이상 높았다(p < 0.001). 지역별 비교에서 신갈나무는 중부청(76.5%), 북부청(74.8%), 동부청(65.7%), 굴참나무는 북부(38.6%), 남부(37.8%), 동부청(32.9%) 권역 순으로 나타났으며, 두 수종 모두 5개 대권역 간에는 차이...
TAG decay, Quercus mongolica, Quercus variabilis, scar, tissue decay, decolorization, split, tree hollow
확률밀도함수를 이용한 목재수확조절법 연구
박정묵 ( Jung-mook Park ) , 이정수 ( Jung-soo Lee ) , 이호상 ( Ho-sang Lee ) , 박진우 ( Jin-woo Park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20] 제109권 제4호, 504~511페이지(총8페이지)
본 연구는 확률밀도함수를 이용한 목재수확예측기법으로 면적가중치법(AW), 면적비율가중치법(ARW), 표본면적 변화율가중치법(SCRW)를 적용하여 전국 국유림의 산림경영계획 목표량 설정을 위한 벌채계획량을 추정하였다. 벌채계획량 추정을 위한 산림면적은 산림기본통계의 2010년, 2015년의 영급별 국유림면적을 이용하였으며, 5년간의 산림면적변화량을 벌채면적으로 가정하여 산출하였다. AW, ARW, SCRW를 이용한 벌기령의 평균은 각각 5.41, 5.56, 5.37로 Ⅴ~Ⅵ영급수준으로 산출되었다. 벌채면적은 각각 594,462 ha, 586,704 ha, 580,852 ha로 SCRW가 실제 면적변화량과 가장 유사하였으며, Chi-square 검정도 SCRW이 가장 안정적으로 분석되었다. 산림경영계획의 목재수확예측을 위한 방법으로 SCRW가 AW와 ...
TAG forest management, normal forest, standard felling age, timber yield regulation
유망 밀원수종 이나무의 화밀 특성 분석
김영기 ( Young Ki Kim ) , 송정호 ( Jeong Ho Song ) , 박문수 ( Moon Su Park ) , 김문섭 ( Mun Seop Kim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20] 제109권 제4호, 512~520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는 유망 밀원수종인 이나무를 대상으로 객관적인 밀원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화밀분비량, 유리당 및 유리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하였다. 이나무는 암수딴그루로 수꽃이 암꽃보다 약 4일정도 빨리 개화하였고, 개화시기는 5월 14일부터 5월 30일까지 약 17일간 개화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화밀분비 패턴을 조사한 결과 수꽃은 개화 3일차에 5.0 ± 2.5μL로 가장 높았고, 암꽃은 개화 2일차에 1.1 ± 0.4 μL로 가장 많이 분비되었다. 개화기간 동안 분비된 총 화밀량은 수꽃 9.7 ± 2.9 μL, 암꽃 1.7 ± 0.5 μL로 조사되었으며, 건조화밀량은 수꽃 2.2 ± 0.6 μL, 암꽃 0.8 ± 0.3 μL을 나타내어 암수 간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었다. 화밀 내 유리당 함량은 수꽃 54.6 ± 15.4 μg/μL, 암꽃 20.5 ± 4.9 μ...
TAG apiculture, amino acid, honey plant, nectar secretion, sugar content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