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명희의 낙동 강분석 보고서

 1  조명희의 낙동 강분석 보고서-1
 2  조명희의 낙동 강분석 보고서-2
 3  조명희의 낙동 강분석 보고서-3
 4  조명희의 낙동 강분석 보고서-4
 5  조명희의 낙동 강분석 보고서-5
 6  조명희의 낙동 강분석 보고서-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조명희의 낙동 강분석 보고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 작가 포석 조명희(抱石 趙明熙, 1894~1942)
호는 포석으로, 1894년 8월 10일 충북 진천의 가난한 양반의 가문에서 태어났다. 서울 중앙고등보통학교를 거쳐 일본 도요[東洋]대학 등에서 수학했다. 문학활동은《김영일의 사(死)》(1921),《파사(婆娑)》(1923) 등 현실과 인간성의 문제를 다룬 희곡으로부터 시작하였다. 이어《영혼의 한쪽 기행》등 서정시를 쓰다가 1925년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KAPF)에 가담, 1927년 대표작 《낙동강》을 발표하였다.
1928년 소련으로 망명, 니콜스크에 살면서 대작《만주의 빨치산》을 썼다. 1937년 소련 헌병에게 끌려가 1938년 하바로프스크 감옥에서 총살된 것으로 전한다. 시집《봄잔디 위에서》, 소설집《땅 속으로》가 있다.
2.「낙동강」소개
「낙동강」은 1927년 『조선지광』을 통해 발표되었다. 그동안「낙동강」은 프로문학과 관련하여 많은 논란이 있어왔다. 1927년도 평단에서는 이 작품이 자연 발생적인 성격을 띠었느냐, 아니면 목적의식적 성격을 띠었느냐를 놓고 쉼 없이 엇갈리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사상의 흐름이 아직 목적의식으로까지는 진전되지 못했다고 보는 이는 박성운의 언급에 그 근거를 둔다. 박성운의 계급운동은 그 바탕에 민족의식이 내재되어 있다. “우리는 죽어도 이 땅 사람들과 같이 죽어야 할 책임감과 애착을 가지고 있다”는 박성운의 언급에서 알 수 있듯이, 그는 사회주의자이면서도 민족적 감정을 표출한다는 점에서 뒤에 카프의 문학가들에 의해 불철저한 계급의식으로 평가되는 것이다.
하지만 궁핍화의 양상이 민족적, 계급적 문제로 제기되었다는 점, 그 저항의 동기가 맹목적이 아니라는 점, 주인공 박성운이 계급혁명운동에 헌신한 점등으로「낙동강」을 뚜렷한 목적의식을 갖고 있는 작품으로 보기도 한다.
3. 표층서사구조
e1. 낙동강 어부의 손자이고 농부의 아들인 박성운은 부모의 열성으로 농업학교를 졸업하고 군청 농업 조수로 취직함.
e2. 독립운동이 일어나자 성운은 독립운동에 참가하고 일년 반 동안 철창 생활 을 하게 됨.
e3. 출옥하고 돌아와 보니 어머니가 돌아가셨고 집안이 망해 성운은 아버지와 서북간도로 떠남.
e4. 서북간도로 떠나는 배에서 성운은 자신이 지은 노래 ‘봄마다 봄마다’를 불러 같이 떠나는 이들의 눈물을 자아냄.
참고문헌

김재홍, 「낙동강」과「짓밟힌 고려」의 한 고찰, 한국학연구, 1989.
홍승례, 趙明熙의 「洛東江」 試論, 語文硏究, 1989.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