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징주의란 무엇인가

 1  상징주의란 무엇인가-1
 2  상징주의란 무엇인가-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상징주의란 무엇인가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 상징주의란?
1880년대의 파리의 예술동향은 상징주의 문학과 미술이었다. 19세기말에 프랑스에서 일어나 20세기 초에 유럽 전역으로 퍼져 나간 상징주의는 사실주의에 반대하고 낭만주의를 계승하려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 사실주의·자연주의 등의 외면적이고 객관적 경향에 대한 반동으로 일어난 것으로 상징의 방법에 의하여 형이상학적, 신비적 내용을 표현하려 했던 문예사조다.
(2) 상징주의 발생 배경
19세기 후반에 서구 사회는 고도의 자본주의 단계에 정착하기 시작한다. 사회는 고도로 조직되고 합리화된 체재로 변하여 이익을 추구하는 조직들의 끊임없는 세력 확장으로 온 사회가 빈틈없이 얽매어지게 된다. 사회에 팽배한 정치적 불안은 1차 세계대전으로 폭발하게 되고 제국주의 국가간의 경쟁과 함께 한 국가 사회 내에서도 노동 계급과 부르주아 간의 갈등이 심화되는 등 사회적 위기감과 불안감이 고조되는 시기였다. 이와 같이 사회 전반에 위기감과 불안감이 팽배해지자 그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서라도 이상주의적이고 신비주의적인 경향들이 부활하게 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상징주의는 물질적 세계와 정신적 세계의 구조적 갈등 속에서 탄생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서구 문화가 르네상스 이후 지향해온 정신적 종교적 가치에 대한 상실감에서 나온 태도였다.
(3) 문예사조로서의 상징주의
문학에 있어서도 현실사회 심리에 대한 객관적인 묘사에만 치우친 나머지 형이상학적인 세계를 추방하고만 사실주의 소설의 한계 즉, 이상성의 결여와 영혼의 세계를 동경하는 정신들이 철퇴를 가하면서 새로운 문학 질서와 미적 가치를 동경하고 추구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변혁기에 처한 선지식들은 사회적 정신적 공황 속에서 생의 의미와 문학에 대해 던지게 된 회의 사상과 퇴폐주의 퇴행적 자아 속에 몰입하는 심미주의, 자아의 분열을 자초하는 세기말적인 병리현상 등에서 야기되는 정신의 무정부 상태를 맛보게 되었다. 이와 같은 정신 현상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언제까지나 무정부상태에 침체해 있을 수 없어서 새로운 도덕과 문학적 이상을 탐색하면서 형성된 바, 소위 영혼의 상태와 절대의 세계에 대한 갈망을 이론으로 체계를 세운 문예사조가 상징주의이다. 특히 이 문학사조는 단순한 역사적 사실이나 운동의 범위를 넘어서서 일반적인 현대시학의 이론을 구성하였다는 점에서 영향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4) 상징주의 문학 배경
19세기 유럽 사회는 정치 경제적인 면에서 기존의 질서와 새로운 계급의 질서 체계가 격렬하게 충돌하는 격전의 장이었다. 혁명과 반혁명 희망과 좌절 진보와 퇴보 등 모든 가치가 상충하고 역전되는 혼란의 상황아래 , 예술은 주관적·개성적·공상적·상징적·신비적 특성을 보이는 낭만주의라는 형태로 나타난다. 19세기에 나타나는 예술사조는 모두 낭만주의의 범주 안에서 해석할 수 있다.
프랑스 시는 유럽의 다른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낭만주의의 영향을 늦게 받았다. 프랑스 혁명을 거친 이후 프랑스 낭만주의는 병적 낭만주의의 양상을 보인다. 상징주의에 나타난 특정 요소들은 병적 낭만주의에 나타난 특정 요소들이 더욱 극화된 것 이라 볼 수 있다. 신비적이며 그로테스적이며 무시무시하고 병리학적이며 도착적인 것은 상징주의의 전유물 이면서 병적 낭만주의의 기본 특성이다.
(5) 상징주의 회화
상징주의는 문학에서 먼저 시작되었는데 상징주의 미술은 문학의 영향으로 자연을 모방해야 한다는 부담에서 자유롭게 되어 색채와 선, 형태로 보다 광범위한 미적 감각을 시사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다양한 문화, 예를 들어 이집트, 원시미술, 중세, 근동 그리고 민족 미술 등 다양한 미술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이성보다는 직관과 관념에 의거해서 감각의 해방을 추구함으로써 인간 본연의 감정과 내재된 관념을 찾으려 했다.
점차 비물질적 세계를 동경하고 개인적인 경험과 충동을 중시하여 도덕성을 개의치 않고 더 내성적이고 탐미적이게 되었다.
(6) 한국의 상징주의
1910년 한반도에 대한 일본의 무단통치가 시작되면서 그 이전 한국 개화기에 민족의식을 고취시키고자 활발히 번역 소개되었던 역사, 전기류의 작품들은 제재 받게 되고 문인들은 정치나 시사에 직접 관련되지 않은 순수문학으로 방향을 바꿀 수밖에 없었다. 백대진이 1916년 6월 에 20세기 초두 구주 제 대문학가를 추억함 그리고 1918년 11월 에 최근의 태서문단이라는 글을 발표하여 프랑스의 보들레르, 말라르메, 모레아스, 레니에 등의 시인을 소개한 것이 한국에 알려진 최초의 상징주의 문학론이다. 그 이전에 최남선, 이광수의 2인 문단시대가 열리면서 일본이 명치유신 이래 서구문명 도입으로 개화와 근대화를 이룩한 것을 모델로 삼으면서 시작한 한국의 현대문학의 역사는 올해로 90주년을 맞는다.
상징주의의 효시, 김억의 中
지금 신문예는 그러한 것이 아니고 인생의 외부적 사실을 근저로 잡고 써 그 내부에 들어가 육안으로는 볼 수 없는 인생의 영적 또는 신비적 몽환적 방면의 진상을 찾으라는 것이올시다.
(7) 한국 상징주의의 의의
1878년 우리 사회의 문호개방으로 서구문화가 다량으로 들어오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상황 속에서 한국의 개화기 시가는 새로운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이로 인해 새로운 사회의 의식변화를 가져오게 되면서 1920년대의 상징주의 도입은 적극적 형태를 띠게 되었던 것이다. 상징주의 시의 수용은 단순한 사상을 전달하거나 계몽조의 시가 아닌 겉으로 드러내지 않는 내면적 감정표현을 시도하게 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상징주의는 단순히 문예사조의 이입이나 새로운 기법의 도입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의 근대 문학이 서구에 대해 지향적이고 열린 자세를 갖는 계기를 마련했음을 말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