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개신교 근대화와 한국 개신교

 1  한국의 개신교 근대화와 한국 개신교-1
 2  한국의 개신교 근대화와 한국 개신교-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의 개신교 근대화와 한국 개신교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한국의 개신교》
「근대화와 한국개신교」(정재영, 2008, 동양사회사상 제17집)
이 논문은 세속화라는 개념을 통해서 근대화의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앞서 지적한바 있으나, 세속화(secularization)란 용어는 인간이 살수 있는기간, 그래서 한세대, 한시대, 혹은 이세대, 이 세상이라는 뜻의 라틴어 새쿨름(saeculum)에서 유래. 세상적, 현세적인 뜻을 가진다. 즉 기독교에 대해 윤리적으로 새롭게 하여 교회의 사회학, 혹은 폐쇄주의 적이고 사색적인 종교적 개념을 벗어난 탈종교화란 개념으로 제창되고 있다.
즉 서구에서 발전한 “세속화신학”은 기독교 국가 체재의 붕괴 현상 혹은 전통적인 기독교 신학에 저항하는 시대적 흐름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비기독교적 세대에 걸맞는 기독교적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제창되었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우리말에서 세속화란 용어는 어원과는 다른 저열하게 하고 타락시키는 것, 혹은 신성 모독적인 것을 뜻하는 말로써 통용되고 있는 점을 볼 때 우리나라에서 나타내고 있는 세속화에 대한 논의도 해볼 필요가 있는 논재로써 정재영의 는 한국의 개신교 성장에 있어 또 다른 성격을 말해주고 있다.
우리나라에 기독교 즉 개신교는 1908년(융희 2년)이기풍 목사가 제주에 들어와서 선교하기 시작하였지만, 이미 천주교 난이라 할 수 있는 1901년 이재수의 난의 여파가 있었던 터라 도민들의 서양종교에 대해서는 냉담한 상태였다. 이때 1915년 이기풍 목사의 총독부로부터의 교회건립허가 신청으로 신설된 교회가 지금의 서부교회이다.
신도 수는 1910년경 10명 내외에서 1925년경에는 신자수가 200여명이 정도이나, 실제 개신교의 최대 번영시기인 1960~1990년 중반까지 전체인구비율의 19.7%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개신교만이 전파될 수 있는 사회적 구조 조건도 한번 살펴볼만하겠다.
제주에서는 개신교의 역사적 사건과 연계된 역할은 미비하지만, 6,25전쟁 이후 대통령제를 중심으로 한 중앙집권적 정치체계가 수립되면서 제주에서도 그 영향을 컷으리라고 보여진다.
더불어 우리나라의 대형 교회의 설교들은 ‘은총’의 수사를 이용하며 기복신앙과의 결합이 오히려 개신교의 성장을 유도하였고, 특히 625 직후의 기아 해결과 국가 재건에도 크게 공헌한 미국에서 유입된 개신교의 물질적 은총은 박정희 유신 정권의 국토재건과 위화감 없이 어울리는 현상을 낳았다.
또한 가정에서의 유교윤리의식의 가부장적 여성상과 미국의 청교도적인 여성상의 결합이 개신교 확장의 주된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이처럼 개신교가 제주를 포함한 우리나라에 넓게 전파될수 있었던 이유는 사회의 발전과 유교 사상과의 결합 등 다양한 측면에서 볼 수 있는 현상으로 보이며 세속화의 여부를 떠나 그 이면에는 “범국민적 복음화”라는 주체적인 활동의 결과가 있었다고 볼수 있겠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