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0~30년대 한국의 문학과 대중문화

 1  1920~30년대 한국의 문학과 대중문화-1
 2  1920~30년대 한국의 문학과 대중문화-2
 3  1920~30년대 한국의 문학과 대중문화-3
 4  1920~30년대 한국의 문학과 대중문화-4
 5  1920~30년대 한국의 문학과 대중문화-5
 6  1920~30년대 한국의 문학과 대중문화-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1920~30년대 한국의 문학과 대중문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1920~30년대 시대적 상황과 대중문화의 확산
1. 시대적 배경
2.유행과 대중문화의 형성
3. 신여성의 등장과 도시화

Ⅱ. 1920 ~ 30년대 문학과 대중문화
1. ‘대중’ 개념의 등장
2. 1920년대와 1930년대의 문학사조
3. 영화소설
4. 신문연재소설과 자유연애 사상의 등장

lll. 결론
본문내용
2. 1920년대와 1930년대의 문학사조

대중문화를 중심으로, 이것에 반대한 문학사조와 대중문화를 옹호하고 오히려 그것의 발전을 촉진한 움직임으로 나누어서 볼 것임.

⑴ 1920년대
① 대중문화 및 대중성에 반대한 문학사조
- 낭만주의 문학 : 3.1 운동의 실패와 서구 상징주의 시의 영향. 퇴폐적, 유미적, 허구적, 감상적 경향. 자연으로의 도피 및 동양적 체념과 무상감 표출
② 대중문화 및 대중성을 옹호한 움직임
- 주로 소설 분야에서, 근대적 소설 문체를 발전시키고 과거의 계몽주의적 문학관에서 탈피하여 문학의 자율성을 인정하는 한편, 인생과 사회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그리려는 사실주의 문학관 수용.
- 희곡 분야에서는 ‘극예술 협회’와 ‘토월회’가 중심이 되어 신파극의 탈피와 근대극의 시도가 이루어짐.

⑵ 1930년대
① 대중문화 및 대중성에 반대한 문학사조
- 순수 서정문학
- 시문학파 : 1920년대 중반 이후 프로문학과 민족주의 문학의 대립으로 인한 이념적 문학 풍토에 반발하여 생겨남. 시어의 조탁과 시의 음악성 중시. 시적 변용에 의거하는 순수 서정시의 창작 과정 강조. 자율적인 존재로서 시의 본질 탐구.
- 전원파 : 극심한 일제의 탄압 아래 현실로부터 도피하려는 의식의 반영.
- 모더니즘 : 1920년대 감상적 낭만주의와 같은 전근대적 요소를 배격하고 현대적인 시의 면모를 확립하고자 하는 의도. 구체적 이미지에 의한 즉물적(卽物的)이고 지성적인 시 강조.