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리주의 - 초등도덕교육

 1  공리주의 - 초등도덕교육-1
 2  공리주의 - 초등도덕교육-2
 3  공리주의 - 초등도덕교육-3
 4  공리주의 - 초등도덕교육-4
 5  공리주의 - 초등도덕교육-5
 6  공리주의 - 초등도덕교육-6
 7  공리주의 - 초등도덕교육-7
 8  공리주의 - 초등도덕교육-8
 9  공리주의 - 초등도덕교육-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공리주의 - 초등도덕교육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공리주의

내 생에 가장 공부를 열심히 했던 때인 고3 봄. 나는 중간고사 인지 기말고사 인지 내신 성적 유지를 위해 억지로 윤리 책에 나와 있던 공리주의를 공부하게 되었다. 워낙 단기간에 그저 시험성적이 잘 나오기 위해 공부했던 거였기에, 불과 2년도 안된 시간이 지났음에도 그 때 공부 했던 내용이 전혀 기억나질 않는다. 그러나 어렴풋이 기억에 남는 것이 아리스토텔레스나 칸트의 이론보다 그 당시에 나에게 훨씬 울림을 주었던 이론이 공리주의였다는 것이다. 이 이유에는 아마 현실적인 것을 중요시 하는 내 가치관이 담겨있어서 그랬을 것이다. 어찌되었든 결국 2년이 지난 지금에야 나는 다시 한 번 공리주의를 살펴보게 되었다.

Ⅰ.이론의 개관
-19세기 영국의 공리주의
영국의 윤리 사상은 경험론에 바탕을 둔 것이므로 윤리 사상도 극히 경험론적이다. 그것은 일반적으로 인간 심리의 동향을 현실적으로 반성하는 데서 출발한다. 인간성을 현실적으로 파악하려고 할 때, 혹은 이기, 이타의 감정이, 혹은 행복 추구의 욕구가 주목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이기만을 고집하고 자기의 행복만을 추구하는 것은 나중에 그것마저 상실하게 한다. 여기에서 이기, 이타의 조화 윤리가 요구되며, 영국의 윤리 사상은 이 궤도에 따라 전개되고 있다.
이리하여 공리(utility)의 원리를 말하고 있는데, 이미 ‘허치슨은 ’최대다수의 최대행복라는 표현을 사용했으며, 후에 벤담은 이 원리를 바탕으로 하여 자기의 사상을 전개하였다.
때는 19세기, 산업 혁명의 진행으로 생산은 급속도로 증가되고 사람들의 관심은 생산과 국가의 부에 있었음과 동시에 공업화에 따라 출현한 대중은 큰 사회 문제가 되었다. 이 대중에 최대의 행복을 주기 위해서는 무엇을 행복의 기준으로 하고, 어떻게 그것을 측정하고, 행복을 증진시켜 나갈 것인가 하는 것이 벤담의 과제였을 것이다.
공리주의는 쾌락설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바, 쾌락을 인생의 목적으로 하는 윤리학설은 고대의 희랍에 그 근원이 있음은 기술한 바와 같거니와 영국의 공리주의의 맹아는 베이컨, 로크, 흄 등 경험론 사상에서 찾아 볼 수 있다. 그러나 학문적으로 조직화하여 당당한 하나의 학설로 출발시킨 자는 벤담이기 때문에 그를 영국 공리주의 사상의 비조라 함이 일반적이다.
-벤담의 공리주의
행복이란 다름 아닌 쾌락이고, 고통이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사회는 개인의 집합체이므로 개개인의 행복은 사회 전체의 행복과 연결되며, 더 많은 사람이 행복을 누리게 되는 것은 그만큼 더 좋은 일이라고 생각했다. 그리하여 이른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도덕과 입법의 원리로 제시했다. 그리고 모든 쾌락이 질적으로 동일하다고 생각한 벤담은 쾌락과 고통을 측정 할 수 있는 계산법(강도, 지속성, 확실성, 근접성, 다산성, 순수성, 범위)까지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