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276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지속가능한 플라스틱 폐기물 관리를 위한 지표개발
김은주 ( Eun-ju Kim ) , 박정민 ( Jeong-min Park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260(총1페이지)
국내 플라스틱폐기물 배출량은 2008년 10,993ton/day에서 2017년 20,152ton/day로 약 2배가 꾸준히 증가했다. 이중 사업장배출시설계에서 배출된 양이 전체 배출량의 약 59%, 생활계는 41%를 차지한다. 사업장배출시설계폐기물과 생활계폐기물의 발생량 비중이 비슷하므로 적절한 관리를 위해서는 두 배출원 모두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지속가능한 폐기물관리의 우선순위를 설명하는 폐기물관리위계에서 감량이 가장 상위에, 그다음으로 재활용이 위치한다. 그러나 플라스틱폐기물 배출량 추세를 보면 국내의 감량정책이 잘 시행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분리배출된 플라스틱폐기물의 경우 수치상으로는 전량 재활용으로 집계되나 실제 재활용 수치보다는 재활용업체에 전달한 수치에 가깝고 재활용된 제품들의 실제 사용에 대한 연구...
TAG 플라스틱폐기물, 합성수지, 폐기물관리지표, 감량, 재활용
국내 바이오가스화 시설의 에너지 이용 형태에 따른 에너지수지 분석 연구
문희성 ( Hee-sung Moon ) , 이동진 ( Dong-jin Lee ) , 권준화 ( Jun-hwa Kwon ) , 남궁훤 ( Hueon Namkung ) , 이원석 ( Won-seok Lee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261~262페이지(총2페이지)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하는 바이오가스(biogas)는 전세계적으로 주목 받고 있으며, 최근 국내에서 발병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으로 습식사료화 재활용이 금지되고, 건조 사료화 및 퇴비화 등의 생산제품 수요처가 부정적 인식으로 음식물류폐기물을 포함한 유기성폐기물의 안정적인 처리 방안으로 바이오가스 시설이 주요해지고 있다. 국내 바이오가스 생산량(’17) 321,062 천m3/년으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며, 자체사용의 비율이 34.8%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기성폐기물의 안정적인 처리와 외부에너지 절감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중질가스, 고품질화와 같은 외부공급의 증가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발전의 증가세가 가장 완만하게 나타났다. 미활용되는 잉여가스량은 안정적인 가스이용 운영으로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다. 국내에서 운...
TAG 통합소화, 바이오가스, 에너지수지, 발전, 스팀, 중질가스
국내 생활계 플라스틱 폐기물의 물질흐름분석 연구
이가인 ( Gain Lee ) , 권유리 ( Yuree Kwon ) , 장용철 ( Yong-chul Jang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263(총1페이지)
플라스틱의 과소비로 인한 심각한 해양오염은 이미 전 세계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다. 실제 전 세계 해양에서 발견되는 폐기물의 80% 이상은 플라스틱 폐기물로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는 국내 플라스틱의 생산 및 소비, 처리량을 분석하여 생활계 폐기물 중 플라스틱류에 대한 물질흐름분석을 수행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통계자료 및 문헌 검토, 재활용 시설 방문, 산업계, 공무원 및 학계 전문가와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플라스틱 폐기물의 발생 및 재활용 구조에 대해 분석하였다. 생활계폐기물은 종량제봉투를 통해 배출되는 플라스틱류 배출량과 재활용가능자원 중 합성수지류, 플라스틱류, 발포 수지류 배출량의 합계로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 2017년 기준 총 플라스틱 폐기물 7,961천 톤 중 생활계 폐기물은 2,980 천 톤(37.4%...
TAG 물질흐름분석, 재활용, 포장재 플라스틱, EPR
폐기물 부문을 중심으로 시흥시의 대기오염물질 배출 특성 분석: 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이영수 ( Young Su Lee ) , 김승환 ( Seunghwan Kim ) , 김재영 ( Jae Young Kim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264(총1페이지)
인간의 활동으로 가스상이나 입자상의 대기오염물질이 배출되며, 국가에서는 대기 오염으로 인한 환경 영향을 관리하기 위해 배출원을 점, 선, 면으로 구분하여 유형별, 부문별 배출량을 산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기오염물질 배출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시흥시의 대기오염물질 배출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산업 부문 중 폐기물 부분의 배출량 및 특성을 공간분포와 함께 분석하였다. 시흥시에는 대규모 국가 산업단지와 폐기물 소각시설이 위치해 있어 배출량 분석 결과를 효율적인 대기환경 관리에 이용할 수 있으며, 해당 지역의 특성이 반영된 대기오염 저감 정책 시행 및 효과 추적이 가능할 것이다. 대상 자료는 2016 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통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점 오염원과 면 오염원의 배출량을 위치별, 산업 부문 및 연료 특성과 함께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공간 분포 분...
TAG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공간분포, 시흥시, 폐기물 부문
플라스틱 폐기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
최주섭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019] 제2019권 1~20페이지(총20페이지)
인간의 활동으로 가스상이나 입자상의 대기오염물질이 배출되며, 국가에서는 대기 오염으로 인한 환경 영향을 관리하기 위해 배출원을 점, 선, 면으로 구분하여 유형별, 부문별 배출량을 산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기오염물질 배출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시흥시의 대기오염물질 배출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산업 부문 중 폐기물 부분의 배출량 및 특성을 공간분포와 함께 분석하였다. 시흥시에는 대규모 국가 산업단지와 폐기물 소각시설이 위치해 있어 배출량 분석 결과를 효율적인 대기환경 관리에 이용할 수 있으며, 해당 지역의 특성이 반영된 대기오염 저감 정책 시행 및 효과 추적이 가능할 것이다. 대상 자료는 2016 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통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점 오염원과 면 오염원의 배출량을 위치별, 산업 부문 및 연료 특성과 함께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공간 분포 분...
플라스틱 폐기물의 국가별 대응 전략 비교 : EU·일본·한국 중심으로
박상우 ( Sang-woo Park ) , 양재경 ( Jae-kyung Yang ) , 백경렬 ( Kyung-ryul Baek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019] 제2019권 21(총1페이지)
2018년 5월 재활용 폐기물 종합대책을 마련한 이후 1년이 경과한 시점에서 플라스틱 폐기물의 발생억제와 재활용에 대한 성과를 보인 측면도 있고 일부 개선이 필요한 부분도 있다. 전 과정(단계별)대책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고 관련 후속 조치로 법제를 개정 혹은 강화하는 점은 긍정적이다. 그럼에도 모든 국민이 참여할 수 있는 기반 구축이 필요하고 이해관계자 참여와 역할을 부여하기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 또한 정부목표나 자발적 참여에 대한 성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지표를 마련할 필요 또한 있다. 당초 종합대책을 마련하는데 있어 시급성과 국내 현안문제에 집중하여 마련된 측면이 있기 때문에 다시 한 번 플라스틱 폐기물에 대한 전략을 보완할 필요가 없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EU는 2018년 플라스틱 전략을 마련한 이후 포장폐기물 법률...
TAG 플라스틱, 전략, 1회용품, 지속가능발전
음식물쓰레기와 폐플라스틱을 배합한 고형연료제품 제조 연구
이재희 ( Jae-hee Lee ) , 최장욱 ( Jang-wook Choi ) , 최신묵 ( Shin-mook Choi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019] 제2019권 22(총1페이지)
국내 2020년 신재생에너지 보급률 목표 6.08% 달성을 위해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 에너지화 대책 실행계획(2009)에 따르면 전체 총 에너지의 4.16%(신재생에너지 목표율의 68.4%)를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 에너지로 대체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2013년 에너지 가용 폐기물 및 유기성 폐기물(음식물쓰레기, 하수슬러지, 가축분뇨등)의 배출량이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 에너지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가용에너지 활성화를 위해서는 음식물쓰레기(2014년 기준 13,223톤) 건조공정에서 발생되는 건조부산물과 가정이나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폐플라스틱과 같은 폐자원의 지속적인 확보가 필요하다. 국내의 경우, 음식물쓰레기 처리는 분리수거 후 차량으로 운송하여 습식 사료화, 건식 사료화, 호기성 퇴비화, 혐기성 퇴비화, 하수병합, 지...
TAG 고형연료, 음식물쓰레기, 폐플라스틱, 운영비용, 건조기
비의도적 2차 미세플라스틱 관리 전략에 대한 고찰
주문솔 ( Munsol Ju ) , 이희선 ( Hisun Lee ) , 박정규 ( Jeonggue Park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019] 제2019권 23(총1페이지)
플라스틱에 의한 섭식장애, 조임, 갇힘 등으로 해양 생태계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해양오염은 생태계 파괴뿐 아니라 결국 인간의 먹거리 안정성 및 건강 피해로 이어져 대책 마련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미세플라스틱의 정의는 통상적으로 5mm 미만으로 정의되며 발생유형에 따라 1차와 2차로 구분된다. 국제기구나 EU에서 규정하고 있는 1차 미세플라스틱은 연마나 물성변화를 위해 의도적으로 제품에 사용된 작은 입자 형태의 플라스틱을 의미하고, 2차 미세플라스틱은 5mm이상의 플라스틱이 광분해나 기계적 마모에 의해 미세화되어 발생하는 플라스틱을 의미한다. 반면, 이러한 2차 미세플라스틱은 다시 인간 활동(사용 중 마모 등)에 의해 미세화되는 것과 자연(광분해, 침식 등)에 의해 미세화되는 것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 유형에 따...
TAG 2차 미세플라스틱, 사용 중 마모, 매크로플라스틱
우분 고체연료 열분해가스 특성
정광화 ( Kwang-hwa Jeong ) , 이동준 ( Dong-jun Lee ) , 이동현 ( Dong-hyun Lee ) , 이성현 ( Sung-hyoun Lee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019] 제2019권 24(총1페이지)
우분을 포함한 가축분뇨는 질소와 미량 영양요소를 함유하고 있어 유기성 비료자원으로서의 가치가 매우 높다. 가축분뇨 처리 관련 국가정책도 발생된 가축분뇨를 최대한 자원화하여 유용한 자원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양분관리제와 같은 제도적 문제가 있어 일부 양분초과 발생지역이나 주요 댐 상류지역 등에서 우분의 퇴비화에 어려움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런 경우에는 바이오가스나 고체연료 등의 재생에너지 자원으로 활용하는 방법이 적용되어질 수 있다. 우분은 고형물 함량이 15% 내외로 높기 때문에 건식 혐기소화방법에 의해 바이오가스를 생산할 수 있으나 아직까지는 건식 혐기소화 기술이 현장에 적용되어진 사례가 없다. 그러므로 현재 상황에서는 우분을 고체연료화하는 방법이 적용 가능하지만 최근 들어 문제가 되고 있는 미세먼지 문제로 직접 연소방법을 적용하기에는 ...
TAG 고체연료, 우분, 연소특성, 열분해 가스
일본의 폐기물 불법투기 현황과 방지 대책
오길종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019] 제2019권 25~37페이지(총13페이지)
우분을 포함한 가축분뇨는 질소와 미량 영양요소를 함유하고 있어 유기성 비료자원으로서의 가치가 매우 높다. 가축분뇨 처리 관련 국가정책도 발생된 가축분뇨를 최대한 자원화하여 유용한 자원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양분관리제와 같은 제도적 문제가 있어 일부 양분초과 발생지역이나 주요 댐 상류지역 등에서 우분의 퇴비화에 어려움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런 경우에는 바이오가스나 고체연료 등의 재생에너지 자원으로 활용하는 방법이 적용되어질 수 있다. 우분은 고형물 함량이 15% 내외로 높기 때문에 건식 혐기소화방법에 의해 바이오가스를 생산할 수 있으나 아직까지는 건식 혐기소화 기술이 현장에 적용되어진 사례가 없다. 그러므로 현재 상황에서는 우분을 고체연료화하는 방법이 적용 가능하지만 최근 들어 문제가 되고 있는 미세먼지 문제로 직접 연소방법을 적용하기에는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