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 부문 학적 특성

 1  이성 부문 학적 특성-1
 2  이성 부문 학적 특성-2
 3  이성 부문 학적 특성-3
 4  이성 부문 학적 특성-4
 5  이성 부문 학적 특성-5
 6  이성 부문 학적 특성-6
 7  이성 부문 학적 특성-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이성 부문 학적 특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이 성 부 론
1. 생애 및 활동 ( 1942~ )
이성부는 현실참여적인 주제를 다루면서도 서정성과 시적 상상력이 뛰어난 작품을 발표해 참여적 서정시인으로 불리는 중견시인이자 언론인이다. 1942년 전라남도 광주에서 아버지 이근봉과 어머니 김덕례 사이의 4남 2녀 중 맏아들로 태어났다. 1960년 광주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문예장학생으로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입학해 1963년 졸업했다. 1969년 한국일보사 기자로 입사해 《한국일보》기자(1969∼1979), 《일간스포츠》기자(1980∼1983), 《한국일보》홍보부 부장, 《일간스포츠》생활부·사회부·문화부 부장 및 편집국 부국장(1997) 등을 지냈다. 1997년 28년간의 기자생활을 접고《뿌리깊은 나무》로 자리를 옮겨 1999년까지 편집주간으로 재직했다.
1959년 광주고등학교 재학 시《전남일보》신춘문예에 시 이 당선되었고, 《태광》,《순문학》의 동인으로 활동하며 시인 김현승에게 사사받았다. 1961년 《현대문학》에 시 , 로 2회 추천받았으며, 1962년 로 추천 완료되어 등단했다. 이후 김현·최하림·이탄 등과 함께 《영도(零度)》와 《시학》의 동인으로 활동했다. 1967년 시 이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고 1968년 계간지 《창작과 비평》과 《68문학》의 동인으로 참여하는 한편, 대표적인 연작시 를 발표하면서 당대의 암울한 사회적 분위기를 반영하는 현실참여적인 시세계를 확립해나갔다.
1969년, 300부 한정판으로 간행한 첫 시집 『이성부시집』으로 제15회 현대문학상을 수상했고 1974년 , , 등의 민중시와 연작시 가 실린 두번째 시집 『우리들의 양식』을 간행했으며, 자유실천문인협의회 창립에 참여해 유신체제를 거부하는 문학인선언에 서명했다. 이어서 제3시집 『백제행』과 제4시집 『전야(前夜)』를 발행하는 등 1970년대를 전후로 활발한 작품활동을 펼치면서 초기의 모더니즘적인 작품경향에서 벗어나 민중의 강인한 생명력과 서민의 정한을 담아내는 사실주의적인 시세계를 구축함으로써 민중적 차원의 보편성을 획득한 것으로 평가된다.
1980년 광주민주화운동을 겪은 후 한동안 작품을 발표하지 못한 시인은 산행을 하면서 산을 향한 관심으로 당시의 절망과 슬픔을 삭이며 작품세계에 변화를 보이기 시작했다. 이러한 변화는 1989년 발행한 시집 『빈산 뒤에 두고』에서부터 두드러져, 그동안 침묵했던 말문이 산에 대한 집중적인 사랑으로 표현되어 나타났다. 이어 발행한 시집 『야간산행』에 실린 , 과 연작시 등의 작품 역시 초극적인 시어로 노래한 산시로서 남성적인 강인함을 엿볼 수 있다. 2001년, 등단 40년을 넘긴 시인은 백두대간종주를 실행하기 위해 지리산을 오르면서 집필한 시편들을 모아 ‘내가 걷는 백두대간’이라는 부제를 단 연작시집 『지리산』을 발행했다. 산행을 통해 얻은 깨달음과 자기성찰이 빛나는 연작시 81편은 시대적 반성과 문학적 회의를 거친 후 더욱 원숙해진 작가의 역량을 확인시켜준다.
이성부는 고통스런 농촌의 현실을 정직하게 노래하는 한편, 전통적 서정과 민중적 연대감을 지켜가기 위해 애쓰는 시인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민중에 대한 애정을 바탕으로 공동체적 삶의 정결성과 도덕성에 관심을 기울이면서도 시적 상상력과 서정성을 잃지 않는 유연함을 견지한다는 점에서 다른 사회시파 시인들과 구분되는 특징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2. 문학적 특징
1) 모더니즘적 특질
이성부의 초기시들은 도시적 언어를 즐겨 사용하고 있으며, 또한 탄탄한 상징어를 즐겨 사용하는 등 모더니즘적 특질을 드러내 보이는데 이는 해방 이후 한국시단에 널리 퍼져 있던 모더니즘적 자의식탐구의 경향에서 출발한 것이다. 그러나 그의 시에서 특기할 만한 부분은 지시적 언어가 아닌 다의성에 기반한 이미저리 구사를 통해 내면 탐구를 집요하게 강구 박몽구(2008), ‘탈식민주의 관점에서 본 이성부의 초기시’, 현대문학이론연구34집
하는 시인이라는 점이다.
다시 눈 부비며 읽어 보아도
읽을 수가 없다. 그대의 책에서는 책만 보일 뿐
참고문헌
※ 참고 문헌
송기한(2007), 1960년대 시인연구, 역락
권정우(2005), 한국현대시의 분석적 이해, 월인
최승호 외(2005), 한국 현대 시인론 2, 다운샘
서대영(1999), ‘이성부 시의 상징연구’, 경희대학교 석사논문
이병헌(1996), ‘현실주의와 초월의 역설’, 시와 시학
정한용(1996), ‘새벽에 다 부르지 못한 노래’, 시와 시학
남기혁(1996), ‘산, 혹은 타자에 대한 책임과 윤리 의식’, 시와 시학
박몽구(2008), ‘탈식민주의 관점에서 본 이성부의 초기시’, 현대문학이론연구34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