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잠과 동잠

 1  시잠과 동잠-1
 2  시잠과 동잠-2
 3  시잠과 동잠-3
 4  시잠과 동잠-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시잠과 동잠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시잠동잠
작가 소개
정이(程, 1033~1107)
자 정숙(正叔). 호 이천(伊川). 시호 정공(正公). 허난성[河南省] 뤄양[洛陽] 출생.
이천백(伊川伯)에 봉하여졌으므로 이천 선생이라 존칭된다. 형 정호(程顥 : 程明道)와 함께 주돈이(周敦燎 : 周濂溪)에게 배웠고, 형과 아울러 이정자(二程子)라 불리며 정주학(程朱學)의 창시자로 알려졌다. 철종(哲宗) 초에 사마광(司馬光)여공저(呂公著) 등의 추천으로 국자감 교수가 되었고, 이어서 비서성 교서랑(校書郞)숭정전설서(崇政殿說書)로 발탁되었다. 그러나 왕안석(王安石)소식(蘇軾) 등과 뜻이 맞지 않았고, 당화(黨禍)를 입어 쓰촨성[四川省] 푸저우[州]로 귀양간 일도 있다.
학자로서의 그는 《역경(易經)》에 대한 연구가 특히 깊었고,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의 철학을 수립하여 큰 업적을 남겼다. 그의 사상은 지미(至微 : 隱)한 것은 이(理 : 本體)요 지저(至著 : 顯)한 것은 상(象 : 氣用)이라 하여 일단 양자를 구별하고, 체(體)와 용(用)은 근원이 같으며 현(顯)과 미(微)에 사이가 없다고 상관관계를 설명한 점에 특색이 있다. 그의 철학은 주자(朱子)에게 계승되어, 《태극도설(太極圖說)》과 《태극도설해(太極圖說解)》에 나타나 있다.
학문의 방법도 형은 오직 정좌(靜座)를 주장하였으나, 그는 경(敬)을 중히 여겨 거경궁리(居敬窮理)에 힘썼다. 이와 같은 일도 주자에 의하여 집대성되었고, 송대(宋代)의 신유학인 정주학의 주축이 되었다. 저서에 《역전(易傳)》 4권이 있으며, 그의 학설은 형의 학설과 함께 서필달(徐必達)의 《이정전서(二程全書)》에 수록되었다. 또 그의 전기는 주자가 지은 《이락연원록(伊落淵源錄)》에 실려 있다.
성리학
대개의 경우는 성리학이라 하면 주자학을 말한다. 북송(北宋)의 정호(程顥)는 천리(天理)를 논하였고 그 아우 정이(程)는 성즉이(性卽理)의 학설을 폈으며, 그 밖에 주돈이(周敦)장재(張載)소옹(邵雍) 등이 여러 학설을 편 것을 남송(南宋)의 주희(朱熹:朱子)가 집성(集成)정리하여 철학의 체계를 세운 것이 일명 주자학(朱子學)이다. 한편, 이와는 달리 육상산(陸象山)은 심즉이(心卽理)를 주장하였는데, 이것을 왕양명(王陽明)이 계승하여 육왕학(陸王學)을 정립, 이것 역시 성리학이라 하기도 한다.
성리학은 이(理)기(氣)의 개념을 구사하면서 우주(宇宙)의 생성(生成)과 구조(構造), 인간 심성(心性)의 구조, 사회에서의 인간의 자세(姿勢) 등에 관하여 깊이 사색함으로써 한당의 훈고학이 다루지 못하였던 형이상학적(形而上學的)내성적(內省的)실천철학적인 여러 분야에서 새로운 유학사상을 수립하였다. 그 내용은 크게 나누어 태극설(太極說)이기설(理氣說)심성론(心性論)성경론(誠敬論)으로 구별할 수 있다.
성리학을 도학(道學)이학(理學)성명학(性命學) 또는 이것을 대성시킨 이의 이름을 따서 정주학(程朱學)이라고도 한다.
작품 해설
1. 사잠(四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