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농공학회7447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SWMM 모형을 활용한 평야부 관개효율 및 용수공급 취약성 평가
신지현 ( Shin Ji-hyeon ) , 남원호 ( Nam Won-ho ) , 방나경 ( Bang Na-kyoung ) , 김한중 ( Kim Han-joong ) , 안현욱 ( An Hyun-uk ) , 이광야 ( Lee Kwang-ya )  한국농공학회, 한국농공학회논문집 [2020] 제62권 제6호, 73~83페이지(총11페이지)
TAG Agricultural drought, SWMM, agricultural reservoir, water supply, irrigation efficiency, vulnerability
기후변화와 강우분포 및 CN에 따른 미래 홍수량 평가
곽지혜 ( Kwak Jihye ) , 김지혜 ( Kim Jihye ) , 전상민 ( Jun Sang Min ) , 황순호 ( Hwang Soonho ) , 이성학 ( Lee Sunghack ) , 이재남 ( Lee Jae Nam ) , 강문성 ( Kang Moon Seong )  한국농공학회, 한국농공학회논문집 [2020] 제62권 제6호, 85~95페이지(총11페이지)
TAG Climate change, RCP scenarios, SSP scenarios, CMIP5, CMIP6, design flood, HEC-HMS
수질오염총량제 시행 이후 낙동강수계 41개 지점의 BOD와 T-P의 목표수질과 초과율의 공간변화 분석
조현경 ( Cho Hyun Kyung ) , 곽은태 ( Kwak Eun Tae ) , 김상민 ( Kim Sang Min )  한국농공학회, 한국농공학회논문집 [2020] 제62권 제6호, 97~109페이지(총13페이지)
TAG TMDL, Nakdong river, target water quality, excess rate
밭작물 가뭄피해 경감을 위한 소류천 유출수 저수 시스템 개발
김영진 ( Kim Youngjin ) , 최용훈 ( Choi Yonghun ) , 이상봉 ( Lee Sangbong ) , 김민영 ( Kim Minyoung ) , 전종길 ( Jeon Jonggil )  한국농공학회, 한국농공학회논문집 [2020] 제62권 제6호, 111~118페이지(총8페이지)
TAG Upland, drought, irrigation water, water harvesting, water storage
농업용 저수지 제방에서 3차원 수치해석에 의한 감압정의 효과 분석
유전용 ( Ryu Jeon-yong ) , 허준 ( Heo Joon ) , 장용채 ( Chang Yong-chai )  한국농공학회, 한국농공학회논문집 [2020] 제62권 제6호, 119~129페이지(총11페이지)
TAG Reservoir embankment, relief well, pore water pressure, hydraulic gradient, 3D analysis
CMIP5 및 CMIP6 GCM 기반 무한천 유역 농경지 미래 침수 위험도 분석
전상민 ( Jun Sang Min ) , 황순호 ( Hwang Soonho ) , 김지혜 ( Kim Jihye ) , 곽지혜 ( Kwak Jihye ) , 김계웅 ( Kim Kyeung ) , 이현지 ( Lee Hyun Ji ) , 김석현 ( Kim Seokhyeon ) , 조재필 ( Cho Jaepil ) , 이재남 ( Lee Jae Nam ) , 강문성 ( Kang Moon Seong )  한국농공학회, 한국농공학회논문집 [2020] 제62권 제6호, 131~142페이지(총12페이지)
TAG Climate change, CMIP6, CMIP5, GCM, farmland inundation
증발 수요 기반 국내 Flash Drought 특성 분석
이희진 ( Hee-jin Lee ) , 남원호 ( Won-ho Nam ) , 윤동현 ( Dong-hyun Yoon )  한국농공학회,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2020] 제2020권 119(총1페이지)
일반적으로 가뭄은 장기간 동안 물 부족 현상이 누적되어 나타는 자연재해이며, 수개월 또는 수년이 걸리며 천천히 발생하는 기후현상이다.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온난화 현상으로 인하여 농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기상 및 환경요인의 변화가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극심한 기상 이상으로 몇 주 또는 몇 달 이내 빠르게 발전하는 가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Flash Drought라고 정의하며, Flash Drought는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표면온도의 상승과 비정상적으로 낮고 빠르게 감소하는 토양수분으로 인하여 발생한다. Flash Drought는 농업 및 자연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크며, 발생원인 또한 농업가뭄의 범주에 속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수적이다. 증발 수요 가뭄지수 (Evaporative Demand Drou...
TAG Flash Drought, Evaporative Demand Drought Index, EDDI, 증발 수요, 토양수분, 농업가뭄, 증발산량
농업용 저수지의 공급량 및 수요량 기반 농업용수 가뭄위험도 평가
문영식 ( Young-sik Mun ) , 남원호 ( Won-ho Nam ) , 윤동현 ( Dong-hyun Yoon ) , 이승용 ( Seung-yong Lee ) , 이광야 ( Kwangya Lee )  한국농공학회,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2020] 제2020권 120(총1페이지)
농업가뭄은 작물생육에 필요한 유효수분 부족 또는 관개기 동안 원활한 용수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으로 정의할 수 있다. 특히 농업용 저수지는 수자원 공급 및 확보를 위해 전국 18,000 여개가 건설되었으며, 농업용수는 우리나라전체 물 이용량의 약 47% 이상을 차지하고 있을 만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안정적인 작물생육과 용수공급을 위해 기후변화 및 농업수자원을 복합적으로 고려하는 가뭄위험도 분석을 통해 선제적 농업가뭄 대응 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위험도 평가는 민감도, 노출도, 적응능력을 기반으로 다양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효과적으로 가뭄을 예측하고 대응할 수 있는 의사결정 지원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 저수지를 기반으로 공급량 및 수요량 기반의 농업용수 가뭄위험도를 평가하였다. 농업용수 가뭄...
TAG 농업용수, 농업용 저수지, 공급량, 수요량, 가뭄위험도, 용수공급능력
원격탐사기술 기반 논 가뭄 모니터링을 위한 현장조사 및 분석
이희진 ( Hee-jin Lee ) , 남원호 ( Won-ho Nam ) , 홍은미 ( Eun-mi Hong ) , 장민원 ( Min-won Jang ) , 박종환 ( Jong-hwan Park ) , 김대의 ( Dae-eui Kim )  한국농공학회,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2020] 제2020권 121(총1페이지)
가뭄은 농업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는 자연재해로 전지구적 차원의 농업생산시스템 및 수확량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가뭄을 판단하기 위하여 시간적인 가뭄의 발생과 공간적인 가뭄의 분포를 파악해야하며, 가뭄을 정량화하고 대상 가뭄 지역의 특성을 파악하여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원격탐사기술은 재해 발생지역의 진행과 피해 정도를 신속히 제공할 수 있으며, 주기적이고 동일한 정확도로 접근이 용이하지 못한 지역 또는 광역적인 범위의 지역에 대한 데이터 취득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논 벼 작물 재배지역에 대하여 위성영상을 활용한 농업가뭄 판단의 적정성을 판단하고자 하며, 현장조사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정량적인 가뭄 판단을 위한 가뭄지수로 증발산을 활용한 위성영상 기반 가뭄지수인 ESI (Evaporative Stress Index)를 적용하였으며...
TAG 원격탐사, 농업가뭄, Evaporative Stress Index, ESI, 논 가뭄, 가뭄 모니터링
2020 용담댐 홍수 유입량 분석
노재경 ( Jaekyoung Noh )  한국농공학회,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2020] 제2020권 122(총1페이지)
2020년은 유난히 장마가 길었다. 무려 54일의 기록을 경신하였고,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켰다. 기후변화로 앞으로 이 개연성은 충분하다. 이 중 2020년 8월 7일∼8일 폭우로 인한 용담댐 유입량은 2001년부터 댐을 운영한 이래 최대 방류량을 야기하였고, 하류 지역에 많은 침수 피해를 가져왔다. 그 홍수 규모를 10분, 1시간, 일, 월, 년 단위로 비교, 분석하는 것은 의미가 크다. K-water 공공데이터개방포털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큰 그림 순서의 년, 월, 일, 시간, 10분 단위로 강우량, 유입량, 방류량을 3위까지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분석기간은 2001년부터 2020년 까지며, 10분 단위는 2006년부터다. 첫째, 연 단위로 강우량은 1위 2020년 2,045.3mm(9월까지), 2위 2003년 2,044.8m...
TAG 다목적 댐, 홍수, 강우량, 유입량, 방류량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