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박물관 보고서

 1  중앙박물관 보고서-1
 2  중앙박물관 보고서-2
 3  중앙박물관 보고서-3
 4  중앙박물관 보고서-4
 5  중앙박물관 보고서-5
 6  중앙박물관 보고서-6
 7  중앙박물관 보고서-7
 8  중앙박물관 보고서-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앙박물관 보고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중앙박물관
청동기
농경문청동기(農耕文靑銅器)
시대 청동기(靑銅器)
방패형 동기로서 무당이나 권력자가 몸에 달거나, 의식 때 매달아 풍년을 비는 데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인물, 농기구, 경작지 등을 추상적인 선으로 묘사해 당시의 회화 수준을 짐작하게 해주는 귀중한 유품이다. 제한된 공간에 사물의 중요한 점만을 요점적으로 표현한 청동기 시대의 회화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 아랫부분은 파손되고 윗쪽 일부만 남아 있다. 기와 지붕 모양의 위쪽 가장자리에는 여섯 개의 네모진 구멍이 같은 간격으로 뚫려 있다. 양면에 모두 선문(線文)과 격문(格文) 등으로 이루어진 윤곽선이 돌려져 있다. 그 안을 다시 격문대를 중심으로 좌우 2구로 나누어 여기에 섬세한 문양을 음각하였다. 한쪽 면에는 좌우 2구에 각각 인물이 있다. 왼쪽 인물은 앞으로 뻗은 손에 무엇인가를 들고 있는 모습이다. 그 앞에는 사격문(斜格文)이 있는 항아리 한 개가 보인다. 오른쪽 인물은 한쪽 다리를 내민 채 따비 같은 농기구를 발로 누르고 있다. 그 밑으로는 네모난 공간에 횡선을 촘촘히 그어 마치 밭과 같이 표현했다. 따라서 이 인물은 밭이랑을 일구는 농부의 모습처럼 보인다. 그 아래에 또 한 사람이 양손으로 괭이 같은 것을 치켜든 자세를 하고 있다. 그러나 하반신이 절단되어 자세한 것은 알 수 없다. 다른 쪽에는 좌우에 각각 두 마리의 새가 서로 마주 본 채 나무 위에 내려 앉은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나무 위에 새가 있는 모티프는 우리 민속에서 보이는 솟대 신앙을 연상케 하고 있다. 이들 문양의 바로 밑에는 반환형(半環形)의 꼭지가 달렸다. 여기에 새끼처럼 꼬인 모양의 고리가 달려 있어 특수한 의식 도구로서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초기철기
한국식동검(韓國式銅劍)
시대 초기철기(初期鐵器)
재질 금속(金屬) / 동합금제(銅合金製)
용도기능 군사(軍事) / 근력무기(筋力武器) / 도검(刀劍) / 검(劍)
동검은 우리나라 청동기 문화를 대표하는 유물인데, 한국식 동검은 기원전 4세기 이후부터 제작되기 시작했다. 한국식 동검은 요령식 동검의 돌기 아래 형성된 허리 좁힘이 몸통 아래쪽으로 내려오고, 칼 하반부의 폭이 좁아져 가늘고 긴 형태를 취하고 있어 세형동검(細形銅劍)이라고 한다. 이 동검은 세형동검의 말기 형식에 해당되는 유물이다. 1966년 대구 수성구 만촌동에서 동검 3점, 검파두식(劍把頭飾) 1점, 검초장식(劍초裝飾) 5점 등과 함께 발견되었다. 이 동검은 칼 끝이 길다. 등대에 세워진 능각(稜角)이 검신(劍身)의 기부(基部)까지 내려오는 모양으로 칼의 양쪽에 날이 서 있다. 함께 발견된 칼집 장신구인 초금구(초금구(金具))는 같은 대구 지역의 비산동 출토품 및 평리동 출토품과 비슷한 형식을 갖추고 있다.
고구려
연가칠년명금동여래입상(延嘉七年銘金銅如來立像)
시대 고구려(高句麗)
재질 금속(金屬) / 금동제(金銅製)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