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의 도덕교육사상

 1  다산의 도덕교육사상 -1
 2  다산의 도덕교육사상 -2
 3  다산의 도덕교육사상 -3
 4  다산의 도덕교육사상 -4
 5  다산의 도덕교육사상 -5
 6  다산의 도덕교육사상 -6
 7  다산의 도덕교육사상 -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다산의 도덕교육사상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다산의 도덕교육사상
1. 다산의 삶
정약용(1762~1836)은 조선시대의 실학을 집대성한 철학자로, 경기도 광주에서 태어났다. 자는 미용(美鏞)이고, 호는 다산(茶山) 혹은 여유당(與猶堂)인데, 세상에서는 보통 그를 ‘정다산’으로 불렀다. 다산은 4세 때부터 유교의 경전과 시를 공부하였고, 10여 세에 이미 소년 시인으로 이름을 날렸다고 한다. 22세에 회시(會試)에 합격하여 경의진사(經義進士)가 되어 정조에게 어전에서 『중용』을 강의하였으며, 이후 17년간 정조의 총애를 받았다.
1784년 23세 때 이벽에게서 서학(西學)에 관한 이야기를 듣고 천주교에 관심을 갖게 되었는데, 그 이듬해 김범우의 집에서 이벽, 이승훈, 정약전, 정약종 등과 신앙집회를 갖다가 적발되었다. 그 이후 공서파(攻西派, 남인 가운데 서학을 배척하는 파)의 지탄을 받고 10여일 간 유배를 가기도 하였다. 1792년에 홍문관 수찬이 되어 축성법과 『기중가설』을 지어 올려 수원성 축조에 기여하였다.
정조가 승하한 후, 벽파는 서학을 하였다는 구실로 시파 남인을 몰아내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다산은 전라도 강진으로 유배되었다. 1808년 봄에 만덕사 서쪽의 다산(茶山)으로 이사하여, 그곳에서 1천여 권의 책을 가지고 방대한 저술을 시작하였다. 1818년 이태순의 상소로 귀양이 풀리게 되어 18년 간의 유배 생활을 마쳤다. 그 후 57세부터 고향에서 학문 연구와 저술에 몰두하다 75세를 일기로 생애를 마쳤다.
다산은 철학, 천문, 지리, 역사, 법률, 정치, 경제, 문학, 군사 등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 5백여 권에 달하는 방대한 책을 썼는데, 『여유당전서』에 수록되어 있다.
2. 다산 도덕교육사상의 철학적 기초
2.1 인간관
당시 조선의 유학자들이 性의 문제를 성리학적 입장에서 주장하여 오던 ‘성즉리(性卽理)’를 비판 독창적인 인간의 본성에 대한 새로운 이론, ‘성즉기호(性卽嗜好)’를 제시함.
* 성리학 : 우주의 생성원리는 理와 氣로써, 우주 만물을 형성하는 것은 음양의 조화로서 기에 의한 것이고, 음양이 되게 하는 까닭을 리라고 한다. 리가 만물에 내재한 것이 性이며, 리가 곧 성이라는 점에서 주자는 본연지성과 기질지성으로 나누었다. 본연지성은 모든 것의 근원인 리가 사람과 사물에 동일하게 부여된 보편적인 것으로서 기의 청탁(淸濁)에 의하여 正한 자는 사람이 되고 偏한 자는 사물이 된다고 한다.
주자는 人性, 物性 또한 나의 性과 같으나 단지 부여받은 그 형기(形氣)가 같지 않으므로 차이가 생긴다고 보았다.
인간과 사물의 性 간에 리는 같으나 기가 다르다. 인물성동득(人物性同得)의 입장에서 금수도 도의성이 있다고 봄.
그러나 다산은 본연의 성은 인간과 금수에 각각 다르게 주어진 것이라고 함.
참고문헌
* 참고문헌
동양교육사상, 조현규, 학지사, 2009.
참고문헌의 내용을 요약하였으며, 발표지에 인용한 내용은 참고문헌에서 재인용한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