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종교교육학회78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ST. Augustinus 의 영성교육론
정희숙(Hee Sook Chung)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2001] 제13권 285~304페이지(총20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성 아우구스티누스 영성교육의 관점에서 진정한 교육의 지평을 고찰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우선 영성의 의미와 아우구스티누스의 영성교육의 본질과 방법을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그 살펴본 내용을 염두에 두고 진정한 교육과 방향을 어떻게 설정해야 할 것인가를 논의하려 한다. 결론적으로 아우구스티누스의 영성교육은 교사와 학생간의 대화교육방법을 제시했으며, 믿음, 소망, 사랑을 본질로 했다는 점에서 교육의 본질적 지평이 된다고 본다.
유아기의 심성발달에 관한 불교의 역할 및 방향모색
황옥자(Ok Ja Hwang)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2001] 제13권 305~328페이지(총24페이지)
본 논문은 유아기의 바람직한 심성발달을 위해 불교가 해야 할 역할과 이를 구체적으로 실행 가능하게 하는 교육적 방안은 무엇인지에 초점을 맞추어 불교적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오늘날 심성이란 용어는 마음, 인격, 인성, 기질 등과 같은 다양한 용어와 혼용되고 있으나 본 연구자는 마음이라는 개념으로 파악하여 사용하였다. 인간은 본래 선한 심성을 타고났다는 가치관에서 볼 때 유아기의 선한 심성을 변질이나 왜곡됨이 없이 계발 유지해 나갈 수 있도록 도모하는 일 또한 중요한 과제가 된다. 불전의 문헌을 살펴보면 깨달음을 얻기 위해 잘 가꾸어 가야할 바람직한 인간의 심성으로 영아의 마음상태인 영동심을 들고 있다. 그렇다면 영동심이야 말로 유아기에 지향하는 최상의 인간성이요 심성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논지에서 본 연구는 영동심의 발현에 초점을 맞추어 불교가 해야 ...
대학교 교양교육과 종교
김용정(Yong Jeon Kim)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2001] 제12권 7~25페이지(총19페이지)
근대 이래 교육의 개혁과 함께 사회의 개혁에 대한 여러 주장이 강하게 제기되어 왔다. 이 경우 인간성을 향상시키고 발전시킬 도덕적 가치를 배제한 채 이른바 진보라는 관념 그 자체가 목표도 없고 의미도 없이 진보한다고 하는 관점이 나타났다. 그리하여, 진보 그 자체가 진보의 의미가 된 관념이 현대인에게 내재화되어 왔다. 이와 같은 현상 속에서 영리에의 무한한 본능과 자극이 원동력이 되어 진보를 떠받쳐 왔다. 이러한 관념과 욕망이 과연 어디까지 진보해갈 수 있겠는가. 이 문제를 심각하게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의 검토를 위하여 교육철학을 통하여 고전적인 교양교육의 이념을 회고할 것이다. 이에 이어 첨단 과학기술의 시대, 정보화시대, 생명공학의 시대로 특징 되고 있는 현대 내지 미래의 시대를 전망하면서, 교육학적 근본 문제에 있어서 교양의 유형, 현대과학과 ...
유교와 대학의 교양교육
이세현(Se Hyun Lee)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2001] 제12권 26~49페이지(총24페이지)
본 논문은 대학에서의 교양 교육과 유교와의 상관 관계에 대하여 종교 교육적 측면에서 고찰한 것이다. 교육은 단순한 지식의 전달과 기술의 습득만을 목적으로 하지 않고 그것들을 도구로 사용하는 주체인 인간의 인격 교육을 목적으로 할 때 철학의 영역과 종교는 만나게 된다. 유교에서 교육과 수양의 목표는 만물의 완성이다. 즉, 자신의 타고난 본성에 대해 자각하고 이를 계발하여 도덕적 완성을 이룬 인간과 사회를 만듬으로서, 자신만이 아닌 다른 존재 역시도 도덕적 인격을 함양하여 조화로운 인간을 형성하는데 있다. 유교의 중요한 교육 방법은 육예(六藝)인데 이것은 바로 교양과 인격을 갖춘 인간을 양성하고자 한 것이다. 한국에서는 삼국시대로부터 교과 과정을 통하여, 그 교육 목적을 이해할 수 있겠다. 『논어』와 『효경』 을 중심으로 하는 유교 경전의 교육은 인간 교...
한국의 불교와 대학의 교양교육
박선영(Sun Young Park)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2001] 제12권 51~71페이지(총21페이지)
이 연구는 「대학의 교양교육과 종교」라고 하는 큰 주제를 불교적인 관점에서 검토하고자 한다. 그리고 그 검토한 내용을 정보화와 과학의 시대로 일컬어지는 현대와 미래의 문명 내지 문화의 특징을 염두에 두고 대학에서의 교양교육의 성격이나 방향을 어떻게 설정해야 할 것인가 하는 것을 논의하려 한다. 이를 위해서 우선 교양교육의 의미와 이 교양교육이 한문문화권의 동아시아와 그리스-로마로 이어져온 문화속에서의 교양교육의 성격을 간단히 짚어볼 것이다. 불교에 있어서 교육의 성격을 검토하여 대학에서의 교양교육이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가에 대해서도 논의하려고 한다.
대학에서의 종교교양교육 - 가톨릭대학교의 현황과 전망 -
박일영(Il Young Park)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2001] 제12권 73~100페이지(총28페이지)
교육, 특히 대학에서의 교양교육은 설립 주체의 인간 이해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가톨릭대학교의 설립 주체인 가톨릭 교회가 이해하는 인간관은 바로 인간이 하느님의 모상으로서 인간은 존엄한 존재라는 것이다. 그러한 인간 존엄성의 근거를 밝힌 가톨릭 교회 공식 문헌들이 많이 있다. 제2차 바티칸공의회에서 반포한 「그리스도교적 교육에 관한 선언」(1965), 교황청 가톨릭교육성에서 펴낸 「가톨릭 학교에 관한 지침」(1977), 「학교 내의 가톨릭 평신도. 신앙의 증인들 」(1982) 등에서 가톨릭 교회의 공식적인 교육관을 찾아볼 수 있다. 전세계 가톨릭계 대학들에서 이루어지는 종교교양교육도 이와 같은 기본 지침에 따라 실현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문에서 사례로 선택하여 살펴본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의 종교교양교육과정도 이러한 교육 이념을 실현하는 데에 그...
기독교 대학의 교양교육
손원영(Won Young Sohn)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2001] 제12권 101~133페이지(총33페이지)
이 논문은 기독교 교양교육의 개념을 `테오프락시스`(theopraxis)의 의미로 재개념화하고, 그에 따라 기독교 교양교육의 내용을 살펴보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한국 기독교대학에서 기독교 교양교육의 의미는 $quot;복음화 혹은 교회화의 수단$quot;이라는 맥락에서 이해되어져왔다. 그러나 이러한 개념의 정의는 다원화된 현대사회 속에서 다양한 종교의 공존을 인정하면서도 자신의 정체성을 강조하기 위한 기독교 교양교육의 개념으로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연구자는 기독교 교양 교육의 개념이 하나님을 향한 깊은 영성에 뿌리를 두면서도 동시에 실천지향적이고 해석학적 이해가 중시되는 `테오프락시스`의 개념으로 재개념화될 것을 제시한다. 그리고 그 개념 위에서 한국 개신교 대학의 교양교육이 영성적 프락시스, 해석학적 프락시스, 그리고 해방적...
대학의 교양교육에 관한 시론적 연구 - 천도교를 중심으로 -
성주현(Ju Hyeon Sung)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2001] 제12권 135~162페이지(총28페이지)
본고는 천도교의 교양교육의 역사적 사실과 부산예술문화대학의 교양교육 과정, 그리고 천도교의 입장에서 교양교육으로서의 종교교육의 시론적 과제를 살펴보았다. 천도교의 경우 아직 종단내의 대학이 없기 때문에 연구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1930년대의 자수대학강의는 천도교의 인내천주의와 사상을 사회화 민중화하여 빈궁과 무지를 해결 하려는 최초의 통신 대학의 성격을 가졌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고, 부산예술문화대학은 천도교 재단은 아니지만, 인내천 정신을 바탕으로 한, 천도교적 이념으로 설립된 대학으로서 종교교육을 통한 인성교육과 동학사상을 통한 천도교의 이해와 민족문화의 이해, 나아가 현 사회의 위기를 극복하는 대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대순진리회와 대학의 교양교육
김순자(Soon Ja Kim)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2001] 제12권 163~200페이지(총38페이지)
교양교육과정은 $quot;어떤 지식이 가장 가치 있는 지식인가?$quot;에 대한 기본적 딜레마에 대한 진보적 해답이다.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무수한 정의는 이 딜레마에 참여한 많은 교육학자들이 20세기를 통해 다양한 개념을 제시하였다. 교양교육의 가장 큰 목적은 교육받은 사람 즉, 상식적 문화를 받아들이는 것으로 발달되었다. 이 기본적 목적은 모든 학생을 위해 학습경험을 나누어주는 교육자들의 신념이다. 보통의 문화유산을 해석하고, 경험을 나누며 교양교육의 다양한 개념과 정의를 위해 특성을 제공했다. 교양교육과정의 이슈는 교양교육의 각기 다른 개념 때문에 교양교육과정 프로그램 선정의 다양한 문제가 따르고 있다. 교양교육프로그램의 유형은 크게 다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분과교과 안에서의 교양 프로그램, 2. 중핵교육과정의 교양 프로그램, ...
원불교와 대학의 교양교육 - 원광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김귀성(Kwi Sung Kim)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2001] 제12권 201~227페이지(총27페이지)
이 논문은 대학에서 교양교육과 종교교육의 현황 그리고 원불교에서 운영하는 원광대학교에서 교양과목으로서 종교교과목의 사례분석을 통한 과제와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분석결과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 나라 대학의 교양교육의 목적은 전공의 기초도야, 균형있는 전인적 인격도야, 그리고 사회변화에 능동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의 배양이라는 목적 아래 필수와 선택으로 구분하여 선택이수배분제를 도입 운영하고 있다. 이에 따른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과제는 교양교육목표의 명료화, 대학특성에 맞는 자율적이고 창조적인 교양과목의 개발, 지원체제 확립, 등이 요청된다. 둘째, 종교적 배경을 지닌 대학에서 교양과목으로서 종교교육은 대체로 특정 종교적 배경아래 필수와 선택과목을 공히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원광대학교의 사례...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