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ategic Choice and Industrial Relations Theory

 1  Strategic Choice and Industrial Relations Theory-1
 2  Strategic Choice and Industrial Relations Theory-2
 3  Strategic Choice and Industrial Relations Theory-3
 4  Strategic Choice and Industrial Relations Theory-4
 5  Strategic Choice and Industrial Relations Theory-5
 6  Strategic Choice and Industrial Relations Theory-6
 7  Strategic Choice and Industrial Relations Theory-7
 8  Strategic Choice and Industrial Relations Theory-8
 9  Strategic Choice and Industrial Relations Theory-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Strategic Choice and Industrial Relations Theory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Strategic Choice and Industrial Relations Theory
미국 사부문의 노사관계는 최근 의미있는 변화를 보여왔다. 많은 산업에서 양보교섭이 진행되었다. 반면, 상당히 긴 기간동안 조용하고 점진적인 또다른 변화가 진행되어 왔다. 작업장 수준에서 새로운 형태의 종업원 참가와 대안적 형태의 작업조직이 생겨나고 있다. 인적자원, 기술, 노조의 지위에 관한 기본정책이 결정되는 기업의 최고위 의사결정 수준에서도 변화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우리 이론은 이런 변화들을 설명하고 이해하는데 부족하다. 알려진 노사관계 이론들은 미국 노사관계에 안정적이었던 시기에 만들어져서 지나치게 정태적이기 때문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전략 혹은 전략적 선택이라는 개념을 개발함으로써 노사관계 이론에 동태적 요소를 포함시키려는 데 있다.
The Prevailing Paradigm
미국에서 노사관계 이론에 대한 논쟁은 20세기초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제도경제학자들은 고전경제학이 고용관계에 적용되는 것을 반대했다. 다원주의적 시각은 노사간의 갈등적(동시에 상호의존적이기도 한) 이해관계를 승인했고 30년대의 노동입법의 지적 기초를 놓았다. 뒤이어 던롭의 노사관계체계론(1958)은 노사관계의 프레임웤을 제공하였다. 산업화 논리가 수명을 다하게 되자 일반적인 공식적인 제도와 룰로 수렴하는 대안적 노사관계 체계가 기대되었다.
60년대부터 이 보편적 이론들은 단체교섭 과정과 결과의 다양성을 설명하기 위해 사회과학에 도입된 중범위이론에 의해 대체되었다. 그러나 현재의 노사관계에는 그런 이론들이나 시스템적 접근방식으로도 설명하지 못하는 많은 예외들이 존재한다. 이 예기치 못한 노사관계 전개과정을 간략히 요약해보자.
Decline in union memebership
- 30년대의 입법은 단체교섭을 전국노동정책의 초석으로 수립하였다. 그러나 1956년부터 민간부문의 조직율이 하락추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더 중요한 것은 성장산업부문들이 점점점더 비노조 상태라는 것이다. 노조조직은 현재 구산업, 구산업에서도 낡은 사업장에 집중되어 있다.
- 하락하는 노조 조직율에 대한 설명들은 당사자들의 특징과 환경을 주도적 원인으로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설명들은 불완전하다. 아직은 노조를 선호하는 노동자들의 pool이 존재하고, 노조조직 쇠퇴의 절반 미만만이 경제 및 고용구조 변화에 의해 설명된다. 즉, 당사자의 행위가 변했고, 노조쇠퇴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이 점이 고려되어야 한다.
Changes in managerial values
- 경영전략에도 중요한 변화가 생겼다. 많은 기업들이 현재 노조 회피나 노조 제한을 매우 높은 정책 우선순위에 놓고 있다. 독립적 노동자조직이 적법한 역할을 한다는 노사관계에 대한 다원주의적 견해는 고용주 대다수에게는 공유되지 않았다. 이런 경영측 견해의 변화는 노사관계 기능을 약화시키고, 노조회피와 연결된 인적자원 기능으로 힘을 이전시키는 경향과 일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