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0년대 일제의 황민화 정책

 1  1930년대 일제의 황민화 정책-1
 2  1930년대 일제의 황민화 정책-2
 3  1930년대 일제의 황민화 정책-3
 4  1930년대 일제의 황민화 정책-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1930년대 일제의 황민화 정책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930년대 일제의 황민화정책(민족말살정책/병참기지화)
1. 황민화 정책(민족말살정책)의 전반적 내용

일제는 1931년 대륙침략의 전초(前哨)로서 일본 관동군(關東軍) 참모(參謀)로 하여금 만주점령(滿洲占領)을 기도, 봉천(奉天) 교외(郊外) 유조구(柳條溝)의 만철(滿鐵) 철도를 파괴케 하였다. 관동군사령관(關東軍司令官) 목장번(木庄繁)은 이를 중국군의 소행이라 질타하고 총공격을 명하여 마침내 만주사변(滿洲事變)을 일으키고 청의 폐제(廢帝) 부의(溥儀)로 하여금「만주국(滿洲國)」이란 괴뢰정권을 수립케 하였다(1932년 3월). 이에 중국은 이를 국제연맹에 제소하였으나 중 일 양국에 일임당하고 말아 일제의 결정적인 승리로 귀착된 것이다.

1937년에는 중일전쟁을 야기시켜 중국 양자강(揚子江) 일대의 넓은 영토를 점령한 노구교사건(蘆溝橋事件)을 일으켰다. 1939년 9월에 독일이 폴란드를 공격함으로써 제2차 세계대전이 일어나 영국 등 26개국이 독일 일본 이탈리아의 전면전쟁을 일으켰는 바 일제는 이미 각종 징용령을 공포, 전쟁수행을 강화하였으며 세계를 상대로 한 침략 전쟁을 승리로 이끌기 위해 한국을 황국신민화로 채찍질하였다.
따라서 일제는 한국에서 각종 침략 착취 통치를 자행하면서 1941년 10월 동조영기(東條英機)를 총리로 삼아 내각을 성립시키고 소위 대동아공영권(大東亞共榮圈)의 실천을 강조한 뒤 12월 8일에는 일본군으로 하여금 말레이반도에 상륙을 개시케 하는 한편 진주만(眞珠灣)의 공격을 개시하여 정박중인 미전함(美戰艦) 주력을 파괴 격침한 뒤 야촌(野村) 내서(來栖) 두 대사에게 미국 정부에 대한 최후 통첩을 수교시켰다. 이에 영국 미국은 대일선전포고(對日宣戰布告)를 발표하고 12월 9일 국민정부도 대(對) 독일 일본 이탈리아에 선전을 포고하였으며 12월 11일에는 이탈리아가 대미선전(對美宣戰)을 각기 선언함으로써 태평양전쟁(太平洋戰爭)이 개시된 것이다. 따라서 뒤늦게 제2차대전에 말려든 미국을 포함한 26개국은 1942년 1월 대서양헌장(大西洋憲章)(Atlantic Charter)의 준수를 엄숙히 선서하고 그 모임을 국제연합(United Nation, UN)이라고 칭하였다.
일제는 한국의 인적 물적 배경을 이용하여 태평양의 도서와 마닐라 웨이크 괌 홍콩 등을 1개월 내에 점령함으로써 1942년 태평양(太平洋)에 있던 영국 미국의 기지가 상실되었고 더 나아가 그들은 싱가포르 동인도(홀란드령) 말레이야 버마 등을 차지하는 여세를 몰아 오스트레일리아를 침공할 막강한 기세에 놓여 있었다.
그러나 미국의 반격을 받아 일제의 침략적 팽창은 1942년 봄에 와서 한계에 달하였다. 미국은 공군과 해군을 증강 정비하여 동 8월 구아달카나르(Guadalcanal)에서 1943년 11월까지 길버트제도를 공격함을 비롯하여 1944년 1월 마샬군도에서 1944년 6월 마라리아 열도에 이르는 광활한 지역을 강타하여 일본의 침략정책에 제동을 걸었다. 더욱이 인구가 밀집한 일본의 도시가 폭격당하자 멸망에 직면한 일본은 그 구제책과 함께 본래의 야욕인 세계침략을 효과적으로 수행키 위해 한국의 인적 물적 압박과 탈취를 자행하였다. 따라서 일제의 황국신민화 정책 등은 종말까지 계속되었다.
2. 왜 황민화정책을 실시하였는가?

침략전쟁을 승리로 이끌기 위해 일제는 전비확장과 군사동원 등 광범위한 전투태세의 대상지를 중국과 한국에서 찾았다. 일제는 1931년에 산금정책(産金政策)을 강화하였는데 이는 한국을 군수병참기지화(軍需兵站基地化)로 변질시키기 위한 정책적 배려였다. 이에 한국 국민을 강제 징발하여 서울의 군수공장이나 각지의 광산 등지에서 강제 취역시킨 것이 국내와 일본 등지를 합해 260만명에 달하였으며 1938년 이후 소위 근로보국대(勤勞報國隊)로 동원한 총 인원은 568만여 명에 달하였다.
일제는 1930년대 초에 만주사변(滿洲事變)을 도발한 뒤 국제연맹(國際聯盟)을 탈퇴하고 전시동원체제(戰時動員體制)를 확립해 나갔다. 그들은 제국주의에 도전한다는 이유로 사회주의운동을 억압하여 한국의 농민조합운동 · 저축조합운동 등을 탄압 400여명을 검거하여 처벌하였다. 그들은 한국 민중을 노예로 만들기 위해 1932년 11월부터는 자력갱생운동인 정신작흥운동(精神作興運動)을 전개하였다. 동시에 강원도지사(江原道知事) 이범익(李範益)은 이 운동에 관해 물심양면에서의 협조를 당부하는 유고(諭告)를 내리는 등 황국신민화에 박차를 가했던 것이다.
3. 영향

1931년 6월 조선총독 재등실(齋藤實)의 후임으로 우원일성(宇垣一成)이 부임하여 한국민에게 황국신민화(皇國臣民化) 정책에 적극 협조하라는 유고(諭告)를 발표하였다. 만보산사건(萬寶山事件)이 있은 직후 일제는 각도 경찰부장회의를 열고 소위 사상 범죄를 엄중히 단속키로 결정하였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