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선도(古仙道)의 다공문화

 1  고선도(古仙道)의 다공문화 -1
 2  고선도(古仙道)의 다공문화 -2
 3  고선도(古仙道)의 다공문화 -3
 4  고선도(古仙道)의 다공문화 -4
 5  고선도(古仙道)의 다공문화 -5
 6  고선도(古仙道)의 다공문화 -6
 7  고선도(古仙道)의 다공문화 -7
 8  고선도(古仙道)의 다공문화 -8
 9  고선도(古仙道)의 다공문화 -9
 10  고선도(古仙道)의 다공문화 -10
 11  고선도(古仙道)의 다공문화 -11
 12  고선도(古仙道)의 다공문화 -12
 13  고선도(古仙道)의 다공문화 -13
 14  고선도(古仙道)의 다공문화 -14
 15  고선도(古仙道)의 다공문화 -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선도(古仙道)의 다공문화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제2장 고선도(古仙道)의 다공문화
*고선도 사상과 다공(茶供)
1.고선도(古仙道)의 다공문화
* 사선(四仙)과 화랑의 다공문화
1.사선의 전다(煎茶) 유적 기록과 석지조(石池)
2.사선(四仙)의 실존 시대와 다공풍속
3.고려에 이어진 선풍(仙風) 음다속
*불가와 민간의 선도(仙道) 차문화
1.불가(佛家)의 산신(山神) 헌공다례
2.불가 다공의 신선사상
3.민간의 서낭신제사
4.고구려 벽화의 진다도(進茶圖)
5.웅천다완(熊川茶椀)
*
1.고선도(古仙道)사상과 다공(茶供)
1.고선도(古仙道)의 다공문화
-고선도란 이 땅을 중심으로 생겨난 선도의 원형을 일컫는 말이다
-선도란 선인 단군을 주축으로 이 땅에 자리잡은 민족 고유의 종교적 이념을 일컫는 말이다.
고대국가에선 임금을 선인(仙人)으로 여겼다.
-삼국사기의 ,해동이적(海東異跡)에서 삼한고기(三韓古記)의 글에서 단군 또는 단군조선의 임금을 선인 이라 하였다.
-삼국유사의 단군신화에서는 선인을 숭배하는 사상인 선도는 하늘 숭배를 근본으로 함을 알 수 있 다.
-한국 선가서인 청학집에는 환인이 동방 선파(仙派)의 조종(祖宗)이며,그 도맥이 환웅,단군,문박 씨,영랑 등으로 계승되어왔음으로 선가(仙家)는 민족사상을 형성하고 이끌어온 중심이었음을 알 수 있다.
仙은 오랜역사를거치면서 지도자 라는개념외에 사후세계의천선,노장사상의 선인,단학 도교의 신선 도인등의 의미도 가지게되었다.
우리 선도사상은 오랜역사속에 계층과 종교에 무관하게 습합되어왔다.
특히 신라는 대륙과의 접촉이 가장 늦었으나 중국의 도가나 도교와는 무관하면서 이와 비슷한 고유의 선도(仙道)가 있었다.
*
신라 고유의 종교라 함은 유불도(儒佛道)가 들어오기 전에 있던 고유의 선도를 말한다.
우리 고유의 도 이자 토착종교가 선도였음은 최치원의 난랑비 서문 에서 볼 수 있다.
고조선유민에의해 건국된 신라는 5세기 말의 소지왕까지 선사(仙史)가 있었으며,선도는 당시에 풍류라고했고 그 가르침을 풍류교라고 했음을 알 수 있다.
선도는 6세기 초 불교와 유교라는 새로운 사상이 들어와 조화를이루며 삼국통일의 정서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고선도는 풍류도 외에 단군선도 풍류선도 풍월도 선교 선풍사상 선가사상으로 불리기도 한다.
고선도의 다공문화(茶供文化)는 민족적 특성을지닌 문화로서 명주 등의 신성한곳에서 우리민족만의 독특한 전다구를 써서 차를 끓여 제사지내고 음미했는데 대체로 역사적기록이 잘 보존된 신라에서 찾아볼수있다.
고려와 조선시대에 와서 선도사상은 유교와 불교중시로인해 표면에드러나지않으면서 혼용되거나 민간신앙에 자리잡았다.
선도사상의 특징은 중국의 지배를 배격하는 주체사관이 선명하며,자주적 문화를 건설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우리의 옛 선도 차문화는 중국과 비슷하지않고 매우 창의적으로 당시 우리다도에 대한 자부심또한 컸음을 중국 송나라 사신이 쓴 고려도경에서도 찾아볼수있다.
*
2.사선(四仙)과 화랑의 다공문화
1.사선의 전다(前茶) 유적지와 석지조(石池)
-신라의 사선(四仙)이 경포대와 한송정에서 석지조라는 돌못화덕을 사용하여 차를 끓여마셨다는 사실과 그 전다구의 형태가 상세히 설명되어있는 고려학자들의 기록 을 근거로 우리의 차문화에서 고선도사상을 중시하였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사선은 6세기 인물로추정되며 각각 영랑(永浪),술랑(述浪),남랑(南浪),안상(安詳)이 다. (독특한형태의 전다구로 차를끓여 신께 바치고 마신 음다풍속은 다른나라에서 는 찾아볼수없는 모습이다)
-사선이 강릉경포대와 한송정에서 차를 끊여 마시던 석지다조는 12세기 고려의 문인 음다속이 일어나며 중요하게 생각되기 시작되었는데 이는, 우리민족의 다도문화가 중국 불교와 더불어 전적으로 수입된것이 아니라 그 이전에 이미 고유의 선도(仙道) 음다속이 있었다는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기 떄문인다.
-우리나라 남쪽지방에 차나무가 있었을 가능성은 가야국 종묘제사 음식에 차 가 있었 다는 내용과,선덕왕때 음다문화가있었다는 기록등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