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오싱즈陶行知행은 앎의 시작이고 앎 은행으로 완성되는 것이다

 1  타오싱즈陶行知행은 앎의 시작이고 앎 은행으로 완성되는 것이다-1
 2  타오싱즈陶行知행은 앎의 시작이고 앎 은행으로 완성되는 것이다-2
 3  타오싱즈陶行知행은 앎의 시작이고 앎 은행으로 완성되는 것이다-3
 4  타오싱즈陶行知행은 앎의 시작이고 앎 은행으로 완성되는 것이다-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타오싱즈陶行知행은 앎의 시작이고 앎 은행으로 완성되는 것이다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타오싱즈(陶行知) -행은 앎의 시작이고 앎은 행으로 완성되는 것이다
1. 생애
그는 1891년 안휘성 섭현의 황담원이라는 시골 마을에서 빈농의 아들로 태어났고, 본명은 문준 이었다. 당시 전형적인 중국 농촌의 현실이 그렇듯이 그 역시 아버지에게 한문사숙으로부터 교육을 받는다. 15세 때 당시 마을에 기독교 선교사가 설립 운영하는 숭일학당에 입학, 3년을 수학하고 1910년 남경의 금릉대학 문과에 진학하여 1913년 졸업한다. 이때 왕양명의 지행합일설에 심취한다. 그 영향으로 이름마저 행지(行知)로 바꿀 만큼 그는 실천지향적인 성향을 강하게 보인다.
처음에는 일리노이 대학으로 진학해서 정치학 석사학위 과정을 마치고 콜롬비아 대학으로 옮겨 본격적으로 듀이 교육 이론을 수학한다. 여기서 25세 청년인 그의 눈에 비쳐진 조국은 반식민지, 문화·경제적 빈곤 상태 그것이었다. 그래서 그는 박사 학위 취득의 권유를 뒤로 한 채 1917년 귀국하여 약 7년 동안 남경고등사범학교의 교육학과교수 겸 교무주임을 수행한다. 당시 그는 서구 신교육 이론의 소개와 구 교육 제도의 개혁을 주창하는 한편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적극적으로 교수 학습 개혁을 위한 노력을 전개한다. 이때 교수법이라는 용어를 교학법으로 바꾸었고 이것이 후에 생활 교육론을 주창하게 된 시초가 된다. 그러다 1923년 구교육의 개혁은 국민 대중 교육의 보급이 급선무임을 깨닫고 교수직을 박차고 농촌으로 뛰어든다. 아마도 중국이 처한 현실에서 교육 개혁의 출발은 강단교육학보다는 교육 현장에서 실천이 절박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당시 그는 중국 전체 인구의 80%가 평민이고 이들이 대부분농촌에 살고 있다고 인식하여 향촌 교육 운동을 전개한다. 이 일환으로 1927년 남경에 효장사범학교를 설립, 생활 교육론을 현장에서 직접 실천에 옮겨 본다. 그러나 1928년 국민당 정부로부터 이 학교에 대해 해산 명령이 내려지면서 그는 잠시 일본으로 망명하나, 1931년 귀국해 과학교육의 대중화, 산해공학단을 통한 소선생제 등을 운영하여 교육 기회의 균등화에 노력한다. 1935년 일본의 중국 침략이 시작되자 국가와 민족의 위기가 고조되어 어려운 상황이었음에도 육재학교를 창설, 빈곤 계층의 특수 재능아를 대상으로 특수 교육을 실시한다. 1945년 평화건국, 정치민주화의 여파 속에서 장개석 정부가 반공노선을 강화함에 따라 중경에 세운 사회대학에 패쇄령이 내려지자 그는 상해로 가 내전 반대, 민주정치를 요구하는 언론 활동에 분주한 시간을 보내게 된다. 그리고 1946년 55세의 나이에 뇌일혈로 사망한다.
2. 사상적 배경
그의 생활교육론에 대한 논쟁이 야기될 소지가 있는 부분은 바로 그의 사상적 배경에 대한 논란이다. 예를 든다면 그의 생활교육론이 듀이의 교육이론에 대한 번안인가? 아니면 창조인가? 하는 것 등이 바로 그것이다. 물론 그가 미국 유학을 통해 듀이로부터 직접 사사를 받은 입장에서 그 영향을 부인할 수는 없다. 중국 교육에 미국을 모델로 한 교육의 수용은 대학1915년∼1949년까지 이뤄진 바 있다. 특히 1920년대는 고조에 달하기도 했다.
이 기간에 주로 미국의 실용주의 교육 이론을 중심으로 한 교육 전문가의 중국 방문에 의한 강연과 저서가 대량 번역 소개되기도 했다. 그는 달톤제와 교학주합일의 차이를 설명하는 데 있어 생활교육론은 생활을 중심으로 모든 문제를 실제적인 문제를 가르치고 배운다고 하였고 달톤제처럼 교과서 중심으로 할 필요는 없다고 한다. 듀이는 사상의 어머니를 제기하지 못했다고 지적하면서 그는 사상의 어머니는 행동에 있다고 함으로써 듀이 교육 이론에 대한 나름대로의 비판적 입장에서 수정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아마도 듀이 이론의 중국 문화에 토착화로 비쳐질지도 모른다. 도는 무엇보다 중국과 미국의 문화적 토양이 다른 점을 든다. 이런 점에서 보면 도의 생활교육론의 외피는 분명 듀이 이론이지만 내피 즉 그런 교육 이론을 주창하게 된 역사·사회·문화적 배경이나 내용에서는 차이를 두고 있다 할 것이다.
두 번째로 중국 전통교육사상으로부터 영향이다. 도의 생활교육론에서 확인한 바 실천지향적인 특징은 비단 듀이 교육 이론의 영향만이 아닌 그의 중국 전통교육사상에서 "실천"을 강조한 부분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해석에 바탕을 두고 있는 면이 있다. 1918년 실험주의 교육방법이라는 글에서 순자의 친륜편 제17의 내용을 들고 있는데 여기서 앎을 추구하고 이치를 궁리하려고 하면 반드시 먼저 그 상황을 알아보고 그 증거를 둘러본 다음에 효과를 주목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그밖에 왕양명 철학의 영향을 간과할 수 없다.
그러나 양명은 “앎이 행의 시작이요, 행은 앎의 완성이다”라고 했는데 그는 이 말이 옳지 않고 “행은 앎의 시작이고 앎은 행으로서 완성되는 것이다”라고 하면서 그 다름을 주장했고, 묵자의 지식의 세 중류 친지(親知), 문지(聞知), 설지(設知)를 언급하면서, "참된 지식은 사상과 행동이 결합된 지식이고, 그 근거는 경험이라고 한다." (1927)고 하였다.
이상의 사상적 배경과 관련된 몇 가지 실마리를 통해 보면 그의 생활교육론은 사상적 배경을 단순하게 듀이 교육 이론의 번안이나 창조로 보기보다는 그의 민족과 국가가 처한 현실에 대한인식과 아울러 듀이 교육 이른 및 중국의 전통 교육사상에 대한 새로운 인식에서 출발하고 있음을 엿볼 수 있다.
3. 교육관
* 생활교육론
그의 교육사상에 중핵을 이루는 것은 역시 생활교육론이다. "생활교육론"의 내용은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즉, 생활이 바로 교육이다[生活卽敎育], 사회가 바로 학교다[社會卽學敎], 가르치는 것과 배우는 것 그리고 실천하는 것의 합일에 의한 교수 학습 방법론[敎學做合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