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살로니가후서 종말론 재해석

 1  데살로니가후서 종말론 재해석-1
 2  데살로니가후서 종말론 재해석-2
 3  데살로니가후서 종말론 재해석-3
 4  데살로니가후서 종말론 재해석-4
 5  데살로니가후서 종말론 재해석-5
 6  데살로니가후서 종말론 재해석-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데살로니가후서 종말론 재해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제2바울서신
데살로니가 후서
-종말론 재해석-
1. 들어가는 말
두 서신의 종말론은 언뜻 보기에는 정 반대 되는 것처럼 보인다. 어떤 배경에서 그러한 생각이 나왔는지, 데살로니가 전·후서의 비교를 통해 두 서신에 나타난 종말론을 이해해 보자. 또한 두 서신에 나타난 종말론은 윤리문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2. 데살로니가교회의 상황
1)데살로니가 전서에 나타난 교회의 상황
바울이 떠난 후 공동체에는 두 가지의 문제가 있었는데 첫 번째 문제는 박해(2:14)에 관한 것이었다. 데살로니가 교인들을 박해하는 것은 바울이 자신의 동족인 유대인들에게 박해 받는 것 같이 데살로니가의 동족들이었다.(2:14) 왜냐하면 데살로니가 교인들이 열광주의에 압도되어 살았기 때문일 것이다.(4:1-12) 게다가 이교도들이 기독교로 개종한 데살로니가 교인들을 끊임없이 옛날의 표준으로 돌아가게 하려고 시도하였기 때문에 바울은 데살로니가 교인들이 성결의 삶을 살 것을 요구하고 있다. 임동환, 「데살로니가 전후서에 나타난 종말론 연구」(감리교신학대,: 석사논문, 1993), p17
또 다른 특징적인 상황은 죽는 자의 문제가 교회의 중요한 문제로 부각된 것이었는데, 당시의 교인들은 임박한 종말 사상을 가지고 임박한 재림의 기대를 가지고 살았으나 그들 주위에 죽는 사람들이 속출하며 주님의 재림의 날이 지연되자 그들의 희망이 무산될 위험에 빠지게 되었고, 이것은 신학적 문제로 이어졌다. 바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묵시문학적인 표현을 사용하여 죽은 자의 부활과 예수 그리스도의 강림에 대하여 설명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바울은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죽는 것이 깨어있는 것과 잠자는 것 정도의 아무런 차이가 없으며 재림의 때에 잠자는 사람이 살아있는 사람보다 먼저 일어날 것이니 교우의 죽음을 슬퍼하지 말고 소망을 가지라고 한다. 위와 같은 글, p18
2)데살로니가 후서에 나타난 교회의 상황
"주의 날이 이미 왔다"라는 주장이 공동체 내에 퍼져있었을 것이다. 그들은 A.D70년에 있었던 예루살렘의 멸망을 하나님의 궁극적인 진노가 이미 유대인에게 임한 것으로 보았다. 이렇게 유대인에게 하나님의 심판이 임했고 기독교인들이 메사이적 재난을 당하고 있다면(살후 1:4) "주의 날"이 임했다고 생각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데살로니가 후서는 교인들의 동요가 잘못된 사실에 근거한 것임을 밝히는 것이었다.
또 다른 상황은 데살로니가 교회에서 종말이 이미 임했다고 하는 사상으로 인해 일하는 것을 게을리 하는 경향이 있었다는 것이다. 그들 가운데 이러한 문제가 있었던 것은 하나님의 자녀가 되었으므로 공동체를 통하여 생활을 해결할 권리가 있는 것으로 오해하고 "주의 날"이 이미 왔으므로 일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웅천, 「데살로니가 후서 2:1-12 연구」,(감리교신학대: 석사논문, 1994) p16
3. 데살로니가 교회의 종말론 F.F 브루스 ,「WBC성경주석데살로니가전후서」(김철역, 솔로몬, 2000) p.41-44
데살로니가서는 그리스도께서 미래에 재림하실 것이라는 의미에서 파루시아(παρουσα)라는 용어를 사용한 최초의 문서이다. 데살로니가 전·후서에서 이 용어는 이런 의미로 6번 사용되었다. 그리스도의 재림은 구약의 신적 현현에서 빌려온 언어로 반복적으로 묘사된다. 그러나 데살로니가서에서 주로 강조되는 것은 윤리적인 의미다. 데살로니가서의 저자들은 파루시아를 고대하되, 특히 선교의 사명을 주신 주님이 자신들의 활동을 점검하고 보상해 주시는 시기로서의 파루시아를 기다린다. 그들은 자신들이 얻은 개종자들의 질에 의해 자신들의 활동이 평가되는 것으로 만족하겠다고 말한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F.F 브루스 ,「WBC성경주석데살로니가전후서」(김철역, 솔로몬, 2000)
오우성, 「대한기독교서회 창립 100주년기념 성서주석, 데살로니가 전후서」(대한기독교서회, 1995)
조경철, 「신약성서가 한눈에 보인다」(땅에쓰신글씨, 2010)
김득중, 「신약성서개론」(컨콜디아사, 1986)
임동환, 「데살로니가 전후서에 나타난 종말론 연구」(감리교신학대: 석사논문, 1993)
이웅천, 「데살로니가 후서 2:1-12 연구」,(감리교신학대: 석사논문, 1994)
김연태, 「신약논문총서 신약신학 27 : 데살로니가후서의 신학-미래적종말론」(학술정보자료사, 2004),
이인호,「바울 윤리의 종말론적 고찰」(감리교신학대학 석사학위논문, 1990)
박익수, 「바울과 종말론」(신학과 세계, 1986, 가을, 서울 : 감리교신학대학)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