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포트 - 사단칠정 논쟁

 1  레포트 -  사단칠정 논쟁 -1
 2  레포트 -  사단칠정 논쟁 -2
 3  레포트 -  사단칠정 논쟁 -3
 4  레포트 -  사단칠정 논쟁 -4
 5  레포트 -  사단칠정 논쟁 -5
 6  레포트 -  사단칠정 논쟁 -6
 7  레포트 -  사단칠정 논쟁 -7
 8  레포트 -  사단칠정 논쟁 -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레포트 - 사단칠정 논쟁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사단칠정 논쟁
1. 사단칠정논쟁
(1) 기본개념정리
사단(四端)은 맹자가 처음으로 사용한 개념으로 인간의 4가지 착한 본성, 순수한 선 (善)을 말한다. 그는 이를 바탕으로 성선설을 주장하였다. 사단(四端)중에서도 맹자가 가 장 중시한 것은 측은지심이었다. 측은지심은 남의 어려움을 보았을 때 마음속에서 저절로 생겨나는 불쌍히 여기는 마음을 일컫는 말로써 보상을 요구하거나 사람들의 비난을 두려 워하여 인위적으로 생겨나는 것이 아니다. 이 밖에도 자기 잘못을 부끄러워하고 남의 잘 못을 미워하는 수오지심, 남에게 양보하는 사양지심, 옳고 그름을 따지려는 시비지심 등이 사단을 구성하고 있다. 이는 또한 인, 의, 예, 지의 실마리(단서)가 되기도 한다.
칠정(七情)은 사단(四端)과는 차원이 다른 감정이다. ‘예기(禮記)’에서 처음으로 다뤄진 이 개념은 인간의 7가지 감정을 말하며, 완전한 선(善)인 사단(四端)과는 달리 칠정(七情) 은 유선유악(有善有惡)으로써 선악이 섞여있는 상태이다. ‘희(喜), 노(怒), 애(哀), 구(懼), 애(愛), 오(惡), 욕(欲)’ 이렇게 7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성리학자들이 문제 삼는 것 은 대체로 ‘중용(中庸)’에서 언급한 희(喜)·노(怒)·애(哀)·락(樂)의 네 가지 감정을 의미한 다. 물론 양자 간에 개념적인 차이는 없다. 네 가지로 나누든 일곱 가지로 나누든 인간의 감정 일반을 통칭했다는 점은 동일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심성(心性)론은 사람의 마음을 철학적으로 설명한 이론이다. 심성론에서는 성(性)과 정(情)을 다루고 있는데 여기서 성(性)은 인, 의, 예, 지를 지칭하고, 정(情)은 측은, 수오, 사양, 시비지심을 지칭한다. 주로 심성(心性)을 하나로 보는 일원론과 심(心)과 성(性)을 두개로 나눈 이원론으로 입장이 나뉜다. 사단칠정 논쟁은 기본적으로 이러한 입장의 차이에서 시작되었다.
(2) 발단
1553년, 추만 정지운의 ‘천명도(天命圖)’를 이황이 수정하면서 비롯되었다. 본래 정지운은 동생 정지림을 교육시키기 위해 ‘천명도(天命圖)’를 작성하였는데 예기치 않게 그 내용이 세상에 유포되면서 이황도 이를 접하게 되었다. 이황을 이를 읽어 본 후 내용 중에 잘못된 점이 있다 하여 정지운에게 내용을 수정하도록 권하였다. 즉 정지운이 “사단은 리에서 발한 것이고 칠정은 기에서 발한 것이다.”라고 작성했던 부분을 “사단은 리가 발한 것이고 칠정은 기가 발한 것이다.”로 고치도록 한 것이다. 거의 같아 보이는 이 문장은 리와 기의 주체적인 움직임에 따라 다르게 구별할 수 있는데, 이황이 고친 문장은 원본보다 리와 기의 주체적인 움직임을 강조한 것이었다. 이에 대해 세간의 학자들 사이에서 논란이 일어났고, 그로부터 6년이 지난 뒤에 이황은 기대승에게 짤막한 편지를 보내 자신의 입장을 설명하기에 이르렀다. 이황의 편지를 받은 기대승은 사단 칠정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정리하여 이황에게 편지를 보내게 되었고, 이황이 다시 화답하는 글을 보내면서 장장 8년간에 걸친 본격적인 논쟁이 시작되었다.
(3) 전개 및 중심내용
이 논쟁은 주자학의 심성론으로 해결되지 않는 문제점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여기서, 기대승과 이황의 논지는 사단과 칠정의 관계를 어떻게 파악하느냐 하는 데서 갈라진다. 이황의 경우는 각각 리와 기에 분리 소속시킴으로써 이를 해결하려 했다면, 기대승의 경우는 분리를 인정하지 않은 선에서 해결점을 모색했다.
1. 1차 논쟁
기대승은 이황에게 보낸 제1서에서 사단과 칠정이 다 같이 정(情)이라고 규정함으로 써, 사단도 정이므로 칠정을 벗어날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더 나아가 그는 사단은 칠정 속에 포함된 것이므로 사단과 칠정을 상대적 개념으로 대응하여 논할 수 없다고 하였 다. 곧 칠정은 인간의 심리 현상을 통칭한 것이며, 그 중에서 선한 것이 사단이라는 것 이다. 또한 그는 현상 세계에서는 리와 기를 나눌 수 없다고 주장하며, 리를 기 안에 있 는 원인 정도로만 보았다.
이황은 이에 화답하면서 사단과 칠정이 다 같은 정이라는 점에는 동의했다. 그러나 그는 다 같은 정이라 하더라도 나아가서 말하는 바가 다르기 때문에 당연히 구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황은 또 자신이 리발(理發)·기발(氣發)로 사단 칠정을 설명하는 것 이 타당하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하여 본연지성과 기질지성을 근거로 내세웠다. 성리학 에서 성은 이가 기 속에 타재할 때만이 성립하는 개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리학 에서는 본연지성과 기질지성을 구분하여 각각 이와 기로 나누어 설명해 왔다. 따라서 정도 그렇게 나누지 못할 것이 없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그는 ‘주희’도 사단과 칠정을 각각 이가 발하고 기가 발한 것으로 말했다는 점을 들어 자신의 의견에 무리가 없다고 자신하면서 논쟁에 종지부를 찍으려 하였다.
하지만, 이황의 편지를 받은 기대승은 당초 자신이 제기했던 문제점이 해결되기는커 녕 도리어 강한 반박을 받게 되자, 다시 논점을 정리하여 보다 분명히 이황의 입장에 무리가 있음을 지적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