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몽주의 정치사상- 의리론과 배불론을 중심으로

 1  정몽주의 정치사상- 의리론과 배불론을 중심으로-1
 2  정몽주의 정치사상- 의리론과 배불론을 중심으로-2
 3  정몽주의 정치사상- 의리론과 배불론을 중심으로-3
 4  정몽주의 정치사상- 의리론과 배불론을 중심으로-4
 5  정몽주의 정치사상- 의리론과 배불론을 중심으로-5
 6  정몽주의 정치사상- 의리론과 배불론을 중심으로-6
 7  정몽주의 정치사상- 의리론과 배불론을 중심으로-7
 8  정몽주의 정치사상- 의리론과 배불론을 중심으로-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정몽주의 정치사상- 의리론과 배불론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포은(圃隱)의 의리관(義理觀)

Ⅲ. 포은(圃隱)의 배불론(排佛論)

Ⅳ. 포은(圃隱)의 개혁방안
1. 정치 개혁안
1) 강력한 군주(君主)중심의 중앙집권적 통치체제 확립
2) 대간 정치를 통한 왕권의 견제
3) 법질서 확립
2. 경제 개혁안
3. 불교 개혁안

Ⅴ. 나가며
본문내용
고려 말, 북방 유목민족의 침략과 지배가 있고 수도의 강화도 천도는 문벌귀족의 몰락과 함께 고려 전지역에 걸쳐 새로운 지도층으로 부각한 신진 사대부 계층의 성장을 가져왔다. 신진사대부의 등장은 고려조의 전통적 지배 이념인 불교와의 대립은 불가피하게 되었으며, 이들은 부패한 구질서에 대항하는 지도 이념으로 성리학을 자신들의 지배 이대올로기로 수용하게 되었다.
역성혁명(易姓革命)을 통해 고려왕조를 넘어뜨리고 새로운 왕조를 세우는 왕조 교체에 대하여 친명유학자들은 대체로 양분되었다. 정도전과 권근 등은 역성혁명을 긍정하고 조선조의 건설에 참여하여 유교 이념을 정착시키는데 적극적인 반면, 정몽주나 길재 등은 혁명 세력에 저항하거나 협력하지 않고 강상론 쪽에 서서 혁명을 거부하였다. 그러나 역성혁명론자들의 종국적 승리는 조선이라는 새로운 왕조를 탄생시키는 역사의 전환을 가져오게 되었다.
역성혁명을 통해 탄생한 조선조는 태종대를 지나 세종 조에 이르게 되면서 안정기를 구하게 된다. 여말선초에 강조되었던 역성혁명의 논리도 점차 퇴색되어가고 성인 군주를 통한 유교적 이상의 실현을 강조하는 성리학이 중시된 것은 안정된 사회에서 당연한 것이었다. 나아가 왕조의 정통성과 군신간의 의리가 강조되는 시대적 상황속에서 성리학의 대표적고려말 포은 정몽주가 보여준 의리사상이 재평가되고 중요시 된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참고문헌
김우영, 『한국정치사상사』, 이문출판사, 1995
김충열, 『고려유학사』, 고려대 출판부, 1984
이재석 외, 『한국정치사상사』, 집문당, 2002

금장태, “의리사상과 선비정신”, 한국사상의 심층연구, 1982
김명하, “麗末政治思想에서의 義理觀; 圃隱과 冶隱을 중심으로”, 한국동북아총론, 1998

김충열, “포은사상의 재평가와 시대적의의; 포은사상 연구서설”, 한국사상사학, 1990

유경아, “정몽주 세력의 고려 중흥을 위한 개혁 방안”, 이화사학연구, 2000

정성식, “정포은의 유불변식에 관한 일고”, 한국철학논집, 1992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