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fronting Polarization and Precarity

 1  Confronting Polarization and Precarity-1
 2  Confronting Polarization and Precarity-2
 3  Confronting Polarization and Precarity-3
 4  Confronting Polarization and Precarity-4
 5  Confronting Polarization and Precarity-5
 6  Confronting Polarization and Precarity-6
 7  Confronting Polarization and Precarity-7
 8  Confronting Polarization and Precarity-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Confronting Polarization and Precarity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Confronting Polarization and Precarity
개괄
이 책은 1970년대부터 제도, 경제, 법적, 정치적, 사회적 전형(transformation)의 결과로서의 미국의 고용관계의 변화를 살펴본다. 일자리의 질(job quality)은 경기변동보다는 구조변동을 반영한다.
- 경영자들 : 기업들 간의 비용경쟁과 기술의 변화, 세계화, 사회·경제적 압력을 받으면서 해결책 모색을 위해 유연성 증가, 비용절감. 주주가치의 극대화 등을 꾀함
단기이윤을 높이기 위해 금융·자본시장이 변화하며 노동의 구조가 바뀜. 이런 변화로 노동자들은 상대적으로 불리한 위치에 놓이게 되어 힘이 무력화되지만 경영자들은 이를 고려하지 않은 선택을 함.
- 정치적으로도 고용보호법이 제거되면서 노동자들은 불안정한 지위를 획득. 공동체주의에서 개인주의로의 이데올로기 변화도 노동시장구조변화에 일조함.
- 가정의 노동력구조변동은 직업이 제공해주는 수당(보조)과 수당의 질(가치)을 어떻게 평가하는가도 변하게 만듦
- 이중부양자(dual-earner)의 증가 eg)비노동활동 유연성과 노동스케쥴을 조율하기 어려워짐. 고학력자의 증가로 도전적직업(challenging work)에의 기회가 커짐과 동시에 저숙련일자리의 구인란으로 이주노동자의 유입이 커짐
- 이 장에서는 1970년대부터 미국의 고용시스템이 점차 양극화되고 불안정해진 원인을 논의하고 이러한 변화가 일자리의 질을 어떻게 변화시켰는지를 살펴본다.
- 이후 미국과 비슷한 사회·경제적 구조변화 속에서 다른 나라들이 선택한 고용시스템인 ‘유연안정성(flexicurity)논의를 통하여 불안정한 일자리 속에서 노동자를 보호하는 새로운 사회계약(합의)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CHANGES IN JOB QUALITY IN THE UNITED STATES SINCE THE 1970s
1970년대 중반 미국 일자리의 질 변화에 관한 7가지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일자리의 질이 크게 양극화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