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 보고서

 1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 보고서-1
 2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 보고서-2
 3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 보고서-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 보고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 보고서 >
이 영화는 입시위주의 교육을 지향하는 보수적 남자 사립학교가 배경이다. 학교는 전통, 명예, 규율을 중시하며 부모님과 교사들은 아이들의 꿈이 아닌 자신들이 지향하는 의료계, 법률계로 아이들이 걸어가기를 바란다. 하지만 새로 부임한 교사인 키팅교수를 만난 후부터 아이들은 하나씩 자신들이 원하는 것, 하고싶은 것이 무엇인가를 점점 깨닫고 느끼게 된다.
영화 초반에 나오는 입학식 장면을 보면 모든 학생들이 교복을 입고 백파이프 연주에 맞춰 엄숙한 분위기에 등장하는데, 이는 전통과 규율을 강조하는 전통적인 모습으로 Bernstein의 코드 이론 중 강한 분류화와 강한 프레이밍의 모습에 해당한다. 그리고 등장인물을 보았을 때, 가장 비교되는 사람으로 교장선생님과 키팅교수를 꼽을 수 있다. 교장선생님은 분과중심의 교육과정을 지향하고 교사들과의 대화에 있어서도 통합의 내용이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횡적통합에서 강한 분류화에 속하고, 교사와 학생간의 관계에 있어서도 교사의 통제수준이 높고 권위적인 모습을 볼 때 강한 프레이밍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반면에 키팅교수는 전통방식을 담고있는 책창을 찢게 함으로써 권위적인 수업의 모습과 교사의 모습이 해제되었고, 아이들이 축구를 차는 신체활동을 하며 종이에 적힌 글을 통해 깨달음을 느끼게 해주려고 한데서 횡적 통합의 약한 분류화가 나타난다. 또 아이들이 자기내면에서 끓어오르는 감정을 토해내게 하고 책상위에 올라가서 다른 시각에서 사물을 보게 하며 자신이 하고싶은 것에 대한 욕구를 스스로 찾아갈 수 있게끔 하는 모습에서도 약한 분류화가 나타난다. 그리고 교과서 위주의 수업이 아닌 경험, 예술추구, 역량중심의 수업을 하며 체험과 즉흥성을 중시하고 자발성, 능동성, 흥미성에 초점을 맞춘다. 키팅교수의 수업은 탐구하며 참여하는 수업으로 아무도 자는 사람이 없는 것은 혁신학교의 모습과 닮았다고 할 수 있다.
등장하는 학생들을 분석해 보았을 때 토드는 Bernstein의 수업 참여 유형 측면 중 전념이었으나 키팅교수를 만난 이후로 표현적 질서에 변화가 나타나고 , 녹스는 전념이었으나 키팅교수와의 만남 후 현재 자신의 마음에 용기를 얻게 됨으로서 변화가 나타난다. 또 닐 또한 전념에 해당됐으나 키팅교수를 만난 후 자신이 하고싶은 연극인의 꿈을 갖게 되면서 오디션도 보러 다니고 행복을 찾는 등 변화를 겪는다. 찰리는 참여유형 중 처음부터 분리였으나 공부는 잘할 능력이 되지만 학교의 도구적 질서를 거부하는 소외유형으로 바뀌는 캐릭터이다.
영화를 보면서 특히 인상 깊었던 장면들을 조원들과 분석해 보았다. 우선 첫 번째, 키팅교수가 수업시간에 책을 찢는 장면이다. 키팅교수는 그 책의 내용은 필요없다며 교실의 아이들에게 모두 찢으라고 하는데 이 모습에서는 전통방식을 고수하는 내용을 담고있는 책장을 찢음으로 학생들이 스스로 탐구하는 방식에 가까운 종적 통합의 약한 분류화를 볼 수 있고, 교사와 학생간의 대화와 소통이 오고가며 권위주의를 탈피한 모습은 교수-학생간 약한 프레이밍을 볼 수 있다. 또 자발적인 활동에서 오는 경험과 학생들의 흥미를 중시하는 경험중심 교육과정의 모습을 알 수 있다.
두 번 째, 찰리가 교장실에 가서 맞는 장면이다. 이 장면은 찰리가 전교생이 모인 자리에서 장난을 쳐서 불려간 경우인데 매를 통해 권위에 대한 통제, 그리고 폭력적인 모습에서 잠재적인 교육과정이 드러난다.
세 번째, 자작시 발표에서 토드의 자신감을 찾아주는 장면이다. 토드는 항상 자신감도 없고 내성적인 아이였는데 교사가 그의 내면을 끌어내게끔 도움을 줌으로서 그 수업을 통해 극복할 수 있었다. 나중에는 부모님이 생일선물로 주신 의사가위를 던져버리는 등 조금 더 자유로워진 모습을 보인다. 여기서는 학생들에게 실제적인 경험의 장을 제공하고 학생들의 흥미와 자발성에 따른 교육을 하는 경험주의 교육과정이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