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회 이단의 특징은 무엇인가

 1  한국교회 이단의 특징은 무엇인가 -1
 2  한국교회 이단의 특징은 무엇인가 -2
 3  한국교회 이단의 특징은 무엇인가 -3
 4  한국교회 이단의 특징은 무엇인가 -4
 5  한국교회 이단의 특징은 무엇인가 -5
 6  한국교회 이단의 특징은 무엇인가 -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교회 이단의 특징은 무엇인가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한국교회 이단의 특징은 무엇인가?
이단은 필요악인가?
창세기에 하나님이 에덴동산의 중앙에 있는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의 실과는 먹지 마라 네가 먹는 날에는 정녕 죽으리라, 말씀하셨다. 그러나 사탄의 미혹(요2서 1:7)에 죽음을 모르는 하와에 눈에는 하나님이 금한 나무의 열매(창3:1~6)가 먹음직도 하고, 보암직도 하고, 지혜롭게 할 만큼 탐스럽기도 한지라 그 열매를 먹고, 하와가 그의 남편 아담을 미혹의 길로 이끎으로부터 세상이 열리는 성경의 역사가 시작된다. 사탄의 유혹이 얼마나 달콤한가? 죽음을 불사하고 자연스럽게 그 길을 걷는 것을 볼 수 있다. 아놀드 토인비의 ‘메기이론’ 같이 성경에서 말하는 이단은 필요악인가?
성경에서 말하는 이단의 정의
사도행전 24장 5절에 이단(종파, 당파)을 불화를 일으키고, 전염성이 강한 죽음의 흑사병 같은 존재라고 말한다.(중립적 의미의 종파, 행24:5, 헬라어 αρεσι, 종파, 분파를 라틴어 aeresis로 옮기면서 이단이라는 부정적 뉘앙스를 풍김) 홍병룡 『HERESY』 알리스터 맥그하스, 포이에마. 2016.3 p67
한국교회의 이단의 특징
한국교회의 분파 및 이단 발생사
1. 반교권주의적인 분파
1885년 한국에 기독교 복음이 전파된 지 26년 만인 1910년 미국선교사들의 횡포와 간섭을 배제하고 조선교회의 독립을 주장한 분파
2. 교리적인 분파 및 이단
1916년 황해노회는 의회적인 정체에 분복하고 평민적 민주정체를 주장한, 자유교회적 교회론자인 홍수원교회 김장호목사를 이단자로 규정하고 면직했다. 교회의 통일성과 입체적인 결속력을 무시하는 교회론은 일제의 입장에서 다루기 쉬운 그를 총독부가 분파적 구현을 위해 후원해 주었다. 그는 출애굽때 홍해를 건넌 사건을 물이 밀어 만조가 되었을 때라고 하나님의 전지전능성과 구원섭리를 부인한 성서의 자유적인 해석을 했다.
3.신비주의적인 분파 및 이단
신비주의 회오리바람은, 1930년대 한국교회의 상황은 암담했다. 일본제국주의의 가중되는 탄압정책에 경제적인 공황까지 겹치고, 나라 잃은 슬픔 속에 빠져 좌절과 실의를 딛고 일어설 수 없을 만큼 절망적이었다. 사람들은 현실에서 도피하여 피안의 세계 속에 안주하기를 갈구했고 이 세상에 더 이상 바랄게 없었다. 인간이 피할 수도, 그렇다고 대답할 수도 없는 물음이 있다면 그것은 다름 아닌 신의 존재, 영혼 불멸, 사후세계와 같은 형이상학적인 문제들일 것이다. 즉, 인간 이성은 이러한 질문을 스스로 거부할 수도 없고 그렇다고 대답을 할 수도 없는 운명을 타고 났다는 것이다. 이런 순수이성비판은 종교적인 맥락에 적용하면, 칸트에게서 기대되는 대답은 자명하다. 즉, 신은 우리의 눈으로 보거나 만질 수 있는 대상이 아니다. 정재각 『칸트 : 사유와 비판』 오랜지도서, 2017.2
그런 상황에서 대두된 것이 기독교 이름으로 나타난 것이 신비주의 운동이었다. 신비주의 선두주자는 감리교회의 이용도 목사였다. 유명화는 자기에게 예수가 임재 하였다고 하면서 예수처럼 모습을 꾸미고 강신 극을 꾸몄다고 한다. 백남주 목사는 철산에서 신비주의운동을 펴던 김성도 여인과 함께 1965년 성주교회를 세웠다. 김성도는 병자들과 함께 기거하며 그냥 입히고 먹였다. 그녀는 무릎과 팔꿈치에 굳은살이 붙을 정도로 기도했다고 한다. 동창이 난 환자나 거지를 손수 씻기고 입으로 고름을 빨아내고 병을 고쳐주곤하였다. 그 모습에 신도들이 그녀를 ‘새 주’, ‘새 주님’으로 불렀다. 성주교회는 새주교회로 호칭되었다.
참고문헌
참고 문헌
1. 알리스터 맥그라스 『HERESY 그들은 어떻게 이단이 되었는가』 홍병룡 역, 포이에마. 2016.3 (중립적 의미의 종파, 헬라어 αρεσι를 라틴어 aeresis로 옮기면서 이단의 부정적 뉘앙스를 풍김)
(행 24:5, 벧전 2:1~3 벧후 1:20, 2:21~22, 3:16)
행 24:5
ερντε γρ τν-νδρα-τοτον λοιμν, κα κινοτα στσιν πσιν το ουδαοι
우리가 보니 사람은 이 염병이라 하는 자요 소요케 모든 유대인을
το κατ τν οκουμνην, πρωτοσττην τε τ τν Ναζωραοων αρσε
천하에 괴수라 나사렛 이단의(파)αρεσι
(천하를 소요케(στσι, 다툼, 불화, 분열) 하는 자요 염병(λοιμ, 흑사병, 전염병, 악역이라, 헬라어 αρεσι, 잡음, 선택, 종파, 논쟁)
2. 정재각 『칸트 : 사유와 비판』 오랜지도서, 2017.2
3. 김신호 『이단 바로 보기』 서로사랑, 2013.12
4. 길희성 “세상 권력 중 가장 권력이 아닌 척 하는 게 종교다”, 중앙일보, 2017.4.5.
5. 목창균 『이단논쟁』 두란노, 2016.12
6. 배본철 『이단을 보는 눈』 도서출판영성네트워크, 2016.8
(어거스틴, 루터의 유아세례인정, 세례는 구원의 필수 조건, 쯔빙글리는 세례는 입문의 징표, 결단이자 서약이다. 성찬의 화체설, 육적임제설 영적임재설, 상징설 등)
7. 탁명환 『기독교이단연구』 현대종교국제종교문제연구소, 2002.10
8. 탁지일 『교회와 이단』 두란노, 2016.9
9. 박영관 『이단종파비판』 기독교문서선교회, 1989.6
10. 이대복 『이단연구특집』 큰샘출판, 2011.5
11.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이단경계주일을 위한 목회 자료집Ⅱ』, 2014.7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