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대한미용학회(구 대한미용과학회)663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노인 미용복지 봉사활동 만족도
권정순 ( Jeoung Soon Kwon ) , 권오혁 ( Oh Hyuk Kwon ) , 최근희 ( Keun Hee Choi )  대한미용학회(구 대한미용과학회), 대한미용학회지 [2009] 제5권 제1호, 1~6페이지(총6페이지)
TAG Aging, Aged people, Beauty service, Service network
실험계획법을 적용한 아이라이너의 품질 향상 연구
김미정 ( Mi Jung Kim ) , 이영근 ( Young Keun Lee )  대한미용학회(구 대한미용과학회), 대한미용학회지 [2009] 제5권 제1호, 1~10페이지(총10페이지)
TAG Eyeliner, Experiments design, Response surface design, Surfactant, Thickener
세안화장품의 기기적 효능평가에 관한 연구
하병조 ( Byung Jo Ha )  대한미용학회(구 대한미용과학회), 대한미용학회지 [2009] 제5권 제1호, 1~5페이지(총5페이지)
TAG Instrumental evaluation, Foam cleansing cream, Cleansing water
한의학과 아유르베다의 비교 연구
최은영 ( Eun Young Choi )  대한미용학회(구 대한미용과학회), 대한미용학회지 [2009] 제5권 제1호, 1~6페이지(총6페이지)
TAG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CM, Ayurveda,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CAM
1960년대 뷰티 및 패션트렌드 분석 -모델 "트위기(Twiggy)"를 중심으로-
김희선 ( Hee Sun Kim )  대한미용학회(구 대한미용과학회), 대한미용학회지 [2009] 제5권 제1호, 1~6페이지(총6페이지)
TAG Fashion style, Make-up, Twiggy, Fashion trend
밀몽화 추출물의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 및 항산화 활성 효과
박상용 ( Sang Yong Park ) , 이강진 ( Kang Jin Lee ) , 이태후 ( Tae Hoo Yi )  대한미용학회(구 대한미용과학회), 대한미용학회지 [2009] 제5권 제1호, 1~7페이지(총7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밀몽화(Buddleja officinalis)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멜라닌 합성 저해 효능을 평가하였다. 건조된 밀몽화의 70% Ethanol 추출물에 대하여 용매별로 분획을 실시하였고, Ethyl acetate, Butanol 및 H2O 분획에 대하여 항산화 활성 및 Tyrosinase 활성 저해능을 조사 하였다. 밀몽화 70% ethanol 추출물과, Ethyl acetate 분획층은 50% 이상의 DPPH 라디칼 제거능을 보여주었다. 특히, Ethyl acetate 분획층의 경우 Tyrosinase의 활성을 70% ethanol 추출물이나 다른 분획층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또한, 세포 내에서 세포 생존율에는 변화를 주지 않으며 멜라닌의 합성을 40% 이상 저해하였...
TAG Buddleia officinalis, Anti-oxidative, Tyrosinase, melanogenesis, B16F10 cell
만형자 추출물의 모발성장 촉진 효과
신헌섭 ( Heon Sub Shin ) , 이강진 ( Kang Jin Lee ) , 이태후 ( Tae Hoo Yi )  대한미용학회(구 대한미용과학회), 대한미용학회지 [2009] 제5권 제1호, 1~5페이지(총5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밀몽화(Buddleja officinalis)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멜라닌 합성 저해 효능을 평가하였다. 건조된 밀몽화의 70% Ethanol 추출물에 대하여 용매별로 분획을 실시하였고, Ethyl acetate, Butanol 및 H2O 분획에 대하여 항산화 활성 및 Tyrosinase 활성 저해능을 조사 하였다. 밀몽화 70% ethanol 추출물과, Ethyl acetate 분획층은 50% 이상의 DPPH 라디칼 제거능을 보여주었다. 특히, Ethyl acetate 분획층의 경우 Tyrosinase의 활성을 70% ethanol 추출물이나 다른 분획층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또한, 세포 내에서 세포 생존율에는 변화를 주지 않으며 멜라닌의 합성을 40% 이상 저해하였...
TAG Vitex rotundifolia, Hair regeneration, C57BL/6 mouse, Human Hair Dermal Papilla Cell
Base Makeup에 사용되는 파운데이션과 파우더의 주사전자현미경적 관찰
이지연 ( Jee Yeon Lee ) , 이귀영 ( Gui Young Lee ) , 장병수 ( Byung Soo Chang )  대한미용학회(구 대한미용과학회), 대한미용학회지 [2009] 제5권 제1호, 1~5페이지(총5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밀몽화(Buddleja officinalis)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멜라닌 합성 저해 효능을 평가하였다. 건조된 밀몽화의 70% Ethanol 추출물에 대하여 용매별로 분획을 실시하였고, Ethyl acetate, Butanol 및 H2O 분획에 대하여 항산화 활성 및 Tyrosinase 활성 저해능을 조사 하였다. 밀몽화 70% ethanol 추출물과, Ethyl acetate 분획층은 50% 이상의 DPPH 라디칼 제거능을 보여주었다. 특히, Ethyl acetate 분획층의 경우 Tyrosinase의 활성을 70% ethanol 추출물이나 다른 분획층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또한, 세포 내에서 세포 생존율에는 변화를 주지 않으며 멜라닌의 합성을 40% 이상 저해하였...
TAG Makeup, Foundation, Powder, Talc, Iron oxid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퍼머넌트 웨이브 로션 중 환원제의 함량 비율에 따른 모발의 컬 형성과 지속성
이순자 ( Soon Ja Lee ) , 박주아 ( Ju A Park ) , 김한식 ( Han Shik Kim )  대한미용학회(구 대한미용과학회), 대한미용학회지 [2009] 제5권 제1호, 1~6페이지(총6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밀몽화(Buddleja officinalis)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멜라닌 합성 저해 효능을 평가하였다. 건조된 밀몽화의 70% Ethanol 추출물에 대하여 용매별로 분획을 실시하였고, Ethyl acetate, Butanol 및 H2O 분획에 대하여 항산화 활성 및 Tyrosinase 활성 저해능을 조사 하였다. 밀몽화 70% ethanol 추출물과, Ethyl acetate 분획층은 50% 이상의 DPPH 라디칼 제거능을 보여주었다. 특히, Ethyl acetate 분획층의 경우 Tyrosinase의 활성을 70% ethanol 추출물이나 다른 분획층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또한, 세포 내에서 세포 생존율에는 변화를 주지 않으며 멜라닌의 합성을 40% 이상 저해하였...
TAG Hare, Curly hair, Permanent wave, Reductive agent
Thioglycolic acid와 열 펌에 의해 손상된 모발에 관한 연구
오명숙 ( Myung Suk Oh ) , 장병수 ( Byung Soo Chang )  대한미용학회(구 대한미용과학회), 대한미용학회지 [2008] 제4권 제2호, 163~170페이지(총8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밀몽화(Buddleja officinalis)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멜라닌 합성 저해 효능을 평가하였다. 건조된 밀몽화의 70% Ethanol 추출물에 대하여 용매별로 분획을 실시하였고, Ethyl acetate, Butanol 및 H2O 분획에 대하여 항산화 활성 및 Tyrosinase 활성 저해능을 조사 하였다. 밀몽화 70% ethanol 추출물과, Ethyl acetate 분획층은 50% 이상의 DPPH 라디칼 제거능을 보여주었다. 특히, Ethyl acetate 분획층의 경우 Tyrosinase의 활성을 70% ethanol 추출물이나 다른 분획층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또한, 세포 내에서 세포 생존율에는 변화를 주지 않으며 멜라닌의 합성을 40% 이상 저해하였...
TAG Cuticle Layer, Permanent hair, Thioglycolic aci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