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해萬海한용운

 1  만해萬海한용운-1
 2  만해萬海한용운-2
 3  만해萬海한용운-3
 4  만해萬海한용운-4
 5  만해萬海한용운-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만해萬海한용운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만해(萬海) 한용운
1.만해(萬海) 한용운의 약전
만해 한용운은 1879년 8월 29일 충남 홍성군 길성읍 성곡리 491번지에서 아버지 한응준 지금까지 만해는 아버지, 백형과 함께 의병 운동을 하다가 참패, 출가 입산한 것으로 되어 있었다. 최근에 고향 홍성 한수갑씨가 보관한 교지에 따르면, 만해의 아버지 한응준은 종 5품, 충훈부 도사(무과)를 지낸 것으로 되어 있고, 양호 도순무사가 갑오년(1894)에 내린 전령에는 한응준이 농민군을 토벌한 것으로 적혀 있다(만해사상연구소 발표, 1982. 3. 2. 서울신문 참조).
과 어머니 방(方)씨 사이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6세 때부터 18세까지 향리의 서당에서 한학을 공부하였고, 14세에 전정숙과 결혼, 25세 때에 아들 보국(保國, 6.25때 행방불명)을 얻었다. 18세 때 동학농민운동에 가담하였으나 실패하자 피신하여 1896년 설악산 오세암(五歲庵)에 들어갔다. 이것이 계기가 되어 1905년 인제(麟蹄)의 백담사(百潭寺)에서 승려가 되었고 만화(萬化)에게 법을 받았다. 계명(戒名)은 봉완, 법호가 만해며, 용운은 법명, 속명은 유천이다. 27세 때는 세계 여행의 뜻을 품고 만주, 시베리아를 방랑하다가 중도에 귀국하여 함남 안변땅 석왕사에서 참선했다. 29세 때인 1908년에는 일본의 문물과 불교계를 살피고 돌아와 친일 불교론자를 타도하고, 불교의 현대화를 주장하며 34세 때인 1913년에을 발표했으며, 대장경을 독파, 축략하여 대중 불교의 성전인 「불교 대전」을 발간했다. 39세 때(1918)에 자신이 발간한 교양 잡지「유심(惟心)」에 처녀작 시 ‘심(心)’과 수필 ‘고학생’을 발표했다. 그가 3·1운동에 적극 가담하여 민족 대표 33인 중 1인으로 백용성과 함께 불교계를 대표하여 서명, 독립 선언서에 공양 3장을 추가했고, 거사 당일인 기미년 명월관 지점에서 선언서를 낭독하고 일경(日警)에 체포되어 옥중에서 ‘조선 독립의 서(書)’를 썼고, 43세 때인 1922년 4년의 옥고를 치르고 나왔으며, 1925년 46세에 오세암에서「십현담 주해」(6월 7일)와 시집「님의 침묵」(8월 29일)을 탈고 했다. 1926년 시집「님의 침묵」을 내놓고 문학 활동을 전개하였으며, 1927년 신간회(新幹會)에 가입, 중앙집행위원으로 경성지회장을 지냈다. 1931년 조선불교청년회를 조선불교청년동맹(朝鮮佛敎靑年同盟)으로 개칭, 불교를 통한 청년운동을 강화하고, 월간지를 인수하여 속간하였다. 54세 때인 1933년 유숙원과 재혼하여 이듬해에 딸 영숙을 얻었으며, 1935년 첫 장편소설「흑풍(黑風)」을 《조선일보》에 연재하였고, 1937년 불교관계 항일단체인 만당사건(卍黨事件)의 배후자로 검거되었다. 그 뒤 계속하여 불교의 혁신운동과 창씨 개명·학병 출정 반대 운동, 작품 활동을 계속하다가 해방되기 전인 1944년 6월 29일만 65세에 자택인 성북동 심우장에서 중풍으로 생을 마쳤다.
2. 만해(萬海) 한용운의 사상
1) 공사상
인간이 궁극적으로 간주하는 본질적인 것들이 실제로는 없다는 것으로 이러 모든 개념들은 오직 우리의 인식 안에 있는 것으로 실제로는 이러한 것들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2) 법신사상
법신이란 수많은 개별적 존재들이 불가 분리한 유기적인 통일성을 유지하면서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연기의 주체로 파악된다. 소설가, 독립운동가, 승려의 다양한 모습이 만해의 행동이며 철학이었다. 따라서 한용운의 님은 조국이요, 불타요, 연인이며, 그것 모두를 함축하기도 한 법신사상의 언어 형상화다.
3) 언행일치의 실천운동
4) 문학에 대한 사상
한용운은 문학은 문예를 포함하여 문자로 기록된 모든 것이란 사상을 가지고 있었으며, 계급주의나 예술지상주의에 치우치지 않고 누구나 감상할 수 있는 것으로서 예술성을 강조 했다.
3. 만해(萬海) 한용운의 시적특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