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은 시인의 사회 BBernstein의 코드 이론으로 분석하기

 1  죽은 시인의 사회 BBernstein의 코드 이론으로 분석하기-1
 2  죽은 시인의 사회 BBernstein의 코드 이론으로 분석하기-2
 3  죽은 시인의 사회 BBernstein의 코드 이론으로 분석하기-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죽은 시인의 사회 BBernstein의 코드 이론으로 분석하기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죽은 시인의 사회
- B. Bernstein의 코드 이론으로 분석하기 -
영화의 첫 장면은 웰튼 고등학교의 새 학기 개강식이다. 커다란 교기를 든 몇 몇 학생들이 개강식의 맨 앞에 위치했고, 그 뒤 교장선생님과 선생님들이 들어섰다. 그러자 모든 학생들이 일어났다. 웰튼 고등학교의 수업 모습도 보여준다. 수업 장면에서는 정말 학생들의 목소리가 들리지 않았다. 교실 앞에 위치한 선생님은 일방적으로 수업을 진행하고, 학생들은 줄맞춰 앉아 질문하는 학생도 하나 없이 그냥 필기하기 바쁜 수업이었다. 영화 속 교사-학생 관계는 강한 프레이밍(F+)에 속해있다. 개강식에서의 교장만으로도 선생님의 엄격함과 딱딱함을 느낄 수 있었고, 그로 인해 학생들과의 커뮤티케이션은 전혀 없을 것이라는 것을 예상 할 수 있었다.
반면 새로 온 키팅 선생님은 첫 수업에 ‘캡틴’ 이라고 불러 달라한다. 학생들은 여기서부터 키팅 선생님으로부터의 거리감을 좁히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또한 권위적 상징물 교탁에 학생들이 올라가도록 만든다. 그러한 의도는 사물을 다른 각도에서 보라는 것이었지만, 그것 말고도 키팅선생님과의 관계에서 학생들에게는 잠재적 교육과정이 형성되었을 것이라 생각한다. 이러한 친밀해진 사이가 수업에 준비한 다양한 활동들이 학생들의 높은 참여율 속에 성공적이게 진행이 되고, 학생들과의 질문-답이 오가는 커뮤니케이션을 잘 이루어지도록 만들었을 것이라 생각한다. 키팅은 이 영화 속에서 유일하게 학생과의 관계가 약한 프레이밍(F-)을 조성하는 선생님이다.
크리스의 약혼자와 싸우는 모습을 보인 녹스 말고는, 이 영화 속에서 학생들은 직접적으로 경쟁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교기를 맨 앞에 위치시켜 학교의 자부심을 높음을 보여주고, 웰튼 고등학교를 명문 이라고 칭하는 것과 “졸업생의 75%가 아이비리그에 진학. 최고의 대학 진학 예비 학교” 라는 교장의 말에 이 영화 속 학생들이 경쟁 학습을 받고 있음을 느낄 수 있었다. 학교서열화를 통해 학생-학생 관계가 강한 프레이밍(F+)에 속해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실 장면 하나, 대사 하나를 분석 하지 않고 교장과 키팅 선생님의 대화 장면만 보아도 정말 쉽게 웰튼 고등학교를 B. Bernstein의 코드 이론으로 분석할 수 있다. 교장선생님은 “교육방법이 비전통적. 학교의 교육과정은 정해져있고, 훌륭하다는 것도 증명. 대학 입시에만 전념” 과 같은 말로 웰튼 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을 한 장면에 정리해줬다.
영화의 후반부에는 자아를 찾아가던 닐의 비극적인 결정을 한다. 키팅선생님은 획일화되고 억압당하는 학생들에게 자아와 개성을 찾아주는 수업 방식을 보이며 노력했지만, “윌튼 고등학교를 바꾸기엔 어려웠구나” 라고 보여진다. 그래도 학생들이 ‘죽은 시인의 사회’ 모임을 가졌으며, 닐이 자신이 하고 싶어하는 일이 연극이라는 것을 알았고, 토드가 “땀에 젖어 이를 드러낸 사람” 이라는 말을 뱉던 모습에 매우 감동을 받았다. 미래의 내 수업에 대해 깊에 생각을 해보게 하는 영화이다.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에 등장하는 학교는 영화 ‘말죽거리 잔혹사’보다 덜 잔혹한 버전의 영화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잔혹하긴 마찬가지다. 우선 학교는 매우 엄격하고 보수적인 전형적인 학교의 모습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런 엄격한 학교에 ‘키팅’선생님이 등장하게 되는데 키팅 선생님의 수업 방식, 가치관은 학생들을 변화시키게 된다. 하지만 기존의 보수적인 선생님들은 키팅 선생님을 이해하지 못하고 그에 반발하게 된다.
그 이유를 하나씩 분석해보자면 기존의 학교는 교육과정은 매우 강한 분류화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좋은 대학, 좋은 직업을 갖기 위한 교육과정이다. 책을 위주로 수업을 하고 대학 입시를 잘 하기 위한 최상의 시험 점수를 받기 위한 교육과정의 형태였다. 하지만 키팅 선생님은 이와 반대로 교육과정에서 약한 분류화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수업 시간에 교과서 따위는 찢어 버리라고 하며 학생들에게 지식 전달 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누릴 수 있는 자유와 선택의 권리를 누리고 깨우치도록 한다. 학교에만 얽매이지 않고 일탈도 하며 학교생활을 즐기도록 한다. 그래서 학생들은 비밀 조직 ‘죽은 시인의 사회’를 만들고 그 조직 안에서 일탈을 하며 학교생활을 즐겁게 하게 된다.
수업의 특징을 살펴보자면 기존의 선생님들과 교사의 관계에서 교사는 매우 권위적이었고 강한 프레이밍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교사의 권한에서 수업을 진행했다. 하지만 키팅 선생님의 수업에서 약한 프레이밍의 특징을 볼 수 있는데 학생들에게 주로 질문을 하며 자연스럽게 흘러나는 수업의 특징을 지닌다. 학생과 학생들의 관계는 기존에는 서로 경쟁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선생님을 뒤에서는 욕하지만 앞에서는 잘 보이려고 하는 학생들이 많았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특히 카메론이 퇴학을 당하지 않기 위해 다른 학생들은 모두 의리를 지켰지만 죽은 시인의 사회를 배신하는 모습에서 다른 학생들과 다르게 피해 받기 싫기 때문에 개인주의와 이기적인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는 강한 분류화의 형태를 지닌 수업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비롯된 것이다. 그리고 키팅 선생님의 등장으로 인해 학생들은 비밀조직 ‘죽은 시인의 사회’를 만들고 그 조직 안에서 학생들은 자유롭게 토론하고 소통하며 비밀리에 상호작용을 했었다. 이기적인 카메론과 다르게 소심했던 토드가 키팅 선생님이 떠나는 날 책상 위에 올라가 용기 있게 "O captain my captain"을 외치고 많은 아이들이 토드를 따라 책상 위에 올라가는 모습을 보며 선생님을 향한 존중, 사랑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는 키팅 선생님이 선택한 교육과정의 효과가 반영된 학생들의 변화라고 생각된다. 평가의 패턴에서도 분석해보자면 기존의 수업 시간에는 점수가 매우 중요했고 좋은 점수를 받아 의대를 가는 학생이 훌륭한 학생으로 보여졌다. 하지만 키팅 선생님은 평가에 연연하지 않았다. 그리고 학생이 하고 싶은 일을 하는 것을 지지하는 선생님이였다.
영화에서 닐은 자살하게 된다. 자신이 진정으로 하고 싶은 일은 연극 배우였고 연극을 할 때 가장 행복했지만 부모님은 의대를 진학해서 의사가 되길 원했고 닐의 연극을 지지 하지 않았다. 이 모습 속에서 사회와 학교는 좋은 직업, 좋지 않은 직업을 분류해서 학생들이 좋은 직업을 갖도록 강요했다. 일종의 잠재적 교육과정을 통해 직업에 대한 차별을 학생들에게 배우도록 했다. 학교에서 직업의 서열화, 돈과 명예가 사회에서 가장 중요하다는 걸 잠재적 교육과정에서 강조했다면 키팅 선생님은 꿈, 자유가 중요하다는 것을 학생들에게 잠재적 교육과정 속에서 전해주고 싶어 했다. 영화 마지막에서 가장 씁쓸했던 부분은 키팅 선생님이 쫓겨 나는 모습을 보면서 학생들이 어떤 생각을 했을지 궁금했다. 꿈과 자유를 추구하고 기존의 교사와 다르면 불합리한 상황에 직면하게 되는 모습, 사회 속에서도 보통 사람들과 ‘예’ 대신 ‘아니오’라고 대답하면 불합리한 상황에 온다는 걸 잠재적 교육과정에서 배웠을 수 있을 거라 생각 해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