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포트 - 성선설, 성악설, 성무선무악설, 성선악혼재설, 성삼품설

 1  레포트 -  성선설, 성악설, 성무선무악설, 성선악혼재설, 성삼품설 -1
 2  레포트 -  성선설, 성악설, 성무선무악설, 성선악혼재설, 성삼품설 -2
 3  레포트 -  성선설, 성악설, 성무선무악설, 성선악혼재설, 성삼품설 -3
 4  레포트 -  성선설, 성악설, 성무선무악설, 성선악혼재설, 성삼품설 -4
 5  레포트 -  성선설, 성악설, 성무선무악설, 성선악혼재설, 성삼품설 -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레포트 - 성선설, 성악설, 성무선무악설, 성선악혼재설, 성삼품설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성선설, 성악설, 성무선무악설, 성선악혼재설, 성삼품설
1. 성선설과 성악설의 전개
- 중국의 전통 철학자들 역시 인간의 본성 문제를 소홀하게 취급하지 않았다. 그들은 이 문제에 대해 서주 초기부터 관심을 기울인 이래, 춘추 시기 공자에 의해 “본성은 서로 가깝지만, 익히는 것에 따라 서로 멀어진다”는 내용으로 전개되었으며, 전국 시대 맹자와 순자에 의해 더욱 체계적인 이론으로 정리된 이후, 수천 년 동안 봉건 사회의 중국에서 영향력을 유지하였다.
I. 성선설
1. 성선설이란?
성선설(性善說) : 성선설은 인간의 본질을 도덕적인 존재로 파악하는 이론이다. 성선설은 모든 인간에게 본래적으로 갖추어진 것으로 생각하는 도덕성을 매우 중시하는 이론으로, 전국 시대 맹자(孟子: 372289.B.C.)에 의해 주장되었다. 맹자는 인간의 본성을 자연적인 본능 부분으로 생각하지 않았다. 맹자는 인간이 동물과 구별되는 미세한 차이(幾希)를 인의예지(仁義禮智)의 도덕성으로 생각하였다. 맹자는 이 인의예지의 도덕성이 동물에게는 없고, 오직 인간에게만 있는 것으로 생각하였다. 성은 선한것이며, 그러기 때문에 측은(惻隱), 수오(羞惡), 사양(辭讓), 시비(是非) 등의 마음을 지니고 있다. 이것은 각각 仁.義.禮.智의 4단인 것이며 사람은 4단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단이라 함은 선발생할 가능성을 가진 시초를 말하는 것이다. 그러나 맹자는 이에 대하여 상세하고 논리적인 설명을 하지 않았으며 또 악의 기원에 대한 설명을 하지 못하였다. 성선설, 성악설은 송나라 때의 朱子학파에 의하여 본연기질론으로 종합(해결)되었다. 그들은 하늘의 운행 원리인 원형이정(元亨利貞)이 인간의 내면에 인의예지라는 도덕적 본성으로 자리매김한 것으로 생각하고, 이 인의예지를 가치 근거로서의 리로 여겼다. 그리고 그들은 이(理)를 분선한 것이 조금도 섞여 있지 않은 순수하게 선한 것이라고 했다.
2. 성선설의 체계화
(1) 동양 철학의 성선설 : 유학자들은 하늘의 운행 원리인 천명을 인간의 도덕 근거로 생각한디. "천명을 본성이라고 한다"고 지적한 ·중용·의 내용에서 천명은 하늘의 운행원리이고, 본성은 인의예지로서 본연지성이다. 성선설은 "인간은 선하다"는 이론이다. 따라서 집안이든 나라든 모든 사회는 인간이 이끌어 나가야 한다고 본다(人治). 이들은 인간 안에서 선한 요소를 찾는데, 그 요소는 도덕적 이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이성이 인간 사회를 이끌어 나가야 한다고 보므로 성선설은 대략 유심주의(관념론)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이성을 계발한 사람은 지식인이다. 지식인이란 그런 이성과 인격을 함양한 사람이다. 인격이 존중받지 못하는 사회적 원인으로 우선 외형적인 면에서 자기와 자신이 속한 집단의 이익을 중심으로 하는 부국강병 정책에 의해 발생하는 전쟁으로 보았다.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법과 같은 사회적 제도를 주장한 것이 아니라, 인간의 내면 세계에 존재하는 도덕성의 회복을 강조했다. 그는 사실 판단과 가치 판단의 근거인 천의 이치를 본받은 본성을 회복하는 것이야말로 인간이 추구해야 할 가장 시급한 일이라고 했다. 즉 그는 누구나 본래적으로 가지고 있는 선한 본성을 마음을 다하여 현실에 드러내는 일이야말로 당시의 문제를 본질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길이 될 것으로 생각했다. 이런 점에서 성선설은 지식인과 관료를 옹호하는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맹자 시대에는 새로운 문제가 사상계에 대두되어 유행했는데, 인성의 선악 문제였다. 이른바, 인성이란 사람마다 본래 타고난 품질을 말한다. 그러한 논쟁 가운데에서 맹자는 성선을 주장했다. 『맹자는 성선을 말하였으며, 그것을 말함에 있어 반드시 요.순을 일컬었다.』(勝文公上) 맹자는 『무릇 도는 하나일 뿐이다.』, 『안연이 이르기를 舜은 어떠한 사람이고,
나는 어떠한 사람인가, 노력하면 그와 같이 되는 것이다. 했다』(동상)고 했다.또 맹자가 ‘사람이 배우려는 것은 본성이 선량하기 때문이다’고 말한 것으로 이해하고, 이러한 맹자의 말에 대해 맹자가 인간의 본성을 이해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인간의 본성과 인위의 차이조차도 자세히 살피지 않은 것으로 이해하면서, 본성은 배고프면 배부르고 싶고 추우면 따뜻하고 싶고 힘들면 쉬고 싶은 것 등과 같이 자연적인 것이어서 배울 수도 없고 일삼을 수도 없지만, 성인이 만든 예의는 배워서 할 수 있고 일삼아서 이룰 수 있는 것이라고 했다. 즉 그는 배울 수 없고 일삼을 수 없으면서도 사람에게 있는 것이 인간의 본성이고, 배워서 할 수 있고 일삼아서 이룰 수 있는 것을 인위라고 하면서 본성과 인위의 차이를 확실하게 구별했다. 맹자가 성품을 특히 창시했지만 그러한 이치는 이미 「대학」「중용」과 공자의 성상근설과도 상통하고 있다. 성품이기에 상근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어찌 능히 상근할 수 있겠는가?맹자는 동유상사의 뜻에 의거해서 그 설을 증명하고 있다. 성인은 이와 의로 충만하기에 그 성이 반드시 선하다. 성인과 나는 동류이기에 나 또한 반드시 성선할 것이다. 동유상사와 마음이 같다 하는 것에 근거해서 사람은 모두 이(理),의(義)를 가지고 있음을 증명하였으니, 성이 선한 것을 알겠다.
Ⅱ. 성악설
1. 성악설이란?
성악설(性惡說) : 성악설은 인간의 본성을 도덕적 존재로 여기는 맹자의 성선설을 직접적으로 비판하며 인간의 본성을 생물학적인 면으로 취급하는 순자(荀子: 316~230.B.C.)에 의해 정초된 이론이다. 라고 주장하는 것. 위(僞)라는 것은 작위, 즉 배워서 말하는 것을 말한다. 사람의 자연의 성은 악이기 때문에 작위를 쌓아서, 즉 순자는 이러한 혼란스러운 사회를 극복하기 위해 반드시 성인의 가르침과 예의가 필요함을 역설했다. 그는 성이 악이라는 근거를 이기적 욕망에 두었는데 선의 기원을 설명할 수 없었으므로 인성의 선한 면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 또 행위의 도덕적 가치판단에서는 결과론의 입장에 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