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어학 과학기술과 현대사회

 1  인문어학 과학기술과 현대사회-1
 2  인문어학 과학기술과 현대사회-2
 3  인문어학 과학기술과 현대사회-3
 4  인문어학 과학기술과 현대사회-4
 5  인문어학 과학기술과 현대사회-5
 6  인문어학 과학기술과 현대사회-6
 7  인문어학 과학기술과 현대사회-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문어학 과학기술과 현대사회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현대사회는 과학 기술의 발달로 계량화, 신속화, 정확화되어 왔고, 또 따라서 인간 활동은 목표지향적이게 되어서 소위 가치창조의 극단적인 경쟁 체제화로 인간활동의 도덕성과 여유보다는 계량적이고 생산적인 계산결과로 인간활동의 가치를 수량적으로 계산하여 고가 점수화시켜서 사람 자체를 수치적 가치로 채점하여 판단하려는 성향이 두드러지게 되어 왔다. 특히 경제적 부를 소유 EH는 지배하는 능력을 위주로 사람을 서열화 시켜 사람들 자신이 우열의 수치에 따라 점수를 메겨가는 경쟁놀이에 흠뻑 빠져 있어, 인간의 존엄성을 던져버린채 심지어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우열경쟁 EH는 약육강식의 정당화로, 개인들의 차별화, 국가 간의 우열화, 민족 간의 차등화까지를 이르고 있으며, 드디어는 이에 반발하여 국제적 테러까지 발생하여 대량 살상화로 인간들 자신들의 숭고한 생명의 존엄성을 스스로 버리는 상황까지 이르게 되었다.
과학은 물론 인간을 병마로부터 구제하는 데 큰 역할을 했고, 자연의 신비를 샅샅이 파헤쳐 그 원리와 변화 방법들을 고안해서 인간의 의지로 변화무쌍한 의류, 주택, 식품들을 양산했으며, 심지어는 땅속과 표면, 물속과 공간속을 마음대로 계획 조작해서 인간의 활동 영역을 확산시켰으며, 그 결과로 인간들은 다른 생물계를 마음대로 지배하고, 조작하고, 반면 인간들끼리도 경쟁과 도박, 약육강식의 논리를 정당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해서 인간 스스로의 존엄성을 버리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 것이다.
인간은 이제 끝없는 욕망을 마음대로 향유해도 좋은 사회를 만들어 왔고, 결과적으로 이러한 무절제한 인간능력의 향상은 지상 지하의 자원의 낭비와 과용으로 지구 생태계를 지수적으로 파괴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으며, 특히 화석연료의 과다 사용으로 지구의 기후 변화를 초고속으로 가속시키기 시작했고, 남극 북극의 얼음이 녹아내려 바다 수위의 상승으로 적도지대의 상당량의 육지가 바다 속으로 잠적하는 사태에 이르게 되었으며, 계속적인 기후변화는 태풍과 허리케인을 포악하게 만들어 스스로 개발한 과학 기술로는 제어할 수 없는
피해를 당하게 되어 가고 있다.
head-skin body whole-border whole-body wrapper twocols content-area post-area postListBody post_1 post-view140119292889 『현대사회와 과학』 2002년 정현채, 정현희 저
산업화의 빛과 그늘
산업화: 좁은 의미로 공업화라고도 한다.
18~19세기 영국 산업혁명 때 일어난 변화들을 산업화 과정의 원형으로 꼽고 있다. 산업화가 진전될수록 산업구조는 1차산업에서 2차산업, 2차산업에서 3차산업의 형태를 띠게 되며, 역사적으로도 19세기 초에는 섬유산업이, 1860년을 전후하여서는 철강산업이, 20세기 초에는 자동차, 화학, 전기기기 산업이, 1940년을 전후하여 항공, 전자, 합성 산업을 중심으로 한 과학산업이 일어난 것을 볼 수 있다.
대한민국의 산업화를 예로 들어보면. 대한민국은 1960년대 박정희 정권 하에 산업화가 이루어졌다. 대한민국의 산업화는 한국에서 민간 기업들의 의사 결정에 의한 시장의 수요가 아니라 국가의 명령이 크게 작용했다. 국가가 여러 산업을 전략 산업 부문으로 선택하여 이들 전략 산업 부문을 외국 기업들뿐만 아니라 국내 기업들과의 지나친 경쟁에서 보호해주었다. 또한 국가가 선택된 소수의 기업들에게 은행 대부와 외자 유치를 통하여 재정적으로 보조해주고 신규 사업 참여로 인한 위험 부담을 덜어주었다. 그러나 한국의 박정희 정권은 노동 조합 결성을 막고 노동 계급을 정치의 장으로부터 배제시켜 개별 노동자들을 통제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국가가 경제를 관리하기 위하여 시도한 것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은행의 국유화였다. 국가 소유의 은행은 수입을 줄이고 투자를 늘이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는 데 있어서 전락적인 도구가 되었고, 이러한 정책의 목표는 인플레 억제, 투자 조정 그리고 국내외 호화 사치품의 소비 억제를 목적으로 한 것이었다. 즉 국가의 통제 하에 산업화는 이루어졌다.
국내 자본가들의 국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하여 국가가 사기업들에게 금융 지원, 외국 차관 알선, 수입 면허 제공 등의 방법을 동원하여 경제 발전 계획은 이러한 목적에 부응하면서 사적인 이익을 추구하는 행위자들을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은 국가의 지원으로 국내의 소자본가에서 단기간에 세계적인 대자본가로 성장한 토착 자본가들이 바로 오늘날 한국의 대재벌들이다. 즉 산업화는 국가 경제 발전이라는 이름하에 부의 편중 현상을 가속화 시켰다.
이러한 산업화로 인해 장시간의 노동과 짧은 유급 휴가 저임금 노동자들은 그냥 그저 하나의 소모품 처럼 사용되게 되었다. 국가의 일부 도시를 중심으로 하는 산업화로 인해 대규모 농촌-도시이주가 이루어졌다 그 여파로 농촌의 젊은이들이 도시로 가는 이촌향도 현상으로 인하여 농촌은 고연령층의 인구비율을 가지게 되었으며, 앞으로의 농업을 이어갈 세대가 없어졌다는 점에서 농촌사회가 피폐화 되었다. 거대 도시의 탄생으로 도시 주변의 공해는 아주 심각한 환경문제로 대두되었으며, 산업화국가의 무차별적인 선탁원료의 사용으로 지구 온난화와 같은 범지구적 환경문제에 맞닥들이게 되었다. 도시의 공해문제는 대도시 주변에 위성도시를 만듦으로써 도시의 집중도를 떨어뜨리는 한편, 주요 생산공장을 농촌지역으로 이주시켰으며 지구 온난화와 같은 문제는 국제적인 환경협약기구를 설립 각국에 석탄연료 사용에 대한 제재를 가하고는 있으나 손실에 대한 책임의 소지가 불분명하여 보상문제로 난항을 겪고 있다
산업화 [産業化, industrialization ] | 네이버 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