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조성리학] 개혁의 사상가 정도전

 1  [조선조성리학] 개혁의 사상가 정도전-1
 2  [조선조성리학] 개혁의 사상가 정도전-2
 3  [조선조성리학] 개혁의 사상가 정도전-3
 4  [조선조성리학] 개혁의 사상가 정도전-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조선조성리학] 개혁의 사상가 정도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여말선초 시기, 정몽주와 정도전

Ⅱ. 배불사상

Ⅲ. 정도전의 혁명사상

Ⅳ. 정도전에 대한 평가

본문내용
Ⅰ. 여말선초 시기, 정몽주와 정도전
한국 사상사에서 고려 말 조선 초기는 시기적으로 매우 중요한 분기점이다. 그것은 무엇보다 성리학 수용을 계기로 신라시대와 고려시대의 한국사상사 속에서 지대한 기능과 역할을 담당하였던 불교사상을 대신하여 유학사상이 사상계의 전면에 부상했기 때문이다. 이는 여말선초 사회 변화의 주도 세력으로 성리학에 사상적 기반을 둔 ꡐ신진사류ꡑ에 의한 것이었다.
그런데, 고려말 변동기에 이들 신진사류들 내에서 분열이 일기 시작한다. 이러한 분화의 가능성은 유학사상 내에 틀지어져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유학사상 안에는 가변적 측면과 불변적 요소가 동시에 자리잡고 있었던 것이다. 본래 원리로서의 ꡐ경상(經常)ꡑ은 ꡐ권변(權變)ꡑ을 요청하고 ꡐ권변(權變)ꡑ은 ꡐ경상(經常)ꡑ을 바탕으로 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사적 현실은 ꡐ경상ꡑ과 ꡐ권변ꡑ이 조화를 이루어 구현되기보다는 시대적 환경과 역사적 현실에 따라 이 양자 가운데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기 쉬운 경향을 지닌다. 이는 여말선초에도 마찬가지였다. 즉, 고려 사회를 부정하지 않고 계승하여 중흥하려는 보수파와 고려조의 국운이 쇠하여 더 이상 유지가 어렵다고 판단한 혁명파가 서로 맞서게 된 것이다.
보수파의 대표적 인물은 포은 정몽주(圃隱 鄭夢周, 1337˜1392)를 들 수 있고, 혁명파의 대표적 인물로는 삼봉 정도전(三峯 鄭道傳)을 말할 수 있다. 이들은 성리학을 배경으로 하여 당시 고려조가 안고 있었던 사회적․정치적․경제적 제 모순을 척결하고자 함에 있어서는 공통된 입장에 있었지만, 현실 문제에 대한 구체적 대응 방법은 ꡐ온건 개량ꡑ과 ꡐ급진개혁ꡑ이라는 각각 다른 두 가지 현실 타개의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이것은 보수파와 혁명파가 서로 고려조에 대한 인식을 달리하였고, 이에 따라 현실 대응의 원리 역시 일치하지 않았던 데에서 연유하는 것이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