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망-생물학적 욕구, 이성적 바람, 사적 이익과 공적 의로움

 1  욕망-생물학적 욕구, 이성적 바람, 사적 이익과 공적 의로움 -1
 2  욕망-생물학적 욕구, 이성적 바람, 사적 이익과 공적 의로움 -2
 3  욕망-생물학적 욕구, 이성적 바람, 사적 이익과 공적 의로움 -3
 4  욕망-생물학적 욕구, 이성적 바람, 사적 이익과 공적 의로움 -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욕망-생물학적 욕구, 이성적 바람, 사적 이익과 공적 의로움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욕망-생물학적 욕구, 이성적 바람, 사적 이익과 공적 의로움
1. 욕망의 정의
욕망이란 ‘하고자 하는 것’으로 생리적인 욕구인 본능과 생리적인 욕구나 이성적 바람을 채우는 과정에 좋은 것으로 더 하고자 하는
마음인 가욕과 도덕적 목표나 이성적 계획을 이루고자 하는 소망 등의 의미를 포함한다. 이 때문에 모든 인간은 살아 있는 한, 이 욕망의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이것은 인간이 욕망을 추구하는 존재임을 의미한다. 그러나 욕망에 대해 모든 사람이 동일한 관점을 취하는 것은 아니다. 욕망의 내용과 방향 및 실현 방법 등에 대해 다양한 관점이 있다. 많은 철학자들은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 욕망의 문제를 중요하게 취급했다. 이철승, 주희와 왕부지의 욕망관 분석-『논어집주』『독논어대전설』의 내용을 중심으로-『동양철학연구』제61집, 2010 p.3
2. 유가철학에서의 욕망
유가철학에서도 이 욕망의 문제는 중요하게 취급되어진다. 선진 시대공자나 맹자는 인간의 욕망을 부정할 수 없는 것으로 여긴다. 그러나 그들은 생물학적 욕구의 방임적 성향을 염려하고, 도덕적 삶을 지향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이철승, 주희와 왕부지의 욕망관 분석-『논어집주』『독논어대전설』의 내용을 중심으로-『동양철학연구』제61집, 2010 p.3~4
3.주희의 욕망관
생리적인 욕구의 방임적 성향을 경계하는 선진 유가의 이러한 관점은
도덕의 이상을 현실에 투영하고자 했던 송대 성리학자들에 의해 더욱
강화된다. 특히 주희는 이러한 생리적인 욕구를 채우는 과정에 좋은 것으로 더 하고자 하는 마음과 사사롭게 하고자 하는 마음을 도덕적 마음과 대척점에 있는 인심으로 여기면서 제거의 대상으로 생각한다. 곧 주희에게서 인욕이란 생리적인 욕구인 음식남녀에 좋은 것으로 더 하고자 하는 마음과 사사로운 욕심 등이다. 그에 의하면 이 인욕이 제거되지 않아 도덕성이 회복되지 않을 경우에 이기적인 문화가 형성되어 사회적 혼란이 증가한다. 따라서 건강한 공동체 건설을 위해 인욕을 방치하지 말고 제거해야 한다. 곧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본래적으로 가지고 있는 선한 ‘인의예지’의 실마리를 확충하여, 도덕적 이상 사회를 현실에 구현해야 한다. 이철승, 주희와 왕부지의 욕망관 분석-『논어집주』『독논어대전설』의 내용을 중심으로-『동양철학연구』제61집, 2010 p.5
4. 왕부지의 욕망관
왕부지 역시 도덕적 이상사회를 현실에 투영하고자 한 점에서 주희의 관점과 큰 차이가 없다. 그러나 왕부지는 구체적인 현실 사회를 떠난 도덕의 내용보다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현실 사회를 배경으로 하는 도덕적 이상 사회 건설의 중요성을 인식했다. 왕부지에 의하면 인간은 기본적으로 생리적인 욕구를 발현하는 존재임과 동시에 이성적인 존재이다. 인간에게 생리적인 욕구는 자연스러운 일이다. 생리적인 욕구를 채우는 과정에 좋은 것으로 더 하고자 하는 마음인 가욕 역시 부정해야 할 대상이 아니다. 이러한 마음은 삶의 활력을 향상시키는 면에 도움이 된다. 곧 그에 의하면 삶의 이치란 시대와 장소를 초월하여 선험적으로 주어지는 불변적인 것이 아니라, 날마다 생성되고 형성되는 변화 가능한 기(氣)의 조리로서 시대와 장소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가욕은 제거해야 할 대상이 아니라, 그 시대에 타당한 보편적 가치와 어울리도록 조율해야 할 대상이다. 또한 사욕도 천리와 확연히 대립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그에게 사욕이란 선험적으로 주어지는 불선의 근거가 아니라, 선한 기(氣)의 소통이 잘 이루어지 않을 때 나타나는 상대적인 개념이다. 곧 그에 의하면 지나친 불균형으로 인한 사욕은 극복되어야 하지만, 가욕과 사욕을 포함하는 인욕 그 자체가 본래부터 제거되어야 할 대상은 아니다. 인욕은 항상 새롭게 형성되는 기의 조리인 천리의 질서에 부합되도록 조정되어야 한다. 인욕에 대한 왕부지의 이러한 관점은 가욕과 사욕으로 구성된 인욕 자체를 천리와 대립시키며 제거의 대상으로 여기는 주희의 관점과 차이를 드러낸다. 이철승, 주희와 왕부지의 욕망관 분석-『논어집주』『독논어대전설』의 내용을 중심으로-『동양철학연구』제61집, 2010 p.5~6
5. 생리적 욕구(본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