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거품현상

 1  세계의 거품현상-1
 2  세계의 거품현상-2
 3  세계의 거품현상-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세계의 거품현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세계의 거품 현상
1.한류의 거품
현재 MBC ‘예능데스크’를 필두로 주류언론들이 앞다투어 유럽에 불어닥친 K-pop 한류에 대해서 찬양하기에 입에 침이 마를 정도이다. 주류 언론들의 호들갑만 보면 K-pop을 앞세운 2세대 아이돌이 마치 징기스칸처럼 아시아를 벗어나 전세계로 영토를 확장해나가고 있는 것처럼 보일 정도이다. 물론 K-pop 한류가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최근 프랑스의 르몽드와 영국의 BBC는 공통적으로 K-pop 한류의 중심인 2세대 아이돌(동방신기,SS501,슈퍼주니어)의 현실을 꼬집고 비판하였다. ‘노예계약’, ‘성형수술’, ‘어린소년-소녀의 상품화’,‘적은 임금’ 등의 단어들이 K-pop 한류의 중심인 2세대 아이돌의 분석에서 등장한 것이다. 알다시피 이런 단어들은 서구사회에서 매우 민감하게 여겨지는 단어들이다.
이런 르몽드와 BBC의 비판을 두고 누군가는 왜곡이라고 말하고, 또 누군가는 편견과 깎아내림이라고 비판했다. 하지만 아무도 르몽드와 BBC의 분석을 조작 혹은 허위사실 날조라고 말하지 못한다. 왜냐하면 르몽드와 BBC의 비판은 대한민국 아이돌계에 엄연히 실제하고 있는 문제들이기 때문이다.
대한민국의 ‘K-pop&아이돌’에 주목한 프랑스의 언론과 영국의 언론이 마치 약속이나 한 듯 동시기에 동일한 문제점들을 날카롭게 비판하였다는 사실은 매우 의미심장하다. 이는 그만큼 서구 언론의 시각으로 보았을 때 대한민국의 2세대 아이돌이 가진 문제점들이 크고 뚜렷하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이런 문제점들을 개선하지 못하는 한 유럽에서의 K-pop 한류의 성장은 한계가 존재할 수 밖에 없다는 경고이기도 하다. 외형적 성적에만 치중하는 K-pop 한류는 갈수록 거품화되어 가고 있는 중이다. 특히 K-pop 한류의 주역인 2세대 아이돌이 국내에서 갈라파고스섬의 땅거북(멸종위기희귀종) 같은 존재로 전락해 가고 있기에 매우 우려스럽다.
알다시피 2세대 아이돌의 주무대는 ‘뮤직뱅크’를 비롯한 공중파 쇼프로그램들이다. 특히 전세계 55개국에 생방송되고 있는 ‘뮤직뱅크’의 경우에 해외에서 거두는 상대적으로 높은 시청률을 바탕으로 K-POP 한류의 첨병역할을 하고 있다. 2세대 아이돌도 ‘뮤뱅’의 순위에 목숨을 건다. 얼마전까지만해도 최고히트곡=뮤뱅 1위=최고 인기 가수 라는 등식이 대한민국에서 성립하고 있었기에 더더욱 그러하다. 오죽하면 2세대 아이돌이 컴백 스케줄을 ‘뮤뱅’순위에 유리하도록 짜는 것이 이미 관례화되어 있을 정도이다. 그러나 몇 개월전 ‘나는 가수다’의 등장 이후로 ‘뮤뱅’의 권위와 파급력은 급추락하고 말았다. ‘나가수’뮤지션들의 감동을 전하는 노래에 한껏 취한 대한민국 대중들이 더 이상 ‘뮤뱅’아이돌의 화려한 퍼포먼스에 열광하지 않게된 것이다.
이처럼 대중의 취향과 선호가 바뀌었다면 응당 ‘뮤뱅’도 그 변화에 동참하여야만 함에도 불구하고, 전혀 노력하지 않았다. 그 결과 임재범을 이긴 박재범, 나라망신급인 뮤뱅 1위수상 이 탄생하였다.
아이돌이 계속 K-POP의 주역이 되고 싶다면 아무리 ‘뮤뱅’에서 1위를 해봤자 갈라파고스섬에 사는 땅거북이밖에 되지 못한다. 이처럼 갈라파고스화 된 ‘뮤뱅’의 보호 속에서 2세대 아이돌이 치열한 경쟁 없이 그저 팬덤의 음반 사재기에만 의존한다면 K-POP 한류는 곧 거품화 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2.중국의 부동산 시장
중국의 부동산 시장에 거품이 상당히 끼어있다는 사실은 현재 많은 이들이 지적하고 있는 사실이다. 중국은 신용위기 이후 수출 감소로 인한 성장을 자국 내의 건설경기 부양으로 메우고 있는 실정이다. 미국을 비롯한 주요 자본주의 국가들이 부동산 시장의 과열로 거품이 터진 상황에서 후발주자인 중국이 앞서 나라들의 그 실패를 그대로 답습했다는 사실은 참 아이러니하다.
하지만 그 산업분야가 가지는 전후방 연계효과를 고려할 때, 근본적으로 정치적으로는 사회주의를 표방한 일당독재가 실질적인 후발 자본주의 경제시스템에서 선택할 수 있는 대안은 그리 많지 않아 보인다. 구미선진국처럼 아직까지 체계적인 R&D를 통한 원천기술 축적이 있었던 것도 아니고, 이른바 “세계의 공장” 노릇을 하다 그 역할이 축소되었을 때에는 삽질이 최선인 것이다.
소시테제네럴이 분석한 중국 부동산 시장에 관한 각종 그래프들 중 하나다. 중국은 현재 건 설업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9%를 상회 해서 세계 최고수준이다. 2위는 역시 높은 속도 의 경제성장을 이루고 있는 후발 자본주의
인도, 3위는 부동산 활황으로 경기를 부양시켰 다 파산지경에 이른 스페인이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