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 황지우

 1  시인 황지우-1
 2  시인 황지우-2
 3  시인 황지우-3
 4  시인 황지우-4
 5  시인 황지우-5
 6  시인 황지우-6
 7  시인 황지우-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시인 황지우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시인 황 지 우
1. 생애와 활동
시인 황지우는 1952년 해남군 북평면 배다리, 빈농의 가정에서 3남으로 태어났다. 이후 1956년 4세가 되던 해에 광주로 이사를 하게 된다. 1959년 광주 중앙국민학교에 입학을 하고, 65년 광주 서중학교에 진학한다. 68년 광주일고에 입학한다. 72년 서울대학교 문리대학 철학과(미학 전공)에 입학하고, 문리대 문학회에 가입한다. 73년 21세 때 문리대의 유신반대 시위에 연루되어 구속, 강제 입영을 하게 된다. 76년 24세 나이로 제대하고, 다시 학교로 복학한다.
1977년 25세 때 김소연과 결혼을 하고, 이듬해 장남 찬이 태어난다. 79년 인문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 입학한다. 같은 해에 장녀 정이 태어난다.
1980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시부문에 이 입선, 계간 『문학과 지성사』에 시 등을 발표하며 등단하여 필명 황지우로 시작 활동을 활발하게 한다. 그해 광주 민주화 항쟁에 가담한 혐의로 구속된다. 81년 29세, 광주 민주화 항쟁에 가담한 사유로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제적되어, 서강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 입학한다.
83년 첫 시집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를 문학과지성사에서 발간하고 동 시집으로 계간 『세계의문학』이 제정한 제3회 김수영문학상을 수상한다. 85년 서강대학교 대학원 철학과를 졸업한다. 계간 『세계의문학』 편집위원이 되어 활동한다. 두 번째 시집 『겨울-나무로부터 봄-나무에로』를 민음사에서 발간한다. 한신대학교 등의 학교에서 강의를 시작한다. 87년 세 번째 시집 『나는 너다』를 풀빛출판사에서 발간한다. 『뉴욕타임즈』에 시 이 소개된다.
88년 거주지를 서울에서 광주로 옮기고,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학과 박사과정에 입학한다. 시극『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를 극단 연우무대에서 공연한다. 89년 독일어판 한국현대문학 선집에 시 외 2편이 수록된다. 1990년 네 번째 시집 을 문학과지성사에서 발간한다. 서울에 남아 있던 가족들이 광주로 모인다. 91년 현대문학사가 제정한 제26회 현대문학상을 수상한다. 시선집 『구반포 상가를 걸어가는 낙타』와 시선집 『聖 가족』을 펴낸다. 92년 일본에서 개최된 한일문학 심포지움에서 ‘끔찍한 모더니티’ 자신이 시를 쓰게 된 현실 상황과 더불어 현대 사회의 부조리를 설명하고 있다. 또 자신의 시적 기법인 ‘형태 파괴의 전략’은 ①우리 삶의 물적 기초인 파편화된 모던 컨디션과 짝지어진 ‘훼손된 삶’에 대한 거울 ②파시즘에 강타당한 개인의 ‘내부 파열’에 대한 장치이며 ③의미를 박탈당한 언어의 넌센스, 즉 지배이데올로기에 대한 교란이었으며 ④검열의 장벽 너머로 메시지를 넘기는 수화의 문법이었다고 진술한 바 있다.
라는 제목의 주제 발표를 한다. 93년 41세에 문학사상사에서 제정한 제8회 소월시문학상을 수상한다. 94년 한신대학교 문예창작과 교수로 취임한다. 98년 다섯 번째 시집 『어느 날 나는 흐린 主點에 앉아 있을 거다』를 발간한다. 황지우 외 2명, 황지우 문학앨범, 웅진출판, 1995 - 참고.
현재 한국종합예술대학 총장으로 재직 중이다.
황지우 시인에 대해 문학평론가 진형준은 “황지우의 섬세하면서도 지적인 통찰력을 지닌 시들에 먼저 감염된 후에, 그를 만나는 사람들은 대개 ‘어?’하는 탄성을 내뱉게 마련이다. 날카로운 눈매, 그 눈매에 어울릴만한 깡마른 체구라든가, 이도 저도 아니면 최소한 몽롱한 분위기를 풍기는 그럴 듯한 모습을 기대하고 있는 사람 앞에, 구십 킬로에 육박하는 거구가, 마치 어제 헤어졌다 다시 만난 사람을 대하듯이 넉살 좋게 말을 트면서 나타났을 때, 대개는 그런 탄성, 혹은 신음이 나오는 것을 막을 길이 없다.”고 진술한다. 황지우 시선집 ‘聖가족’, 도서출판 살림, 1989
그는 시 속에다 현실에 대한 풍자와 야유를 퍼붓는 독설가였지만, 외모는 그런 시적 경향과 달리 유순하고, 둥글어 보인다. 그가 그리도 둥글어질 수 있었던 것은 모난 동이 깎이어 몽돌이 되듯이, 세파에 시달리면서 시적 감수성을 끊임없이 닦았기 때문이 아닐까 짐작해 본다.
2. 작품의 경향과 시적 특징
황지우 시는 80년대 문단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권위적이고 억압적인 정권 아래에서 그의 시는 형태 파괴의 방법으로 현실 부조리에 대항했다. 초기 시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와 『겨울-나무로부터 봄- 나무에로』를 통해 황지우 시인의 현실 대응 방식과 현실 풍자를 살펴 볼 것이다. 중기 시 『나는 너다』와 『게 눈 속의 연꽃』으로 현실에 대한 인식이 변화한 모습, 즉 어느 정도 긍정적인 현실 인식을 볼 수 있다. 또한 초기 시에서 풍자로만 바라보던 현실의 부조리를 극복하려는 노력을 담고 있다. 현재까지 발간된 시인의 시집 중 최근 것으로 『어느 날 나는 흐린 주점에 앉아 있을 거다』를 통해 시적 자아의 관심이 사회적 문제에서 개인적 문제로 전환 된 것을 살펴볼 수 있다.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전공 강 석 논문 참고.
참고문헌

단행본
김준오, 시론, 삼지원, 2007
김경복, 서정의 귀환, 좋은날, 2000
황지우 문학앨범, 웅진출판, 1995
황지우,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문학과지성사, 1983
황지우, 겨울-나무로부터 봄-나무에로
황지우, 어느 날 나는 흐린 주점에 앉아 있을 거다, 1998
황지우, 성(聖)가족, 살림, 1999
논문
강 석, 황지우 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주소영, 황지우 시에 나타난 현실 인식 연구,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