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학사에 있어 주희와 송학의 위치

 1  경학사에 있어 주희와 송학의 위치-1
 2  경학사에 있어 주희와 송학의 위치-2
 3  경학사에 있어 주희와 송학의 위치-3
 4  경학사에 있어 주희와 송학의 위치-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경학사에 있어 주희와 송학의 위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경학? 경학사?

2. 주희가 추구한 경학

3. 주희의 학문적 성과의 결정체인 사서학

4. 결론
본문내용
經學은 그 사전적인 해석에 의하면 유교 경전의 내용을 연구하고 밝히는 학문이다. ‘經’은 본래 經維, 經營의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經’을 典籍의 의미로 해석하게 된 것은 전국시대 이후부터였다. 그 당시에 ‘經’으로 지칭된 것은 유가의 典籍 뿐만이 아니었으나, 공자가 ‘孔子謂老聃曰丘治詩書禮樂易春秋六經自以爲久矣(저는《시》《서》《예》《악》《역》《춘추》 이 여섯 가지 경서를 공부하여 스스로 이미 오래되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라 말한 뒤로 ‘經’은 영원불변을 담은 유가의 경전만을 의미하는 데에만 쓰이게 되었다. 즉 중국유학사의 발전과정과 궤를 같이하여 발달하였다.
연구대상은 각 시기마다 양상을 달리하여 중국의 경우 한․당시대에는 〈易〉․〈詩〉․〈書〉․〈春秋〉․〈禮〉등 5경에서 宋나라 초기에는 13경으로 까지 확대되었다. 이와 함께 연구 방법과 연구 내용도 시대별로 각기 다르게 나타나 특정의 학파 및 사상 형성에 주요한 역할을 했다. 이는 경전의 내용이 인간사회를 운용하면서 제기되는 모든 문제에 대한 대답을 담고 있는 절대 無誤謬와 자기 완결전인 성인의 가르침, 곧 道 또는 진리로 여겨진면서 그 전해지는 텍스트가 다양했던 까닭으로 이해와 해석도 연구자의 입장에 따라 달랐기 때문이며, 또한 사회가 변화하고 발전함에 따라서 요구되는 사상의 역할이 변함으로써 그 해석의 내용 및 중심 경전에도 차이가 생겨났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서 경학은 유학사상의 변화․발전에 가장 중심적인 역할을 했으며, 동시에 특정사상에 규정되어 그 내용과 범위도 달라졌다. 경전해석의 형태로는 주(注)와 소(疏) 2가지 경우가 있다. 주는 경(經)의 자구(字句)를 충실하게 해설하는 1차 주석으로 전(傳)․전(箋)․집(集)․해(解)․해고(解詁) 등으로 나누어지며, 소는 주의 권위를 인정하고 주를 더욱 상세하게 해설한 것으로 주석의 주석 또는 2차 주석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