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붉은 방

 1  독후감-붉은 방 -1
 2  독후감-붉은 방 -2
 3  독후감-붉은 방 -3
 4  독후감-붉은 방 -4
 5  독후감-붉은 방 -5
 6  독후감-붉은 방 -6
 7  독후감-붉은 방 -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레포트 > 독후감
  • 2016.10.12
  • 7페이지 / hwp
  • 1,000원
  • 30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독후감-붉은 방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붉은 방
Ⅰ. 서론
1980년대는 한국 사회가 가지고 있던 모순들-계급의 모순, 재벌과 독점 자본에 의한 모순, 군부독재정권의 탄압과 억압이 심화된 시대였고, 그 속에서 착취당하고 억압받던 민중은 현실을 각성하고 문제 해결을 위해 지난날의 전쟁과 분단의 상황을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당시 민중들은 그것을 직접적으로 표출할 수 없었고 87년 6월 항쟁에 이르러서야 표출이 가능하였고 그 선상에 「붉은 방」이 있었다.
‘폭포처럼 쏟아지는 폭력과 거짓과 음모의 벽 앞에 너는 지금 당당하고 떳떳하게 마주 서 있는가’ 라고 늘 스스로에게 묻곤 한다는 1988년 제 12회 이상문학상 당선 소감 가운데
임철우의 「붉은 방」은 그러한 80년대를 어떻게 마주하고 있기에, 우리가 80년대의 대표 문학작품으로 공부해야 하는 것인지 풀어낼 필요가 있겠다.
임철우가 담아낸 분단의 아픔에서부터 숨겨져 있는 광주민주화운동의 현실까지를 짚어봄으로써 왜 임철우였는가를 고민하고, ‘사회 속에 문학이 있는 것이 아니라 문학 속에 사회가 있다’고 한 작가의 말을 따라 「붉은 방」에 담긴 80년대를 바라보려 노력하기로 한다. 그것은 비단 역사의식에 의한 것일 뿐 아니라 작가 개인의 체험이기도 했을 것이라는 생각도 잊지 않았다.
Ⅱ. 본론
2.1 폭력과 거짓과 음모의 벽 앞에 - 「붉은 방」에 드러나는 폭력
어둡다. 이렇게 간단하게 세상으로부터 차단되어질 수 있다는 사실이 놀랍다. 그렇다. 알고 보면 어느 한 사람의 목숨쯤이야 참으로 손쉽고도 간단하게 해치워버릴 수 있는, 그렇듯 소름끼치는 야만과 폭력의 시대에 살고 있으면서도, 사람들은 막상 그걸 까맣게 모르고 살아가고 있을 뿐이다. 나는 차라리 눈을 감아버리기로 한다.
임철우에게 80년대는 폭력의 시대였다. 그래서 그의 소설적 관심은 체제와 이데올로기의 폭력, 그리고 그것들에 의해 동요되는 개인들의 모습에 깊이 사로잡혀 있었고, 때문에 그의 소설에는 분단체제와 광주항쟁과 일련의 시국사건 등에 직접 간접적으로 관계된 인물들 홍정선, 「임철우론 폭력과 작가의 양심」
이 나타난다.
「붉은 방」에서도 이러한 모습을 살펴 볼 수 있는데 「붉은 방」에서 드러나는 직접적인 폭력은 최달식이 오기섭에게 가하는 고문이라고 하겠다. 소설에서 임철우는 고문이라는 결코 가볍지 않은 소재를 매우 사실적으로 묘사한다. 이렇게 사실적으로 묘사될 수 있었던 것은 87년 박종철 고문치사사건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소설의 제목이기도 한 ‘붉은 방’이라는 공간 속에서 최달식이 오기섭에게 가하는 폭력은 밀폐된 공간에서의 권력이 힘과 폭력에 있음을 보여준다. 80년대에 그러한 무한 폭력이 가능할 수 있었던 이유는 바로 이데올로기에 있다. 소수의 지배자들이 국가 권력을 장악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사람들을 대량학살 할 수도 있다는 살벌한 이데올로기와, 동시에 “사회정의 구현”이라는 도덕적 엄숙주의가 그 이데올로기의 전면을 완벽한 위장으로 치장하고 있었던 시대였기 때문이다. 반경환
이는 반공이라는 구호가 사라진 시대에도 분단의 문제는 여전히 현재성을 띄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한승원 外, 『이상문학상 수상작품집 ⑫』, 문학사상사, 1994
김윤식 外, 『우리문학 100년』, 현암사, 2001
장석주, 『20세기 한국문학의 탐험⑤』, 시공사, 2000
우찬제, 「역사성과 일상성의 이데올로기적 대화 - 임철우의 ‘붉은 방’」, 『문학사상』, 1996.5
최재봉, 「작가를 찾아서」, 『작가세계』, 1996
김종욱, 「작가에게 보내는 편지 - 포도씨앗의 사랑을 배우는 시간」,『작가세계』,1996
성민엽, 「금속성과 액체성의 대립」,『작가세계』, 1996
양진오, 「다시, 소설가의 길을 걸어가기」,『작가세계』, 1996
홍정선, 「폭력과 작가의 양심」, 『문학사상』, 1988.12
반경환, 「공포와 안주 - 비극적 세계인식으로서의 ‘붉은 방’」,『문학사상』, 198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