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다문화교육 -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교육프로그램 사례

 1  한국의 다문화교육 -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교육프로그램 사례 -1
 2  한국의 다문화교육 -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교육프로그램 사례 -2
 3  한국의 다문화교육 -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교육프로그램 사례 -3
 4  한국의 다문화교육 -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교육프로그램 사례 -4
 5  한국의 다문화교육 -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교육프로그램 사례 -5
 6  한국의 다문화교육 -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교육프로그램 사례 -6
 7  한국의 다문화교육 -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교육프로그램 사례 -7
 8  한국의 다문화교육 -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교육프로그램 사례 -8
 9  한국의 다문화교육 -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교육프로그램 사례 -9
 10  한국의 다문화교육 -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교육프로그램 사례 -10
 11  한국의 다문화교육 -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교육프로그램 사례 -11
 12  한국의 다문화교육 -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교육프로그램 사례 -12
 13  한국의 다문화교육 -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교육프로그램 사례 -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의 다문화교육 -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교육프로그램 사례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한국의 다문화교육
-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교육프로그램 사례 -
○ 들어가며
○ 서론
○ 본론
1. 다문화교육 정의
2. 다문화교육 사례
1) 중앙정부
2) 지방자치단체
○ 결론
○ 참고문헌
- 들어가며 -
2006년 4월 26일 정부가 「결혼이민자가족의 사회통합 지원대책」과 「혼혈인 및 이주자 지원방안」을 발표하고, 한 달 후인 5월 26일 「외국인정책 기본방향 및 추진체계」를 발표한 이후 우리사회에서는 ‘다문화’ 담론이 가열되고 있다. ‘다문화 가족’, ‘다문화 사회’, ‘다문화 교육’ 등 다문화 열풍이 불고 있다. 하지만 정확히 해야 하는 것은 우리나라는 ‘다문화 지향 정책’이지 ‘다문화주의 정책’은 아니다. 다문화라는 용어만 선호할 뿐, 그 내용은 지극히 ‘동화주의’적 정책이다. 결혼이민자와 외국인 근로자에게 우리의 말과 문화를 일방적으로 주입시킨다. 다문화사회는 수많은 다양성에 대해서 존재 그 자체일 뿐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며, 이에 비해 다문화주의사회는 다양하게 존재하는 그 다양함을 모두 인정한다. 대표적인 국가로는 캐나다를 들 수 있다.
한편, 오원춘사건, 하버드 우등 졸업생, 한국계 프랑스 장관, 세계은행 총재, 필리핀계 국회의원 등 이러한 일들이 다문화 수업을 듣는 중에 우연의 일치로 발생하게 된 것인지, 아니면 예전부터 있었던 일인데 관심이 없었던 것인지 모르겠지만, 최근에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반만년의 역사를 이어오며 유교주의, 순수혈통주의, 민족주의를 외쳤지만 이제는 우리나라도 다문화를 인정해야 하고, 이들에 대한 교육과 제도 마련, 또한 이들을 대하는 이들의 교육도 함께 진행해야 할 때가 되었다.
이러한 현상들과 관련하여 이번 페이퍼를 통하여 한국의 다문화교육 현황(정부, 지자체, 기업)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 서론 -
한국의 산업구조와 노동, 임금조건에 따른 이주 노동자의 발생과, 농촌경제의 몰락 및 남아선호사상에 따른 남성비율의 증가, 그리고 한국 사회의 고도화에 따른 한국 남성의 제3세계 여성과의 국제결혼의 증가, 특히 이러한 국제결혼으로 출산된 그 자녀들에 대한 문제는 정부뿐만 아니라 시민단체에서의 활동도 요구된다.
2011년 6월 24일 행전안전부 발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장기체류 외국인, 귀화자, 외국인자녀는 모두 126만 5,006명으로 전체 주민등록인구의 2.5%에 해당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결과, 외국인주민은 2006년 첫 조사 이후 매년 20% 이상 증가하다가 지난해에는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 등으로 2.9% 증가하는데 그쳤으나 올해는 경제회복 등의 영향으로 다시 대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번 조사결과에 대하여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외국인 주민이 급증 추세로 돌아선 만큼 이들이 지역사회에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구성원으로서 사회활동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정부의 지원을 확대해 나가겠다.’, ‘외국인주민 자녀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상황으로 교육과학기술부, 여성가족부 등과 협조하여 교육의료 등의 서비스 제공을 위해 정책적 배려를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1세기는 바야흐로 ‘다문화상회’, ‘지구촌’이 된 것이다.
한편, 이러한 이민자에 대한 통합정책의 유형에 대해서 캐슬과 밀러(Castles & Miller)의 구분을 살펴보면,
① 차별배제모형 - 유입국 사회가 3D 직종과 같은 특정 노동시장에만 이민자를 받아들이고, 이들에게 복지혜택, 국적(시민권), 선거권 등 사회적ㆍ정치적 권리를 주지 않는 것
② 동화모형 - 이민자가 출신국의 언어, 문화, 사회적 특성을 완전히 포기하고, 주류사회의 성원들과 차이가 없게 되는 것
*미국의 용광로 모형 - 다양한 문화가 섞여 새로운 것을 만들어 냄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