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의 성립과 강역 고찰

 1  부여의 성립과 강역 고찰-1
 2  부여의 성립과 강역 고찰-2
 3  부여의 성립과 강역 고찰-3
 4  부여의 성립과 강역 고찰-4
 5  부여의 성립과 강역 고찰-5
 6  부여의 성립과 강역 고찰-6
 7  부여의 성립과 강역 고찰-7
 8  부여의 성립과 강역 고찰-8
 9  부여의 성립과 강역 고찰-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부여의 성립과 강역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부여의 성립과 강역에 대한 일고찰
目 次
1. 서론
2. 부여의 기원
3. 부여족과 동명신화
4. 부여국의 강역
5. 결론
1. 서론
한국사에서 부여는 고조선 다음으로 일찍부터 한국사에 모습을 드러낸 정치체로서 주
변사회에 미친 영향이 결코 적지 않으며 고조선의 멸망과 삼국의 성장 사이 과도기에 동
이족 가운데 가장 선진한 사회
하지만 이런 부여의 연구가 미진한 것은 관련 사료의 부족이다. 이로 말미암아 중심지
문제북부여와 동부여 문제 등, 기초적인 사실부터 견해차가 심한 것도 어려움을 가중시
킨다.
이러한 부여 연구에 대한 역사학 분야에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고
고학적 성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고고학 자료 가운데 부
여의 금석학적 자료가 현재까지 전혀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부여를 고고학적으로 인식
하는 가장 기초적인 작업조차 어느 정도의 논쟁을 수반할 수밖에 없다.
2. 부여의 기원
1) 예족과 부여
『三國志』卷三十 魏書 第三十 烏丸鮮卑東夷傳 第三十 夫餘傳條.
… 其人文言, 濊王之印, 國有故城名濊城, 蓋本穢貊之地, 而夫餘王其中, 自謂亡人, 抑有似也.
『晋書』 卷五十七 列傳 第六十七 東夷 夫餘國條.
… 其王印文稱穢王之印, 國中有古穢城, 本穢貊之城也.
… 成周之會, 五北方, 穢人前兒, 前兒若, 立行聲似兒, ….
『三國志』卷三十 魏書 第三十 烏丸鮮卑東夷傳 第三十 濊條
… 濊는 南으로 辰韓이 있고 北으로 高句麗 沃沮와 접해 있으며, 동쪽 끝은 큰 바다(大海)로 막혀있다. 지금 朝鮮의 동쪽은 모두 그 영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